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Girls and Women
[ Article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Girls and Women - Vol. 36, No. 2, pp.21-46
ISSN: 1229-6341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2
Received 16 May 2022 Revised 13 Jun 2022 Accepted 30 Jun 2022
DOI: https://doi.org/10.16915/jkapesgw.2022.6.36.2.21

유아체육지도자의 직무환경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 분석

이수현 ; 신혜란 ; 전선혜**
중앙대학교 체육학과, 박사과정
중앙대학교 사범대학 체육학과, 교수
Job Calling Consciousness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 Job Environment
Soo Hyun Lee ; Hye Ran Shin ; Sun Hye Jun**
Chung-Ang University, PH.D. Candidate
Chung-Ang University, Professor

Correspondence to: **전선혜, 중앙대학교, E-mail : shjun@cau.ac.kr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는 유아체육지도자의 직무환경 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을 분석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유아체육의 질적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는 직무환경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국 14개 시·도 체육회에 소속된 유아체육지도자를 대상으로 회수된 230부의 설문지 중 208부를 본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SPSS 23.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 통계를 실시하였고,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직무환경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의 통계학적인 차이를 보기 위해 독립 t-검증, 일원배치 분산분석, Scheffé test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에 따른 결론은 첫째, 유아체육지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 차이에 대한 결과는 지도경력과 교육정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근무조건에 따른 유아체육지도자의 직업소명의식 차이에 대한 결과는 하루평균 수업시간과 주간평균 수업시간, 평균급여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체육지도자의 근무환경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 차이에 대한 결과는 수업 평균 유아 인원수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유아체육지도자의 교육연수 인식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 차이에 대한 결과는 참여비용 부담형태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대한민국 교육현장에서 지도하는 유아체육지도자들의 노력과 헌신이 인정되길 바라며 지도자들의 직업에 대한 사명과 가치가 보다 명확히 전달되기를 기대해본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us of the job environment of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 work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nd analyze their job calling consciousness, and to present basic data necessary to improve the job environment. the 230 questionnaires collected for Instructor belonging to 14 city and provincial sports associations nationwide, 208 were used as this study data.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using SPSS 23.0, and t-verification, one-way variance analysis, and Scheffé test analysis were conducted. The conclusion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results was, first,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 in job calling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Instructor differed according to their guidance career and education level. Second,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 in the job calling consciousness of Instructors according to working conditions showed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average daily class hours, weekly average class hours, and average salary. Third,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 in job calling awareness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of Instructors differed according to the average number of infants in class. Fourth,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 in job calling awareness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educational training by Instructors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participation cost burden.

Keywords: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 Job environment, Job calling consciousness

키워드:

유아체육지도자, 직무환경, 직업 소명의식

I. 서론

유아기는 뼈의 경골화가 이루어지기 전으로, 근육이 유연해 다양한 움직임과 신체표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기이다. 유아기에 신체활동을 체계적으로 실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한국유아체육학회, 2015). 유아의 신체활동 기회가 줄어들게 되면 운동능력이 약화되어 불균형적 신체발달과 비만 등 각종 질병에 대한 노출로 이어질 수 있다(조용찬, 김현정, 김수미, 2020).

유아기 신체활동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교육현장에서 유아체육에 대한 관심도 매우 높아지고 있다. 유아교육기관 원장이 인식한 특별활동 및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을 조사한 최미정, 김용미(2020)의 연구에서는 유아체육활동이 가장 중점적으로 운영하는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으로 선정되었고, 이에 대한 운영 만족도 역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신체활동을 동반한 체육활동이 놀이를 동반하고 있으며, 유아의 인지·정의·심동 영역에서 균형있는 발달을 도모하는 최적의 교육내용으로 평가되어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이범묵, 전선혜, 2018).

이처럼 교육현장에서 유아체육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나(박태섭, 2002; 오연주, 2003; 최재섭, 지정현, 2016; 이범묵, 전선혜, 2018) 교사가 직접 유아체육활동을 진행하기에는 유아 신체발달 및 신체활동 교구 활용에 대한 이해 부족, 환경과 안전에 대한 어려움 등으로 유아체육지도자의 파견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강재희, 문혜련, 2014; 원채윤, 김선희, 2022). 이러한 요구에 맞게 유아체육이라는 분야는 보다 전문적이고 섬세한 교육이 필요한 영역으로 인식되며 유아체육지도자 교육에 대한 발전적 방향에 대한 연구(윤용진, 원영신, 2001; 이희선, 2003; 성기덕, 손원호, 2003; 정현채, 2003; 김창현, 2004; 최정락, 2007; 한혜원, 이예슬, 조윤희, 2022)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유아체육과 지도자에 대한 관심은 유아체육지도자의 전문성 및 직무 스트레스, 직무만족와 관련된 연구(손원호, 김성훈, 2003; 성기덕, 최종필, 2005; 문건필, 2012; 이예훈, 전선혜, 2015; 정윤하, 2015; 김나래, 서재열, 2021; 곽은정, 2022)에 그치며 직무환경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유아체육의 중요성과 전문적인 요구가 날로 늘어가는 현실에서, 질 높은 교육 서비스를 위한 지도자들의 처우 개선 및 질적 성장을 이루어야 하며(정윤하, 2015),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중요한 요인인 유아체육지도자의 직무 의식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이순애, 성소영, 2012; 오수영, 2021).

유아가 건강하게 성장하기 위해서는 기관에서 시간을 함께 보내는 유아체육지도자와의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하다(민재철, 김창환, 최명수, 신석민, 2012). 유아체육지도자를 위한 CBT 심리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한 한시완(2021)의 연구에서는 유아체육지도자는 서비스 측면에서 유아 및 학부모와의 접촉 빈도가 높고, 긍정적인 감정을 지속적으로 표현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지도 측면에서는 교육자의 딜레마를 경험하고 있으며, 조직 측면에서는 성과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는 부담으로 인해 좌절 수준이 높음을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에 따라 직업에 대한 만족도 역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충일(2016)은 유아를 대상으로 한 심층 인터뷰에서 유아가 체육교사를 재미있는 원숭이에서 무서운 호랑이로 변신하는 카멜레온 같은 존재로 인식하고 있으며, 신체가 건강해지고 기분이 좋아져서 체육을 좋아하는 것으로 보고했다. 즉 유아는 체육수업을 통해 교사 및 체육에 대한 상(像)을 형성하게 됨을 시사한다. 항상 긍정적이고 에너지 넘치는 감정을 표현해야 하는 점이 유아체육지도자의 역량으로 여겨지면서 교육 외에 부수적인 어려움을 겪으며 이것이 낮은 직무 만족도로 연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유아가 평생 체육과 관련한 하나의 상을 형성하도록 지도하는 체육교사의 존재와 역할은 그만큼 중요하며, 체육문화를 형성해주는 의미있는 존재자로 체육교사를 바라볼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다. 유아체육지도자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다양한 연구와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고 있는 시점에서 유아체육지도자에 대한 구체적인 직무 환경조사를 통한 직업 소명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어떠한 사회적 요구와 관심이 집중되는 분야는 양적·질적 팽창이 잘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한 가장 중요한 선결 조건은 그 조직 구성원의 직무적 환경과 그에 따른 정서적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다(정윤하, 2015). 김나래, 서재열(2021)은 유아체육시설지도자의 개인-환경 적합성은 직무몰입, 직무만족, 직무수행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직무몰입은 직무만족과 직무수행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조직몰입과 영·유아와의 상호작용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보육교사의 직업 소명의식과 긍정심리 자본 등의 영향력을 분석한 서지원(2021)의 연구에서는 직업 소명의식이 교사-영유가 간의 상호작용 하위 변인인 목적과 의미, 친사회적 지향 등에 대해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 소명의식은 일에 대한 가치를 의미하며(이지원, 이기학, 2015), 그러한 가치가 높아질 때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행동으로 자신의 일에 대한 직무몰입을 촉진시키고(김정식, 김현철, 2012), 직무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뿐만 아니라 삶의 만족, 더 크게는 삶의 의미를 직·간접적으로 높여주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밝혀졌다(한도희, 2010; 이은경, 2011; 권선영, 김명소, 2016; 박미진, 2016; 정우희, 김혜원, 2017). 유아체육지도자의 직업환경과 직업 소명의식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결론적으로 질 높은 유아 신체활동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충실한 교육내용은 물론이고, 지도자의 직무만족도를 향상하는데 중요한 작용을 하는 요인인 직무에 몰입할 수 있는 직무환경이 제공되고 있는지, 직업 소명의식의 정도는 어떠한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체육지도자의 직무환경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을 분석하여 유아체육 지도자의 직업만족도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14개 시·도 체육회에 재직하는 유아체육지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직무환경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을 파악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는 전국 14개 시·도 체육회의 유아체육지도자를 대상으로 구글 설문을 통해 설문지를 회수하는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총 230명이 편의표본추출법에 의해 설문에 참여했으며,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 22부를 제외한 총 208부의 설문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N=208)

2. 연구도구

본 연구를 위한 설문지는 크게 세 영역으로 나누어 유아체육지도자의 인구통계학적 배경, 직무환경(근무조건, 근무환경, 교육연수) 관련 질문, 직업 소명의식 관련 질문으로 개발하여 구성하였다. 설문지 개발은 직무환경에 관한 선행연구(이예훈, 전선혜, 2015; 이은경, 2011; 장진이, 이지연, 2014)와 유아교육 전문가 3인(체육학 교수 1인, 유아체육박사 1인, 유아체육지도자 1인)과의 협의과정 및 검토를 거쳐 수정·보완하여 최종적으로 구성되었다. 이후 예비연구를 통해 얻은 피드백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최종 완성하였다. 직무환경 관련 질문은 근무조건(10문항), 근무환경(4문항), 교육연수(4문항)로 세분화되었다.

