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Girls and Women
[ Article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Girls and Women - Vol. 37, No. 3, pp.115-140
ISSN: 1229-6341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Sep 2023
Received 13 Aug 2023 Revised 13 Sep 2023 Accepted 30 Sep 2023
DOI: https://doi.org/10.16915/jkapesgw.2023.9.37.3.115

중등 여성체육교사의 스포츠 리터러시 탐색

우소연 ; 조미혜**
인하대학교, 강사
인하대학교, 교수
Exploration of Sports Literacy of Secondary Fe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o-Yeon Woo ; Mi-Hye Cho**
Inha University, Lecturer
Inha University, Professor

Correspondence to: ** 조미혜, 인하대학교, E-mail : phycmh@inha.ac.kr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여성체육교사의 스포츠 리터러시 요인과 구성요소, 특징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목적 표집방법을 활용하여 중등 여성체육교사 6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심층면담 및 관련 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을 진행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초임 교사와 경력 교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5개 요인과 경력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2개 요인 등 총 7개의 주요 요인이 도출되었다. 공통적 요인은 ‘사회성’, ‘지식과 이해’, ‘자기존중’, ‘교사 전문성’, ‘태도와 가치’이고, 경력차 요인은 ‘숙련성’과 ‘적응성’ 요인으로 구분되었으며, 각각 11개와 2개의 세부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또한 중등여성체육교사의 스포츠 리터러시 특징은 공통적 특징과 개인적 특징으로 구분되었으며, 공통적 특징은 ‘학교라는 생태계에서 살아남기’, ‘끊임없는 다듬이질’, ‘마음속 장작불 피우기’, ‘수업의 연금술사’, ‘동등한 젠더 인식’이었고 개인적 특징은 ‘교육자로서의 자존감’, ‘학습자로서의 자존감’, ‘교육자로서의 정체성과 소명의 식’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체활동을 이해하고, 이해된 개념을 바탕으로 신체를 통해 실행하는 전반적인 능력인 스포츠 리터러시를 심층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여성체육교사가 학교에서 교육자로서의 역할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sports literacy of middle school fe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inductive categorical analysis and the results were derived from a total of seven major factors, including five factors common to beginner and experienced teachers and two factors that differ according to career. The common factors were ‘sociality’, ‘knowledge and understanding’, ‘self-respect’, ‘teacher professionalism’, ‘attitude and value’, and the factors of career difference were classified into ‘skillfulness’ and ‘adaptability’, and 11 and 2 detailed components were derived,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sports literacy of secondary fe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ere ‘surviving in the ecosystem of school’, ‘constant trimming’, ‘burning firewood in the mind’, ‘alchemist in class’, ‘equal gender awarenes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were ‘self-esteem as an educator’, ‘self-esteem as a learner’, ‘identity as an educator and a sense of calling’.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fe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o perform their role as educators more effectively.

Keywords:

Fe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 Sports literacy, Novice teachers, Experienced teachers

키워드:

여성체육교사, 스포츠 리터러시, 초임교사, 경력교사

I. 서 론

교육 심리학 분야에서는 ‘교사의 영향’이라는 용어가 자주 쓰인다(김아영, 2012). 여기서 말하는 교사란 교실 안에서 일어나는 모든 일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여 학급 전체 분위기나 학습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사람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교사는 학생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성장에 도움을 주고, 그들의 일상생활에도 다양한 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이유로 교사는 학생의 학교생활은 물론, 이후의 생활에서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최민희, 김용은, 김준, 2021).