직업 소명의식 척도는 Dik, Eldridge 및 Steger(2008)가 직장인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소명 척도(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 CVQ)를 심예린(2010)이 한국 대학생 대상으로 번안하고 타당화한 한국판 소명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다양한 직업인을 대상으로 직업소명의식을 측정한 이전 연구들에서도(박미진, 2016; 송미경 등, 2016) 신뢰도(Cronbach's α)가 .86∼.91로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직장인의 직업소명의식을 측정하는데 적합하여 사용하였다. 총 12문항으로 초월적 부름(4문항), 목적-의미(4문항), 친사회적 지향(4문항) 3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문 문항은 likert 5점 척도(5-point Likert Scale) 양식으로 응답하도록 했다. 심예린(2008)의 연구에서 신뢰도(Cronbach's α)는 각각 하위요인이 초월적 부름.83, 목적-의미 .74, 친사회적 지향 .71, 전체 .85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신뢰도는 초월적 부름 .76, 목적-의미 .91, 친사회적 지향 .82, 전체 .91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지 내용 구성은 <표 2>와 같다.

설문 내용 구성

3. 연구절차

1) 예비조사

2021년 12월 6일부터 12월 11일까지 유아체육지도자의 직무환경, 직업 소명의식 검사 도구의 사용상 문제점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예비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은 본 연구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S시, G도 체육회 지도자 총 11명(S시 5명, G시 6명)으로 12월 6일 대면을 통해 설문을 제공하여 실시한 후 당일 회수하였다. 회수 후 지도자를 통해 문항에 대한 피드백을 받은 결과, ‘유아체육관련 연수 정보의 한계’를 ‘유아체육관련 연수정보가 부족해서’라는 문장으로 재구성하였으며, 응답에는 약 5-7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2) 본조사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2021년 12월 20일부터 31일까지 12일간 진행되었다. 설문은 구글 폼(Google Form)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되었으며, 전국 유아체육지도자 전용 온라인 카페에서 활동하고 있는 자에게 설문 링크를 제공하였다.

연구 참여 전, 본 연구의 목적, 내용, 참여자의 권리 등을 기재하여 자발적 참여임을 공지하였고, 최소한의 개인 식별정보를 수집하였으며 개인정보 보호 및 비밀유지, 사례 등의 내용을 포함하여 안내하였다. 설문은 총 230부가 회수되었고, 불성실 응답 22부를 제외하고 208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4. 자료처리 및 분석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SPSS 23.0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통계처리를 하였다. 첫째, 유아체육지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직무환경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 통계를 실시하였다. 둘째, 유아체육지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직무환경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의 통계학적인 차이를 보기 위해 독립 t-검정(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적용하였다. 일원배치 분산분석 후 유의한 변인에 대해 Scheffé 통계량을 이용하여 사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연구결과

1. 근무조건

1) 하루 평균 수업시간

유아체육지도자의 하루 평균 수업시간을 살펴본 결과는 <표 3>과 같다.

하루 평균 수업시간(N=208)

응답자 208명 중 하루 평균 수업시간은 1-2시간 52.9%(110명), 3-4시간 36.5%(76명), 4-5시간 8.2%(17명), 8시간 이상 2.4%(5명)으로 나타났다.

2) 주간 평균 수업시간

유아체육지도자의 주간 평균 수업시간을 살펴본 결과는 <표 4>와 같다.

주간 평균 수업시간(N=208)

주간 평균 수업시간은 8시간 이상 근무하는 지도자가 38.5%(80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일주일 평균 3-4시간 25.0%(52명)이었고, 1-2시간과 4-5시간 근무하는 지도자들이 각 14.4%(30명), 6-7시간 7.7%(16명) 순으로 나타났다.

3) 수업 평균 진행시간

유아체육지도자의 수업당 평균 진행시간을 살펴본 결과는 <표 5>와 같다.

수업 평균 진행시간(N=208)

유아체육 수업의 평균 수업 진행시간은 40분 수업이 55.7%(116명)로 가장 많았으며, 50분 이상이 17.8%(37명)로 뒤를 이었다. 45분 수업은 15.4(32명)%, 30분 수업은 8.2%(17명), 35분 수업은 2.9%(6명)로 나타났다.

4) 하루 평균 근무시간

유아체육지도자의 하루 평균 실제 근무시간을 살펴본 결과는 <표 6>과 같다.

하루 평균 근무시간(N=208)

유아체육지도자의 하루 평균 근무시간은 208명 응답자 중 7시간 이상 8시간 이하가 76.5%(159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5시간 미만이 11.5%(24명), 7시간 미만이 6.7%(14명), 9시간 이상 10시간 이하가 5.3% 11명)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5) 유아체육지도자의 평균 급여

유아체육지도자의 평균 급여를 살펴본 결과는 <표 7>과 같다.

평균 급여(N=208)

유아체육지도자의 평균 급여는 2000만원-2500만원 미만이 61.6%(128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2500만원-3000만원 미만이 27.4%(57명), 3000만원-3500만원 미만이 6.7%(14명), 2000만원 미만이 4.3%(9명)로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6) 후생 복지

유아체육지도자들의 후생복지 실태를 살펴본 결과는 <표 8>과 같다.

후생 복지(N=208)

유아체육지도자들의 후생복지 관련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 208명 중 36.5%(76명)이 초과 근무를 한다고 답했으며, 45.2%(94명)은 소속한 시·도 체육회에 초과근무수당이 있다고 답하였다.

4대보험 가입에 대한 중복응답 결과, 건강보험이 92.3%(192명)으로 가장 많이 가입된 형태의 보험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은 국민연금 87.0%(181명), 고용보험 81.3%(169명), 산재보험 76.0%(158명) 순으로 가입 형태를 보였다. 상여금의 경우 전체 응답자의 68명(32.7%)이 상여금을 받는 것으로 답하였다.

7) 고용 형태

유아체육지도자들의 고용형태를 살펴본 결과는 <표 9>와 같다.

고용 형태(N=208)

유아체육지도자의 고용형태를 살펴본 결과 전체 응답자 208명 중 무기 계약직이 49.5%(103명)로 가장 많은 고용형태로 나타났다. 정규직은 31.3%(65명)으로 나타났으며, 1년 이하 계약직은 16.8%(35명), 기타 2.4%(5명) 이었다.

2. 근무환경

1) 담당 유아의 연령

유아체육지도자들이 담당하고 있는 유아의 연령을 살펴본 결과는 <표 10>과 같다.

담당 유아의 연령(N=208)

담당하고 있는 유아의 연령에 대한 중복 응답 결과, 만 5세 초과가 51.4%(107명)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만 5세 유아가 43.8%(91명), 만 4세 유아가 32.7%(68명), 만 3세가 20.7%(43명), 만 3세 미만 유아가 1.0%(2명)으로 나타났다.

2) 수업당 평균 유아 수

유아체육지도자들이 수업당 지도하는 평균 유아 수를 살펴본 결과는 <표 11>과 같다.

수업당 평균 유아 수(N=208)

수업당 평균 유아 수는 16-20명이 34.6%(72명)로 가장 많았고, 11-15명이 26.0%(54명)로 다음을 이었다. 20-25명이 20.7%(43명), 6-10명이 14.9%(31명)였으며 26-30명이 3.8%(8명)으로 가장 적었다.

3) 보조지도자 유무

유아체육지도자의 수업 보조지도자 유무를 살펴본 결과는 <표 12>와 같다.

보조지도자 유무(N=208)

전체 응답자 208명 중 보조지도자가 있다는 응답은 41.8%(87명), 보조지도자가 없다는 응답이 58.2%(121명)으로 나타났다.

4) 수업 장소 형태

유아체육지도자들이 수업하는 장소를 살펴본 결과는 <표 13>과 같다.

수업 장소 형태(N=208)

수업 장소 형태에 대한 중복 응답 결과, 유희실(놀이실)이 40.9%(85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교실이 40.4%(85명)로 뒤를 이었다. 강당(체육관)은 27.4%(57명), 기타 장소가 3.4%(7명)이었다.

3. 교육연수

유아체육지도자의 역량 강화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연수의 필요성 인식과 교육연수에 참여 횟수, 참여하기 힘든 이유를 살펴보았다. 결과는 <표 14>와 같다.

교육연수 필요성 인식(N=208)

교육연수 필요성을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 208명 중 99%(206명)가 교육연수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교육연수가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1%(2명)이었다.

교육연수에 참여하는 횟수를 조사한 결과, <표 15>와 같이 1년에 1회 참여가 58.1%(121명)으로 가장 많은 응답을 나타냈고, 1년에 2회 참여가 23.6%(49명)가 뒤를 이었다. 1년에 3회 이상 참여가 8.7%(18명), 2년에 1회 참여가 0.9%(2명)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체 응답자 208명 중 8.7%(18명)는 교육연수에 참여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교육연수 참여횟수(N=208)

교육연수 참여가 어려운 이유에 대한 중복응답 결과는 <표 16>과 같다.

교육연수 참여가 어려운 이유(N=208)

전체 응답자 208명 중 교육연수 참가가 어려운 이유는 ‘유아체육 관련 연수가 없어서’가 29.3%(61명)로 가장 많았으며, ‘연수 정보가 부족해서’가 26.9%(56명), ‘대체 인력이 없어서’가 25.0%(52명)으로 뒤를 이었다. ‘일상 업무로 피곤해서’가 18.3%(38명)이었으며, ‘교육에 관심이 없어서’가 6.3%(13명), ‘연수 내용이 별로여서’가 4.3%(9명), ‘비용이 부담스러워서’ 연수교육 참여가 어렵다는 응답이 2.4%(5명)로 나타났다.

교육연수 참여비용의 부담형태를 살펴본 결과는 <표 17>과 같다.

교육연수 참여비용 부담형태(N=208)

유아체육지도자의 교육연수 참여 시 비용 부담형태로 ‘국가 지원’이 48.1%(100명)로 가장 많았다. ‘소속 시·도 전액 부담’이 26.4%(55명)이었으며, ‘일정액 소속 시·도 부담 및 차액 본인 부담’이 13%(27명)였고, ‘기타’가 7.2%(15명)이었으며, ‘지도자 본인 전액 부담’이 5.3%(11명)으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4. 직업소명의식

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업소명의식 차이

유아체육지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표 18>과 같다. 성별과 연령 변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성별=.469, p>.05; F연령=1.443, p>.05).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 차이(N=208)

반면, 지도경력과 교육정도에 따른 직업소명의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지도경력=5.541, p<.001; F교육정도= 5.154, p<.01).

Scheffé test를 실시한 결과 지도경력의 경우 15년 이상이 9-15년 이하보다 직업 소명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정도의 경우, 사후검증은 차이가 없었다.

2) 근무조건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 차이

유아체육지도자의 근무조건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표 19>와 같다.

근무조건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 차이(N=208)

수업 평균 진행시간과 하루평균 근무시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수업평균진행시간=1.172, p>.05; F하루평균근무시간= 1.595, p>.05).

반면, 근무조건 중 수업시간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하루평균 수업시간과 주간평균 수업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하루평균 수업시간= 4.924, p<.01; F주간평균 수업시간= 8.543, p<.001).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변수에 대해 Scheffé test를 한 결과, 하루평균 수업시간은 사후검증 차이가 없었다.

주간평균 수업시간의 경우 4-5시간 일 때 직업 소명의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8시간 이상일 때는 6-7시간 이상일 때 보다 직업 소명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조건 중 평균 급여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표 20>과 같다.

평균급여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 차이(N=208)

근무조건 중 평균급여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F평균급여=7.779, p<.001).

Scheffé test 결과, 2000만원 미만, 2000-2500만원 미만과 2500-3000만원 미만이 3000-3500만원 미만일 때 보다 직업 소명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조건 중 고용형태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표 21>과 같다.

고용형태 따른 직업 소명의식 차이(N=208)

근무조건 중 고용형태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고용형태=0.044, p>.05).

3) 근무환경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 차이

유아체육지도자의 근무환경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표 22>와 같다.

근무환경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 차이(N=208)

근무환경 중 담당유아연령과 보조지도자 유무, 그리고 수업장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담당유아연령=2.297, p>.05; F보조지도자유무=-.591, p>.05; F수업장소=.317, p>.05).

반면, 수업 평균 유아 수의 경우 26-30명일 때 20-25명일 때 보다 직업 소명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교육연수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 차이

유아체육지도자의 교육연수 인식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표 23>과 같다.

교육연수 인식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 차이(N=208)

교육연수 중 참여 횟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참여횟수=.775, p>.05).

반면, 교육연수 참여비용 부담 형태의 경우 본인 전액 부담일 때 기타, 시설 전액 부담일 때보다 직업 소명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Ⅳ.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체육지도자의 직무환경 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을 분석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유아체육의 질적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는 직무환경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4개 시·도 체육회에 재직하는 유아체육지도자 2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연구결과에 따라 논의를 하면 다음과 같다.

1. 근무조건 실태

첫째, 유아체육지도자의 하루 평균 수업시간은 1-2시간 이하(52.9%)가 과반 이상으로 3-4시간 미만, 4-5시간 이하, 8시간 이상을 합친 것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체육교육기관에 종사하는 지도자의 수업시간과 근무시간을 조사한 이예훈, 전선혜(2014)은 유아체육지도자의 하루 평균 수업시간은 4시간 미만과 4-5시간을 합한 결과가 61.8%로 과반을 넘는다고 보고했다. 본 연구에서 4-5시간 미만이 대부분인 결과와 일치하는 모습이다.

둘째, 주간 평균 수업시간은 일주일에 8시간 이상(38.5%) 수업하는 지도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예훈, 전선혜(2014)의 연구에서 11-20시간(43.1%)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는 차이가 난다.

셋째, 수업 평균 진행시간은 40분 수업 (55.7%)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50분 이상(17.8%)이 뒤를 이었다. 이는 체육특성화 활동의 1회 활동 시간 조사에서 유치원과 어린이집 모두 30분 수업인 기관이 가장 많았고, 이어서 유치원이 50분, 어린이집이 60분으로 순으로 나타났다는 주봉관, 김상겸(2016)의 연구, 30분(73.5%)이 가장 많았다는 연구(백선경, 안을섭, 노은호, 2010; 이예훈, 전선혜, 2014)와 차이가 난다. 교육기관 형태에 따라 수업시간이 상이하여 나타나는 차이로 보인다. 현재 유아체육지도자의 수업 관련한 내용을 조사한 기초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양적인 자료가 유아체육지도자의 수업의 질과 직무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추후 관련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넷째, 하루 평균 근무시간은 7시간-8시간 이하(76.4%)가 가장 많았다. 이예훈, 전선혜(2014)의 연구에서 유아체육지도자의 하루 평균 실제 근무시간은 7-8시간(50.4%)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다섯째, 유아체육지도자의 평균 급여는 2000-2500만원 미만(61.6%)이 가장 많았다. 이예훈, 전선혜(2014)의 연구에 따르면 유아체육기관의 지도자 평균 급여는 2000-2500만원 미만(37.4%)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일치한다. 보육교사의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만족도를 조사한 연구에서 교사의 급여가 낮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낮게 나타났고(이순애, 성소영, 2012),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조사한 연구(장은지, 이상희, 2009; 탁수연, 유미림, 2010)에서도 근무환경 만족은 월급과 정적인 관계가 있었다. 이처럼 지도자의 낮은 보수와 처우는 교육 수혜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고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데 장애 요인이 될 수 있다. 지도자의 이직이나 퇴직을 방지하고 국가의 유능한 전문 지도자를 계속해서 양성·확보하는 필수 전제이므로(Grissom, 2011) 근무조건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여섯째, 유아체육지도자의 후생복지를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36.5%가 초과 근무를 한다고 답했으며, 45.2%는 초과근무수당이 있다고 답하였다. 보험 가입에 대한 중복 응답 결과, 건강보험(92.3%), 국민연금(87.0%), 고용보험 (81.3%), 산재보험(76.0%) 순으로 나타났다. 상여금의 경우 32.7%가 상여금을 받는 것으로 답하였다. 체육지도자가 비정규직으로 고용된 경우 4대 보험에 가입될 수 없어 상대적으로 고용 안정성을 보장받지 못한다는 홍지은, 김준성, 김민석(2020)의 보고와는 다소 차이가 난다. 본 연구결과에서 다수의 지도자들이 4대 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도자가 근무 년 수에 상관없이 고용불안을 느끼고 있어 무기 계약직이나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방안과 함께 4대 보험을 적용하여 최소한의 후생복지를 누릴 수 있도록 해야 한다(유용준, 이우만, 정구인, 2016)는 목소리를 무시할 수 없는 상황임은 분명하다.