위와 같은 맥락에서 최근 교육계에서는 4차 산업혁명이라는 급격한 사회 변화에 발맞춰 교사와 학생은 물론 교육내용, 교수학습, 평가, 공간, 수업교재 등 다양한 측면에서 혁신적인 변화를 추구해 나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여러 교과 및 교육에서는 ‘리터러시’ 라는 개념이 등장하였다. 리터러시(literacy)란 문해력으로 해석되는 용어로서, 글을 읽고 쓰는 기능(최의창, 2011; 채향순, 2015)을 뜻하지만, 이를 넘어 다양한 방법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까지 포괄적 의미를 지닌다. 즉 리터러시의 영역이 광범위하게 확장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어 사용되고 있다(전재희, 2010). 특히 체육분야에서 최의창(2011)은 피지컬 리터러시 개념을 바탕으로 스포츠 리터러시 개념을 운동소양(運動素養) 즉, 신체활동을 이해하고, 이해된 개념을 바탕으로 신체를 통해 실행하는 전반적인 능력으로 설명했다. 즉 학교현장에서 교사와 학생 사이에는 앞서 언급한 리터러시의 측면이 보다 강조 및 활용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최근 학교체육교육 운영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들의 수립되고 있으며, 여러 내용 중 핵심이 되는 것은 체육교사의 역할 확대, 교사전문성의 확장(박용남, 윤기준, 2019) 등이다. 즉 체육교사의 전문성은 학교 현장과 학계에서 항상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으며 꾸준한 관심을 받아왔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교사는 스포츠 리터러시의 능력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스포츠 리터러시란 스포츠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활용할 줄 아는 능력을 의미한다. 즉, 운동을 잘할 수 있고, 잘 알 수 있으며, 잘 느낄 수 있는 자질로써, 한 개인이 스포츠에 관해 가지고 있는 기술적, 지식적, 심정적 자질과 능력을 종합적으로 아우르는 개념이다(최의창, 2022). 이를 활용한 스포츠 리터러시 교육은 배려심, 책임감, 문제해결력, 창의성, 이해력 등 학생의 긍정적 자질 형성과 향상 및 자기 주도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박혜진, 2018). 또한 스포츠에 관한 전문지식의 습득, 참여로의 내적 동기 유발, 스포츠 교육의 사회적 가치 및 교육적 의미를 인식할 수 있으며, 나아가 학생들로 하여금 삶의 가치와 스포츠의 문화적 향유를 가능케 하기에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어야 한다(최의창, 2022).

스포츠 리터러시에 대한 선행연구로는 운동소양의 개념을 처음으로 소개하고 어떻게 이해되고 활용될 수 있는지를 탐색한 연구(최의창, 2018), 인문적 스포츠와 스포츠 리터러시가 필요한 이유에 대한 연구(최의창, 2022), 대학 교양체육 교육을 통한 학생들의 스포츠 리터러시 함양과 자기주도성 경험 연구(박혜진, 2018), 영화 속의 스포츠 리터러시를 교육 비평을 통해 밝혀낸 연구(김아영, 이동호, 2018), 스포츠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탐색 연구(최재영, 2019), 디지털 스포츠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디지털 스포츠 리터러시 모델 개발 연구(윤진수, 2022), 디지털 테크놀로지통합 체육 수업 과정을 통한 스포츠 리터러시 함양에 대한 연구(민홍미, 2023) 등이 있다. 운동 소양에 대한 연구로는 (최의창, 전세명, 2011; 우평호, 2021) 등이 있다. 스포츠 관련 리터러시에 관한 선행연구로는 댄스 리터러시에 대한 연구(김수영, 최의창, 2022; 임수진, 문영, 2021; 최의창, 2011), 배구 리터러시에 대한 연구(이호연, 2020), 육상 지도 리터러시에 대한 연구(우소연, 2021), 헬스 리터러시에 대한 연구(박한울, 2022), 골프 소양에 대한 연구(이성희, 2018)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스포츠 리터러시 관련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어왔으나, 주로 각 분야별 스포츠 리터러시의 개념 정립, 프로그램 및 모델 개발, 스포츠 관련 리터러시에 대한 연구였으며, 각 개인이 함양하고 있는 스포츠 리터러시를 탐색하여 교육적 의미를 밝히는 연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문화체육관광부(2019)의 스포츠혁신위원회는 아동⋅청소년의 스포츠 및 신체활동 참여와 평생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이와 관련해서 교육의 확대 차원에서 리터러시 프로그램을 확대 실시하도록 했고, 학교 체육교육의 내용이나 방법 등을 혁신하도록 권고했다. 교육적 차원에서 체육은 신체활동을 매개로 하는 유일한 교과이다. 따라서 체육교사는 학교체육 교육을 통해 올바른 방향으로 가르칠 필요가 있다(Tsangaridou, 2012; Jess, 2016). 대부분 체육교사의 전담영역인 학교체육은 체육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아무리 우수한 교육과정과 체육 정책이 개발되어 현장에 적용되더라도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체육수업을 바꿀 수 없으며, 오직 교사만이 체육수업의 변화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조기희, 2015).