일곱째, 유아체육지도자의 고용형태는 과반 이상이 무기 계약직(49.5%) 또는 1년 이하 계약직(16.8%)으로 불안정한 고용상태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체육지도자들의 열악한 근무환경 및 처우 문제를 제기한 선행연구 결과(곽한병, 2013; 김동현, 윤양진, 2011; 박주한, 2011; 서영환, 김공, 신진화, 2014; 손석정, 정승재, 김철, 2015; 신진화, 2014; 이재주, 2018; 정희준, 2017; 진행미, 2013; 홍지은, 김준성, 김민석, 2020; Park, Yun, 2011)와 일치한다. 이예훈, 전선혜(2014)의 유아체육지도자의 직무만족 연구에서 무기 계약직(21.1%), 1년 이하 계약직(68.3%)이었던 것에 비해 본 연구 결과가 무기 계약직의 증가, 1년 이하 계약직이 감소한 모습으로 다소 안정적인 방향으로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듯하다. 이는 고용시장의 경제성과 효율성을 고려했을 때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중간단계라고 할 수 있는 무기 계약직 형태가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고, 체육지도자의 처우 개선을 위한 법적 보호가 임시적으로나마 이루어지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손석정, 정승재, 김철, 2015). 그러나 어디까지나 임시적 방안이며 국가 차원의 지속적인 처우 개선 의지가 필요한 부분이다. 특히, 체육지도자의 미진한 승진체계 때문에 미래가 불안정하여 직업적 사명감을 갖기 어렵게 하고(박인태, 이병관, 2012) 지도자로서의 직업을 지속하기 어려우며(Park & Yun, 2011) 계약직 지도자가 정규직 지도자에 비해 스트레스가 높고(유용준, 이우만, 정구인, 2016; 진행미, 2013), 이러한 스트레스 요인이 직무 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점(은종원, 여인성, 2013) 등을 고려했을 때, 비정규직 지도자에게는 안정적인 고용형태 전환을, 정규직 지도자에게는 승진제도나 호봉제도와 같은 승진체계를 갖추어 이들의 직무만족을 높여야 한다(김복연, 최진호. 2017; Koh et al., 2009). 유아체육지도자가 생활체육, 학교체육 등 여러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지도자로서 우리나라 체육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존재인 만큼, 무엇보다 지도자의 고용환경과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홍지은, 김준성, 김민석, 2020) 직업 안정성을 갖추기 위한 노력이 절실한 때이다.

2. 근무환경 실태

첫째, 유아체육지도자가 지도하는 유아의 연령은 만 5세 초과(51.4%)가 가장 많았고, 이어 만 5세, 만 4세, 만3세, 만 3세 미만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체육지도자의 직무만족을 조사한 이예훈, 전선혜(2014)의 연구에서 만 4세, 만 5세, 만 3세 순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모습이다. 주봉관, 김상겸(2016)의 연구결과, 유치원의 경우 혼합연령 형태, 어린이집의 경우 단일 연령 형태로 진행되고 있어 유아교육기관 유형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는 점을 시사한다. 백미숙, 손천택(2011)은 유아체육 교사가 유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할 때 수업 진행에 어려움이 생기는데, 이러한 어려움은 유아 발달적 특성에 맞는 교육을 통해 실질적인 지도 연습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오연주, 이지영(2014)은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유아체육지도자에 대한 인식을 심층면접을 통해 조사한 결과, 유아체육지도자가 유아 개인차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이 문제라고 보았다. 주혜진, 성소영(2012)은 유아체육지도자가 유아의 발달과 흥미, 개인차를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 활동, 교육내용 연계 부족 등의 문제가 있다고 보고했다. 주봉관, 김상겸(2016)은 체육특성화활동의 문제점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교육과정 및 생활주제와의 연계 부족, 지도자의 유아교육에 대한 이해부족, 연령 및 개인차를 고려하지 않은 교육내용과 방법이라고 하며, 요구사항은 유아교육과정 연계 체육프로그램 운영, 연령 및 개인차 고려한 수준차별 프로그램 마련이라고 보고했다.

김원준, 김성재(2018)는 유아체육 전담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소년스포츠지도사(국가자격) 제도운영실태 및 개선방향을 조사한 연구에서 유소년스포츠지도사의 목표에 대한 질문에 ‘유아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한 체육활동지도’가 가장 높은 비율(47.8%, 89명)을 차지했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현재 국가자격 연수교육프로그램의 적합성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보통이다’ 47.8%(89명), ‘매우 적합하지 못하다’와 ‘약간 적합하지 못하다’ 총 38.7%(72명)로 교육프로그램 적합성에 대한 다소 부정적인 응답이 나타났다. 또한, 연수교육 중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내용으로는 ‘유아교육 및 아동발달에 대한 이해’가 가장 높았고(39.8%, 74명), ‘유아발달에 적합한 신체활동프로그램’, ‘교육과정 통합교육프로그램’이 순으로 나타났다고 보고했다. 교육기관과 유아체육지도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를 살펴본 결과, 현재 유아체육지도자의 유아 발달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위한 지도 연습이 충분히 동반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만 3세-5세에 해당하는 유아기 체육활동과 만 6세~중학교 취학 전기의 체육활동을 함께 묶어 유소년스포츠라는 명목하에 국가기관에서 공식적으로 지도사를 양성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관리하는 체제가 도입되었지만, 제도 실시 이후 운영과목과 연수 내용의 부적절성 등이 제기되고 있다(김진훈, 채승일, 이호근, 2016; 이형국, 2016b). 유아대상 체육활동관련 필수과목은 ‘유아체육론’ 한 과목뿐이며, ‘스포츠심리학, 운동생리학, 스포츠사회학, 운동역학, 스포츠교육학, 스포츠윤리, 한국체육사’ 등에서 4과목을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국민체육진흥공단, 2017). 이는 유아체육지도자가 국가자격증인 생활체육지도자 자격증을 소지하더라도 양성과정의 과목을 보았을 때 여전히 유아교육현장의 체육교사로서 활동하기에는 문제가 있음을 보여준다(주봉관, 김상겸, 2016).

본 연구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유아체육지도자는 만 3세 미만에서 만5세 초과까지 다양한 연령의 체육 지도를 담당하고 있다. 유아라는 존재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하여 연수과목이 변화하기 위해 영·유아지도에 중요한 영·유아발달, 교육과정, 안전관련 교육, 교수법 등 교육과정을 포함한 자격제도 정비가 필요하다(김원준, 김성재, 2018). 또한 다양한 유아교육관련 연수 및 교육을 통하여 유아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유아의 균형있고 발달수준에 적합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실전 지도 연습이 충분히 동반될 수 있는 연수교육이 마련되어야 한다. 지도자와 교육기관이 희망하고 있는 유아발달에 적합한 연수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진다면 지도자의 직업 의미와 비전에 대한 만족(박인태, 이병관, 2012)과 교육의 질을 모두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수업당 평균 유아 수는 16-20명(23.2%)이 가장 많았고, 이어서 11-15명, 20-25명, 6-10명, 26-30명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 수업당 유아 인원이 6-10명이 가장 많았고, 이어 16-20명, 11-15명 순으로 나타났다고 보고한 이예훈, 전선혜(2014)의 연구 결과와 상이하다. 이러한 차이는 선행연구가 유아체육교육기관 지도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본 연구참여자가 주로 유아교육기관(유치원, 어린이집)에서 지도하기 때문에 기관 유형이 달라 나타나는 차이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체육지도자에게 유아 인원수에 적합한 유아 지도 방법에 대한 이해, 생산적인 학습 환경 조성 능력(백미숙, 손천택, 2011)을 학습할 기회가 필요하다고 보인다.

셋째, 유아체육지도자가 수업 운영 시 보조지도자가 없다는 응답은 58.2%가, 보조지도자가 있다는 응답은 41.8%로 나타났다. 선행연구를 통해 유아체육지도자의 보조지도자 유무를 조사한 연구는 없었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실질적인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넷째, 수업장소 형태에 대한 중복응답 결과, 유희실 또는 놀이실(40.9%)이 가장 많았고, 이어서 교실(40.4%), 강당 또는 체육관(27.4%), 기타(3.4%)장소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체육교육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는 시설로 강당 및 체육실(63.5%)이 가장 많았고, 이어서 교실(22.6%)로 나타났다는 선행연구(백선경, 안을섭, 노은호, 2010)와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결과이다.

유아체육지도자는 유아의 발달 수준에 적절하게 시설을 사용하여 유아가 다양한 경험을 통해 신체와 운동을 발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정현채, 2003).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지도자 일부는 ‘교실(40.4%)’, ‘기타(3.4%)’ 장소에서 수업을 운영하고 있었다. 이는 진정한 체육활동을 하는데 많은 제한이 있는 공간으로(백선경, 안을섭, 노은호, 2010) 유아를 위한 완전한 체육활동 장소라고 보기 어렵다.

수업 공간의 크기에 따른 유아의 체력 차이 연구에서 면적이 좁은 집단(60m²이하)에 비해 면적이 넓은 집단(120m²이상)에서 체육활동을 한 유아의 체력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고(이성노, 이태현, 2011), 대운동장 그룹이 중운동장, 소운동장 그룹에 비해 신체활동량이 더 많았다(이성민, 양점홍, 2007). 즉, 면적이 넓어질수록 정적인 활동보다 동적인 활동이 활발해진다는 것이며(이성민, 양점홍, 2007; 이성노, 이태현, 2011), 유아기는 자신의 동작을 통제하는 능력을 숙달시키는 시기이기 때문에 연령이 어린 유아일수록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유아가 활동하는 공간의 넓이와 거리는 신체활동을 학습할 때 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유정애, 최승현, 2007; 이성민, 양점홍, 2007) 유아체육 실내환경은 유아들이 충분히 활동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이어야 하며(정춘식, 1998), 실외 시설이 빈약할 경우 유희실이나 활동실을 마련하여 유아의 대근육 활동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문무경, 이기숙, 이순례, 장영희, 최윤정, 송신영, 2009).

초·중등학교 교육 시설의 실태와 만족도를 연구한 결과, 운동장 크기가 클수록 수업 효과 및 교사 만족도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이성노, 현지호, 2006) 체육시설이 안전하지 못하면 지도자의 자신감이 저하되어 소극적인 체육수업을 초래할 수 있다(김영주, 여지은, 2009). 이처럼 체육 특성화 활동의 발전을 위해 체육활동을 위한 충분한 공간이 필요하다는 유아교사의 요구(주봉관, 김상겸, 2016), 한 가지 시설도 갖추지 못한 유아교육기관이 30.6%로 나타나 환경과 재정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체육활동을 실시하지 못하는 기관이 존재한다(백선경, 안을섭, 노은호, 2010)는 점으로 미루어보았을 때, 유아기 체육환경이 유아가 안전하게 자신의 신체적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백미숙, 손천택, 2011) 유아체육지도자의 수업 장소 형태에 세심한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3. 교육연수 실태

첫째, 유아체육지도자들은 연수교육의 필요성(99%)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예훈, 전선혜(2014)의 연구에서 교육연수가 필요하다(78%), 필요하지 않다(22%) 결과와 일치한다.

둘째, 유아체육지도자들이 교육연수에 참여하는 횟수는 1년에 1회(58.1%)가 가장 많았고, 1년에 2회(23.6%), 1년에 3회 이상(8.7%), 2년에 1회(0.9%), 참여하지 않음(8.7%) 순으로 나타났다. 즉, 과반 수 이상의 지도자들이 1년에 1회 정도의 교육연수에 참여하고 있었다. 지도자는 교수방법에 관한 지식이 깊을수록 학습지도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관리도 잘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유정애, 최승현, 2007) 교육 참여를 통해 습득한 지식을 수업에 실제로 적용할 기회를 갖지 못해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서(김영주, 2007) 교육연수 참여를 통해 도움을 얻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전문성 있는 교수자는 자신의 전문성 발달을 위해 자발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자이다(오채선, 2011). 따라서 유아체육지도자가 자발적 학습을 위한 기회를 획득할 수 있도록 계속된 지지가 필요하다.

셋째, 교육연수 참가가 어려운 이유는 ‘유아체육 관련 연수가 없어서(29.3%)’가 가장 많았으며, ‘연수 정보가 부족해서(26.9%)’, ‘대체 인력이 없어서(25.0%)’, ‘일상 업무로 피곤해서(18.3%)’, ‘교육에 관심이 없어서(6.3%)’, ‘연수 내용이 별로여서(4.3%)’, ‘비용이 부담스러워서(2.4%)’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들이 연수를 받지 못하는 이유로 연수 기회가 없어서(44%), 관심이 없어서(28%), 시간이 없어서(26%)로 나타난 연구(정현채, 2003), 지도자가 교육연수에 참여하기 힘든 이유로 ‘대체 인력 부족(37.4%)’, ‘연수 정보의 부족(32.5%)’, ‘유아체육 연수가 없어서(8.1%)’로 나타난 연구(이예훈, 전선혜, 2014)결과와 일치한다. 즉, 교육연수 및 정보의 부재라는 문제가 공통적으로 남는다. 지도자가 참여하는 교육 활동과 같은 학습적 측면은 개인의 직업 사명감과 자아효능감을 고취시키며 이러한 영향력이 직무 만족에 크게 작용한다(전상완, 박래영, 2011). 또한, 교육내용의 높은 만족도가 곧 높은 직업기대의식과 직무 만족으로 이어지는 점(김진환, 조철규, 2011; 석은주, 정경일, 2015)으로 보았을 때 교육연수 참여와 관련 정보의 제공은 유아체육지도자가 자신의 직업에 만족하는 중요한 요인이 됨을 알 수 있다. 체계적인 체육수업 커리큘럼을 통한 지속적인 보수교육 필요(권연택, 2017; 김동학, 김동환, 2020; 오경록, 2020; 조영희, 김옥자, 2013), 전문연수 강화 방안 필요(곽한병, 2013; 이은경, 2011; 조용찬, 김현정, 김수미, 2020)와 같은 현실적 요구가 실천되어야 할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예비 생활체육지도자의 교육연수 프로그램 만족도가 직업 활동 의미성, 비전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박인태, 이병관, 2012)로 미루어 봤을 때, 전문적이고 품질 좋은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지도자의 직업만족도를 높이고 현장 지도자로서 충실히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좋은 방안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질적으로 품질을 갖춘 유아체육 연수교육의 양적 확대 및 보급이 시급해 보인다.

교육이 개인 측면에서 자아실현의 기회라면, 사회적 측면에서는 도약과 발전을 위한 중요한 수단이다(유수경, 황해익, 2009).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유아체육 관련 연수 및 연수 정보 부재와 같은 외적 요인으로 인해 지도자들이 교육 의지를 저버리지 않도록 열악한 환경과 그에 따른 고충을 깊이 들여다보고 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실천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참여비용 부담형태는 ‘국가 지원(48.1%)’이 가장 많았고, ‘소속 시·도 전액 부담(26.4%)’, ‘일정액 소속 시·도 부담 및 차액 본인 부담(13%)’, ‘기타(7.2%)’, ‘지도자 본인 전액 부담(5.3%)’ 순으로 나타났다. 즉, 국가에서 지원하거나 소속 기관에서 교육 비용을 지원해 주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유아체육기관 지도자를 대상으로 한 이예훈, 전선혜(2014)의 연구에서 ‘본인 전액 지불(74.8%)’, ‘국가지원(13.6%)’, ‘일정액 시설보조(6.8%)’ 순으로 나타난 것에 비해 본 연구결과가 국가 및 기관 부담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는 본 연구참여자와 소속 기관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결과로 볼 수 있으며 시·도 체육회에 소속된 ‘생활체육지도자’와 같이 국가가 자격을 부여하여 체육 진흥에 부합할 수 있는 체육지도자를 양성하기 위한 목적(체육과학연구원, 2002)을 이 같은 지원을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4. 직업 소명의식 차이

첫째, 유아체육지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 차이에 대한 결과는 성별과 연령에서 차이가 없었고, 지도경력과 교육정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지도경력이 높을수록 지도 신념과 수업지식 및 전문성의 수준이 높았다는 연구(김아람, 김현식, 2012), 지도경력 15년 이상이 9-15년 이하보다 직업 소명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직무헌신, 직업의식에서 지도경력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는 연구(오승현, 조현익, 2011), 지도경력 9년 이상일 때 일의 보람, 직무몰입과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는 연구(오상훈, 2019), 2년 이상 근무한 지도자 집단이 1년 이하의 집단에 비해 더 높은 조직 충성도를 나타냈다는 곽한병(2013)의 연구결과와 맥을 같이한다. 즉, 지도자의 성별과 연령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이는 오승현, 조현익(2011)의 연구에서 연령에 따라 직업의식 모든 변인에서 차이가 나타났다는 결과와는 상이하다.

지도자는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을 유아가 이해할 수 있는 경험으로 제시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지도내용을 철저히 파악하고 유아들의 발달단계에 따른 운동수준에 적합한 학습과제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유정애, 최승현, 2007). 백미숙, 손천택(2011)의 보고에 따르면 초임 유아체육교사일 수록 유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으며, 특히, 유아의 주의산만을 대처하는 것은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데(손천택, 2009) 그 과정에서 유아에 대한 과도한 통제가 일어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경력이 높은 유아체육지도자일수록 이러한 교수-학습 과정에 능숙하기 때문에 직업 소명의식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근무조건에 따른 유아체육지도자의 직업 소명의식 차이에 대한 결과는 수업 평균 진행시간과 하루평균 근무시간, 고용형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루평균 수업시간과 주간 평균 수업시간, 평균 급여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하루 평균 근무시간이 적을수록, 주간 평균 근무일수가 적을수록 유아 교사의 사기가 높아진다고 한 선행연구(주봉관, 2009)와 차이가 난다. 유아체육지도자의 근무시간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에 관한 사후 연구가 필요하다.

고용형태의 경우 정규직일 때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다고 한 선행연구(이예훈, 전선혜, 2013)과 차이가 나는 결과이다. 이러한 결과는, 고용형태에 상관없이 유아체육수업 현장 일선에서 동일한 직무 활동을 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난 하루평균 수업시간은 집단 분리가 일어나지 않았다. 주간평균 수업시간 4-5시간일 때 직업 소명의식이 가장 높았고, 8시간 이상일 때가 6-7시간 이상일 때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하루평균 수업시간이 4시간 미만일 때, 일주일 평균 10시간 미만일 때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하루평균 8시간 이상일 때 직무만족도가 가장 낮다고 한 이예훈, 전선혜(2014)의 연구결과와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근무시간이 적절하다고 인지할 때 지도자의 직무 만족이 높아진다는 선행연구(김복연, 최진호. 2017)로 미루어보았을 때,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체육지도자가 생각하는 적절한 수업시간으로 해석할 수 있다. 평균급여의 경우, 3000만원 미만이 3500만원 미만일 때보다 직업 소명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입이 많다고 해서 지도자가 인식하는 직무만족이 높지 않았다는 선행연구(오승현, 조현익, 2011)와 일치하는 결과이며, 월 급여가 많은 수록 직무만족도가 높다는 선행연구결과(이순애, 성소영, 2012; 이예훈, 전선혜, 2013), 소득원에 따라 소명의식의 차이가 나타났다는 이은경(2011)의 연구결과와는 상이하다. 유아체육지도자의 근무조건에 따른 직무 소명의식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유아체육지도자의 근무환경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 차이에 대한 결과는 담당 유아의 연령, 보조지도자 유무, 수업 장소 형태에서 차이가 없었고, 수업 평균 유아 인원수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한 수업당 평균 유아의 인원수가 26-30명일 때가 20-25명일 때보다 직업 소명의식이 높았다. 이는 유아체육지도자가 원활하게 그룹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체육활동이 용이한 것에서 기인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유아교사가 수업 공간이 유아 인원에 비례하여 충분할 때 유아체육수업에 만족이 높았고(조용찬, 김현정, 김수미, 2020) 시설과 같은 외적인 원인에 대한 스트레스가 남성보다 여성 유아체육지도자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는 결과(문건필, 2012)로 미루어 짐작했을 때, 추후 연구에서 체육수업의 장소 특성과 유아 인원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영유아보육법」(법률 제16078호) 제15조의 2에 따르면 정원 50명 미만인 교육기관이거나 100미터 이내에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을 충족하는 놀이터가 설치되어 있는 교육기관일 경우, 놀이 환경 시설에 대한 예외사항이 주어진다. 시설은 유아를 수용할 수 있는 물리적 공간의 크기를 결정하기 때문에 유아체육수업의 전체적인 만족도로 직결되는 요인으로 볼 수 있어 이와 관련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유아체육지도자의 교육연수 인식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 차이에 대한 결과는 교육연수 참여 횟수에서 차이가 없었고, 참여비용 부담형태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교육연수 참여비용을 부담하는 형태가 ‘지도자 전액 부담’일 때가 ‘소속 시설 전액 부담’이거나 ‘기타’ 부담일 때보다 직업 소명의식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체육지도자가 자신의 직업 전문성 향상 등의 목적 달성을 위해(김무진, 정희준, 2016) 교육연수에 큰 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에 기꺼이 교육 비용을 자비로 지불하는 모습으로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전문 직업성은 체계적이고 공식적인 교육 훈련과 인증 절차가 요구된다. 직업적 전문성이 강할수록 안정을 획득하게 되고, 직무 만족이 높아진다는 이사겸(2009)의 보고는 교육연수와 정보 자체가 부족한 현 상황에서 자비 부담을 통해 높은 직업 소명의식을 인식하는 본 연구결과를 동조한다. 이러한 모습이 지도자가 과거 교육연수에 만족했던 경험에 귀인 한 것인지 동기와 관련한 세부적인 조사와 논의가 필요하겠다. 교육연수가 지도자가 지닌 지식과 기능을 바탕으로 실제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역량을 습득하는 기회로 작용될 수 있도록(강방수, 2018; 배재윤, 이재희, 2017) 해야 하며 본 연구의 전체 응답자 208명 중 31.3%(65명)만이 정규직 형태라는 점을 고려했을 때, 교육연수를 통해 지도자에게 취업 기회를 제공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김동학, 김동환, 2020).

본 연구는 전국 14개 시·도 체육회 소속 유아체육지도자의 직무환경 실태(근무조건, 근무환경, 교육연수)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체육지도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 차이에 대한 결과는 성별과 연령에서 차이가 없었고, 지도경력과 교육정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근무조건에 따른 유아체육지도자의 직업 소명의식 차이에 대한 결과는 수업 평균 진행시간과 하루평균 근무시간, 고용형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루평균 수업시간과 주간평균 수업시간, 평균급여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체육지도자의 근무환경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 차이에 대한 결과는 담당유아의 연령, 보조지도자 유무, 수업장소 형태에서 차이가 없었고, 수업 평균 유아 인원수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유아체육지도자의 교육연수 인식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 차이에 대한 결과는 교육연수 참여횟수에서 차이가 없었고, 참여비용 부담형태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유아체육지도자의 직무환경에 따라 직업 소명의식에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였다. 현장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세밀한 요인들을 통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양적 접근을 시도하였으나, 유아체육지도자의 일상 직무 속에서 관찰을 통해 살펴보는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유아체육지도자 직업 소명의식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더욱 강화하기 위하여 유아체육지도자의 직업 소명의식이 체육수업 학습에 미치는 영향 및 효과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8, 2019년도 중앙대학교 CAU GRS 지원에 의하여 작성되었음.

참고문헌

  • 강방수(2018). 1급 전문스포츠지도사 자격연수 참여자 인식변화 탐색.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3, 167-180.
  • 강재희, 문혜련(2014). 어린이집 체육교사의 수업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7, 79-89.
  • 곽은정(2022). 유아 체육강사의 전문성 확보 방안 탐색. 한국스포츠학회지, 20, 119-130.
  • 곽한병(2013). 경기도 거주 노인의 미래 여가복지 수요를 위한 통합연구. 경기도의회 정책연구보고서.
  • 국민체육진흥공단(2017). 자격제도안내 유소년스포츠지도사. http://www.insports.or.kr, 에서 2022년 6월 2일 인출.
  • 권선영, 김명소(2016). 직업소명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와 성차.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 151-171.
  • 권연택(2017). 체육지도자 양성현황과 선행연구 동향 분석을 통한 자격제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생활스포츠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0, 49-62.
  • 권진아, 김지연(2021). 가정에서의 유아 놀이와 신체활동의 변화 탐색 : 코로나19 중심으로. 아동과 권리학회지, 25, 593-616.
  • 김나래, 서재열(2021). 유아체육시설 지도자의 개인-환경적합성, 직무몰입, 직무만족, 직무수행력의 구조적 관계. 한국스포츠학회지, 19, 153-162.
  • 김동학, 김동환(2020). 2급 생활스포츠지도사 실무연수 운영사례를 통한 발전방안 탐색. 한국체육과학회지, 29, 819-838.
  • 김동현, 윤양진(2011). 학교운동부지도자 처우개선 및 지위향상을 위한 법적 과제.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14, 107-128.
  • 김무진, 정희준(2016). 생활체육지도자 연수동기가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학습만족을 매개변인으로. 한국사회체육학회지, 63, 559-569.
  • 김복연, 최진호(2017). 상업 스포츠시설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직무만족과 서비스 품질: 질적 방법을 토대로. 체육과학연구, 28, 117-137.
  • 김아람, 김현식(2012). 인문, 사회과학편: 생활체육지도자의 지도신념과 수업지식 및 전문성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1, 247-257.
  • 김영주(2007). 유아체육교사의 직업사회화를 위한 직전교사교육 탐색. 한국여성체육학회, 21, 113-123.
  • 김영주, 여지은(2009). 유아교육기관 신체활동 예비교사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수업 걱정거리.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3, 93-102.
  • 김원준, 김성재(2018). 유소년스포츠지도사 자격제도 운영실태 및 개선방향에 관한 유아체육전담교사의 인식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3, 181-198.
  • 김진훈, 채승일, 이호근(2016). 유소년스포츠의 정의와 자격증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 55, 481-488.
  • 김정식, 김현철(2012). 리더의 코칭과 부하직원들의 성과간의 관계에서 내재적 동기부여, 직무만족 및 직무몰입의 영향. 대한경형학회지, 25, 675-695.
  • 김진환, 조철규(2014). 경호전공대학생의 학과만족이 직업기대의식에 미치는 영향. 융합보안논문지, 14, 59-69.
  • 김창현(2004). 유치원 유아체육교과 전담제의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 스포츠 리서치, 15, 921-932.
  • 김충일 (2016). 유아가 인식한 체육시간에 대한 의미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29(6), 263-286.
  • 문건필(2012). 유아체육 교사들의 스트레스와 직무만족 구조모형 분석. 한국유아교육· 보육복지연구, 16, 31-53.
  • 문무경, 이기숙, 이순례, 장영희, 최윤정, 송신영(2009). 유치원 종일제 운영 내실화 방안. 육아정책개발센터 연구보고서.
  • 민재철, 김장환, 최명수, 신석민(2012). 유아체육교사의 행복감과 자아정체감이 교사효능감과 상호작용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0, 325-338.
  • 박미진(2016). 상담자의 진로소명과 직무만족의 관계: 자기효능감과 직업몰입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 879-897.
  • 박인태, 이병관(2012).예비 생활체육지도자의 연수만족도가 직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1, 931-940.
  • 박주한(2011). 체육계열 전공자의 진로 활성화 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지, 9, 189-205.
  • 박태섭 2002). 유아의 기초운동기능 발달에 맞춘 유아체육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유아체육학회지, 3, 79-100.
  • 배재윤, 이재희(2017). 노인스포츠지도사 연수 프로그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1, 31-57.
  • 백미숙, 손천택(2011). 초임 유아체육교사가 겪는 학습지도 어려움의 문화 기술적 이해.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4, 39-50.
  • 백선경, 안을섭, 노은호(2010). 유아교육기관의 유아체육시설과 운영 및 교사인식. 한국보육학회지, 10, 49-65.
  • 서영환, 김공, 신진화(2014). 비정규직 체육지도자의 처우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23, 3-29.
  • 서지원(2021). 보육교사의 직업소명의식과 긍정심리자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원장의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배재대학교 대학원.
  • 석은주, 정경일(2015). 객실승무원의 직무교육이 직무가치와 직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신입교육훈련 프로그램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29, 173-185.
  • 성기덕, 손원호(2003). 유아체육지도자의 지도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 565-582.
  • 성기덕, 최종필(2005). 비정규직 유아체육지도자의 직무만족 및 직장애착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14, 83-93.
  • 손석정, 정승재, 김철(2015). 체육지도자의 신분안정을 위한 일 방안 고찰.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18, 11-36.
  • 손원호, 김성훈(2003). 유아체육 지도자의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체육학회지, 13, 43-54.
  • 손천택(2009). 체육교수학습론. 서울: 보경문화사.
  • 신진화(2014). 비정규직 체육지도자의 처우개선에 관한 Q 방법론적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 심예린(2010). 한국판 소명 척도 타당화: 대학생을 대상으로.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오경록(2013). 경기도 유아교육기관의 체육수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최종보고서. 경기도의회.
  • 오상훈(2019). 태권도체육관 지도자의 직업가치관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8, 425-438.
  • 오수영(2021). 유아체육지도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 오승현, 조현익(2011). 볼링 지도자들의 직업의식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0, 557-570.
  • 오연주(2003). 유아의 체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에 대한 연구-기본운동능력 및 신체적자아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35, 101-121.
  • 오연주, 이지영(2014).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 체육교사에 대한 인식. 한국유아체육학회지, 15, 37-45.
  • 오채선(2011). 유아교육· 보육 정책 변화에 따른 유아교사 전문성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5, 249-277.
  • 원채윤, 김선희(2022). 유아체육 프로그램 및 지도자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종사자의 인식 및 개선 방안: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서부권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체육학회지, 87, 33-46.
  • 유수경, 황해익(2009). 유아교육분야에 나타난 교사 전문성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4, 293-314.
  • 유용준, 이우만, 정구인(2016). 청소년 축구지도자들의 고용불안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1, 43-57.
  • 유정애, 최승현(2007).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체육과 내용교수지식 (PCK)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I, 3-4.
  • 윤용진, 원영신(2001). 유아체육의 중요성과 지도자의 현실. 한국유아체육학회지, 2, 47-64.
  • 은종원, 여인성(2013). 비정규직 특수체육지도자들의 직무 스트레스, 조직몰입, 직무만족에 대한 구조 모형 분석.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1, 115-128.
  • 이범묵, 전선혜(2018). 좌우균형 유아체육 프로그램이 신체균형과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오른손잡이 유아를 대상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23, 357-378.
  • 이사겸(2009). 운동처방사/물리치료사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조직 몰입 직무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이성노, 이태현(2011). 유아체육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수업환경과 시설에 따른 체력 분석.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9, 305-312.
  • 이성노, 현지호(2006). 중학교 체육시설 보유현황 및 학생들의 체육수업 만족도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15, 413-426.
  • 이성민, 양점홍(2007). 운동장 넓이에 따른 남자 초등학생의 건강관련 체력과 신체활동량 비교. 체육과학연구소 논문집(부산대학교), 23, 21-28.
  • 이순애, 성소영(2012). 보육교사의 배경변인과 근무환경에 따른 직무만족도. 아동교육, 21, 267-284.
  • 이예훈, 전선혜(2015). 유아체육교육기관 지도자들의 근무환경 및 직무만족도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4, 547-560.
  • 이은경(2011). 청소년지도자의 소명의식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22, 115-140.
  • 이재주(2018). 국민 건강 지킴이 생활체육지도자의 비애!. 경기비정규직 지원단체 연합회 소식지(2018. 6).
  • 이지원, 이기학(2015). 대학생의 진로소명과 삶의 만족의 관계: 진로결정몰입과 전공만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 953-976.
  • 이형국(2016b). 유소년 스포츠 프로그램 구성 제안. 한국유아체육학회지, 17, 39-51.
  • 이희선(2003). 한국의 유아체육 지도자 양성 문제와 발전적 활동 영역. 한국유아체육학회지, 4, 69-88.
  • 장은지, 이상희(2009).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시와 인천시를 중섬으로-. 아동복지연구, 7, 69-84.
  • 장진이, 이지연(2014).교사의 소명의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123-146.
  • 전상완, 박래영(2011). 레크리에이션 지도자 연수 참가자의 자기개발의지와 자기관리행동 및 자기만족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지, 9, 85-97.
  • 정우희, 김혜원(2017). 진로소명이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계획된 우연기술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4, 445-472.
  • 정윤하(2015). 유아체육 지도자들의 조직몰입 요인 재구성.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20, 399-407.
  • 정춘식(1998). 유아교육 기관에서 운영되는 체육 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 정현채(2003). 유아체육교사의 전문성 제고 및 양성 실태.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1), 583-593.
  • 정희준(2017). 스포츠 적폐구조의 해체를 위한 탐색: “저항하는 자가 적폐다”. 스포츠과학, 141, 24-31.
  • 조영희, 김옥자(2013). 3-5 세 누리괴정에 따른 유아교육기관의 체육 현황과 발전방안. 한국유아체육학회지, 14, 7-18.
  • 조용찬, 김현정, 김수미(2020). 유아교육기관의 유아체육 만족요인 비교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29, 393-404.
  • 주봉관(2009). 유아교사의 사기 (士氣) 분석-근무기관의 설립유형과 근무환경의 차이를 중심으로. 유아교육· 보육복지연구, 13, 377-396.
  • 주봉관, 김상겸(2016) 유아교육기관 방과후 체육특성화활동 운영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 조사. 유아교육학논집, 20, 167-188.
  • 주혜진, 성소영(2012) 유아체육활동에 대한 운영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보육학회지, 12, 163-193.
  • 진행미(2013). 스포츠 지도자들의 스트레스 수준 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7, 93-105.
  • 체육과학연구원(2002). 체육백서. 체육과학연구원.
  • 최미정, 김용미(2020). 유아교육기관 원장이 인식한 특별활동 및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의 실태조사 및 만족도에 대한 인식 분석. 아동교육, 29, 281-299.
  • 최재섭, 지정현(2016). 실행연구: 운동발달 이론에 기초한 유아체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웰니스학회지, 11, 355-368.
  • 최청락(2007). 유아체육 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체육학회지, 8, 63-81.
  • 탁수연, 유미림(2010). 유치원교사의 교직 인식과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 한국보육학회지, 10, 147-166.
  • 한국유아체육학회(2015). 유아체육론. 서울: 대한미디어.
  • 한도희(2010). 방과후사업 종사자의 직업전문성에 관한 연구: 직업만족도 결정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 한시완(2021). 학습지도 교육 CBT 교육 프로그램 개발 프로그램입니다. 한국체육과학회지, 30, 349-365.
  • 한혜원, 이예슬, 조윤희(2022). 요구분석을 통한 유아체육 지도자의 지도역량 우선순위 도출. AJPESS, 10, 93-105.
  • 홍지은, 김준성, 김민석(2020). 불안정한 체육지도자의 고용환경: 민간부문 비정규직 체육지도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체육학회지, 82, 123-137.
  • Dik, B. J., Eldridge, B. M., & Steger, M. F. (2008). Development of the Calling and Vocation Questionnaire(CVQ). Meetings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Boston. [https://doi.org/10.1037/e500032008-001]
  • Grissom, J. A. (2011). Can good principals keep teachers in disadvantaged schools? Linking principal effectiveness to teacher satisfaction and turnover in hard-to-staff environments. Teachers College Record, 113(11), 2552-2585. [https://doi.org/10.1177/016146811111301102]
  • Koh, E. H., Lee, Y. S., Park, Y. O., Cho, S. S., & Hwang, M. K. (2010). Gender Impact Assessment of the National Posting Project of Licensed Exercise Instructors.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Sports Sciences, 22(2), 113-136. [https://doi.org/10.24985/ijass.2010.22.2.113]
  • Park, S., & Yun, Y. (2011). Analysis on the Problems to Improve Working Environment of Sports for All Instructo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ort Policy, 9(1), 45-54.

표 1.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N=208)

구분 N(%)
성별 남성 68(32.7) 208
여성 140(67.3)
연령 20세-29세 89(42.8) 208
30세-39세 87(41.8)
40세-49세 32(15.4)
지도경력 1년 이하 61(29.3) 208
2년이상-4년이하 119(57.2)
5년이상-8년이하 16(7.7)
9년이상-11년이하 6(2.9)
12년이상-15년이미만 4(1.9)
15년 이상 2(1.0)
교육정도 전문대 46(22.1) 208
4년제 125(60.1)
대학원 31(14..9)
기타 6(2.9)
자격증
(중복표기)
생활체육지도사 194(93.3) -
유소년스포츠지도사 96(46.2)
생활체육지도사,
유소년스포츠지도사
90(43.2)
보육교사/유치원교사 11(5.3)
없음 4(1.9)

표 2.

설문 내용 구성

항목 문항수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인
성별, 나이, 지도경력, 교육정도,
자격증보유여부
4



근무
조건
하루평균 수업시간, 주간평균
수업시간, 수업 평균 진행시간,
하루평균 근무시간
평균 급여, 후생복지, 고용형태
10
근무
환경
담당 유아 연령, 수업당
평균유아수, 보조지도자유무,
수업장소형태
4
교육
연수
필요성 인식, 참여횟수, 참여하기
힘든 이유, 참여비용 부담형태
4
직업
소명의식
초월적 부름
목적-의미
친사회적 지향
12

표 3.

하루 평균 수업시간(N=208)

분류 N %
1-2시간 110 52.9
3-4시간 76 36.5
4-5시간 17 8.2
8시간 이상 5 2.4
208 100

표 4.

주간 평균 수업시간(N=208)

분류 N %
1-2시간 30 14.4
3-4시간 52 25.0
4-5시간 30 14.4
6-7시간 16 7.7
8시간 이상 80 38.5
208 100

표 5.

수업 평균 진행시간(N=208)

분류 N %
30분 17 8.2
35분 6 2.9
40분 116 55.7
45분 32 15.4
50분 이상 37 17.8
208 100

표 6.

하루 평균 근무시간(N=208)

분류 N %
5시간 미만 24 11.5
7시간 미만 14 6.7
7시간이상-8시간이하 159 76.5
9시간이상-10시간이하 11 5.3
208 100

표 7.

평균 급여(N=208)

분류(만원) N %
2000 미만 9 4.3
2000-25000미만 128 61.6
2500-3000미만 57 27.4
3000-3500미만 14 6.7
208 100

표 8.

후생 복지(N=208)

구분 응답(%) 계(%)
있다 없다
초과근무 76(36.5) 132(63.5) 208(100)
초과근무수당 94(45.2) 114(54.8) 208(100)
보험가입여부 205(98.6) 3(1.4) 208(100)
보험
가입
형태
(중복)
건강보험 192(92.3) 16(7.7) 208(100)
국민연금 181(87.0) 27(13.0) 208(100)
고용보험 169(81.3) 39(18.8) 208(100)
산재보험 158(76.0) 50(24.0) 208(100)
상여금 68(32.7) 140(67.3) 208(100)

표 9.

고용 형태(N=208)

분류 N %
정규직 65 31.3
무기 계약직 103 49.5
1년 이하 계약직 35 16.8
기타 5 2.4
208 100

표 10.

담당 유아의 연령(N=208)

분류 N %
만 3세 미만 2 1.0
만 3세 43 20.7
만 4세 68 32.7
만 5세 91 43.8
만 5세 초과 107 51.4

표 11.

수업당 평균 유아 수(N=208)

분류 N %
6-10명 31 14.9
11-15명 54 26.0
16-20명 72 34.6
20-25명 43 20.7
26-30명 8 3.8
208 100

표 12.

보조지도자 유무(N=208)

분류 N %
보조지도자 있음 87 41.8
보조지도자 없음 121 58.2
208 100

표 13.

수업 장소 형태(N=208)

분류 N %
강당(체육관) 57 27.4
유희실(놀이실) 85 40.9
교실 84 40.4
기타 7 3.4

표 14.

교육연수 필요성 인식(N=208)

분류 N %
필요하다 206 99.0
필요하지 않다 2 1.0
208 100

표 15.

교육연수 참여횟수(N=208)

분류 N %
참여하지 않는다 18 8.7
2년에 1회 2 0.9
1년에 1회 121 58.1
1년에 2회 49 23.6
1년에 3회 이상 18 8.7
208 100

표 16.

교육연수 참여가 어려운 이유(N=208)

분류 N %
대체 인력이 없어서 52 25.0
연수 내용이 별로여서 9 4.3
연수 정보가 부족해서 56 26.9
비용이 부담스러워서 5 2.4
일상업무로 피곤해서 38 18.3
교육에 관심이 없어서 13 6.3
유아체육 연수가 없어서 61 29.3

표 17.

교육연수 참여비용 부담형태(N=208)

분류 N %
본인 전액 부담 11 5.3
소속 시·도 전액 부담 55 26.4
일정액 소속 시·도 + 차액 본인 부담 27 13.0
국가 지원 100 48.1
기타 15 7.2
208 100

표 18.

인구통계학적특성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 차이(N=208)

분류 구분 N M SD F Scheffé
*p<.05, **p<.01, ***p<.001
성별 남자 68 3.62 .38 .46 -
여자 140 3.67 .39
연령 20대 89 3.65 .36 1.44 -
30대 87 3.69 .43
40대 32 3.55 .37
지도
경력
1년미만(a) 61 3.62 .36 5.54*** f>d
2-4년(b) 119 3.62 .35
5-8년(c) 16 4.02 .55
9-15년(d) 6 3.30 .47
12-15년(e) 4 3.83 .00
15년이상(f) 2 4.25 .00
교육
정도
전문대(a) 46 3.65 .32 5.15** n/a
4년제(b) 125 3.60 .43
대학원(c) 31 3.90 .24
기타(d) 6 3.61 .17

표 19.

근무조건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 차이(N=208)

분류 구분 N M SD F Scheffé
*p<.05, **p<.01, ***p<.001
하루
평균
1-2시간(a) 110 3.59 .44 4.92** n/a
3-4시간(b) 76 3.66 .32
4-5시간(c) 17 3.93 .13
8시간이상(d) 5 3.95 .27
주간
평균
1-2시간(a) 30 3.63 .30 8.54*** c>b,d
e>d
3-4시간(b) 52 3.49 .39
4-5시간(c) 30 3.87 .47
6-7시간(d) 16 3.38 .23
8시간 이상(e) 80 3.74 .35
평균
진행
시간
30분 17 3.56 .76 1.17 -
35분 6 3.88 .30
40분 116 3.63 .35
45분 32 3.72 .41
50분 이상 37 3.69 .24
하루
평균
근무
시간
5시간 미만 24 .41 .08 1.59 -
7시간 미만 14 .32 .08
7시간이상-
8시간이하
159 .40 .03
9시간이상-
10시간이하
11 .23 0.7

표 20.

평균급여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 차이(N=208)

구분 (만원) N M SD F Scheffé
*p<.05, **p<.01, ***p<.001
2000미만(a) 9 3.95 .16 7.77*** a,b,c>d
2000-2500미만(b) 128 3.67 .37
2500-3000미만(c) 57 3.67 .43
3000-3500미만(d) 14 3.23 .20

표 21.

고용형태 따른 직업 소명의식 차이(N=208)

구분 N M SD F Scheffé
*p<.05, **p<.01
정규직(a) 65 3.67 .35 0.04* -
무기계약(b) 103 3.65 .46
1년이하계약(c) 35 3.64 .26
기타(d) 5 3.66 .18

표 22.

근무환경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 차이(N=208)

분류 구분 N M SD F Scheffé
*p<.05, **p<.01, ***p<.001
담당
유아
연령
만3세미만 2 4.08 .11 2.29 -
만3세 43 3.64 .42
만4세 68 3.61 .35
만5세 91 3.70 .40
만5세초과 4 3.22 .18
수업
평균
유아수
6-10명(a) 31 3.59 .38 7.82* e>d
11-15명(b) 54 3.67 .37
16-20명(c) 72 3.51 .32
20-25명(d) 43 3.71 .41
26-30명(e) 8 3.65 .39
보조
지도자
유무
있음 87 3.67 .46 -.59 -
없음 121 3.64 .34
수업
장소
강당(체육관) 57 3.66 .41 .31 -
유희실(놀이실) 85 3.63 .39
교실 66 3.68 .37

표 23.

교육연수 인식에 따른 직업 소명의식 차이(N=208)

분류 구분 N M SD F Scheffé
참여
횟수
참여하지않음 17 3.67 .43 .77 -
2년에 1회 3 3.94 .31
1년에 1회 121 3.62 .35
1년에 2회 49 3.68 .48
1년에 3회이상 18 3.73 .38
참여
비용
부담
형태
본인 전액부담 11 3.98 .16 8.16 a>e,b
시설 전액부담 55 3.46 .36
시설+본인 27 3.66 .32
국가지원 100 3.75 .39
기타 15 3.50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