한편, 문화체육관광부(2020) 체육백서에 제시된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중⋅고등학교 전체 체육교사 15,674명 중 여성체육교사는 2,822명(18%)으로 남성에 비해 낮은 비율을 보이고 있으나, 지난 2016년 2,591명에 비하면 8.91%(231명)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는 등 여성체육교사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최근에도 학교 현장에 여성체육교사의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들의 역할과 역량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또한 전문성 함양을 위한 투자, 자신의 교육철학을 가지고 체육 교과의 가치를 실천하는 등(조미혜, 김승환, 2018) 여성체육교사의 역할이 증대되고 있는 것이다.

여성체육교사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측면에서 진행되고 있다. 박소희(2021)는 무용 전공 여성들이 체육교사로서 교직 생활을 시작하는 과정과 교직적응, 그리고 체육수업에서 겪는 어려움을 다루며, 자신의 교사 역할에 대해 돌아보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전세영(2008)은 여성체육교사의 대학시절의 게임 수업에 대한 경험과 초임 교사로서 겪을 수밖에 없었던 게임 수업의 어려웠던 점,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에 대한 체험과 과정을 기술하여 초임 여성체육교사도 유능감과 자신감을 회복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유춘옥, 조미혜(2010)는 여성체육교사가 수업 환경에서 학생들에게 어떤 내용을 어떤 방법으로 가르치고 있고, 학생은 교사가 가르치는 내용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여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뿐만 아니라 여성체육교사가 경험한 어려움(류태호, 이해령, 2018), 특수체육 여성체육교사의 직무수행(윤성욱, 김재형, 윤용진, 2013), 여성체육교사의 삶(김현정, 2014), 교사의 경험 및 수업지도 경험(윤현수, 2020; 이옥선, 조아라, 홍예리, 2021), 젠더 연구(남상우, 이해령, 2019), 영향력 연구(현솔, 2018), 체육수업 인식 연구(박대원, 김진필, 2018), 역할기대와 수업 만족도 연구(박소원, 2019), 전문성 개발 연구(강지민, 박상봉, 2019), 여성체육교사가 경험한 교사 정체성에 대한 연구(김혜연, 2020; 홍예리, 조아라, 이옥선, 2022), 학생들이 바라보는 여성체육교사의 이미지에 대한 연구(장진솔, 2021)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연구는 주로 여성체육교사의 경험과 역할에 대해 진행된 것으로, 여성체육교사의 스포츠 리터러시를 알아보는 데는 한계가 있다.

위와 같은 이유로, 본 연구자는 여성체육교사가 지니고 있는 스포츠 리터러시를 파악해 봄으로써 여성체육교사의 경험을 고려한 교육적 역할에 대해 보다 심도 있게 고민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교사의 교수역량, 즉 전문성은 교직 경력별로 다르게 나타난다는 여러 선행연구(최진영 외, 2009; 임현수, 백순근, 2006; 장인옥, 전평국, 2001; 최미숙, 2005)를 근거로, 여성체육교사의 경력별 스포츠 리터러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Huberman(1989)조호제 등(2009)의 연구에서 제시한 발달의 단계를 참고하여, 교직 경험이 없는 초임 교사가 수업에 어려움을 느끼고 현실에 대하여 자각하는 초임기(3년 미만), 안정을 넘어서 새로운 도전을 시도하며 교직에 대한 다양한 인식을 하는 성숙기(10년 이상)로 나누어 초임교사와 경력교사의 스포츠리터러시 요인, 구성요소,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정서적⋅도덕적⋅사회적 발달이 활발한 중등 학생을 지도하고 있는 중등 여성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들에게 나타나는 경력별 스포츠 리터러시 요인과 세부 구성요소, 특징은 무엇인지를 탐색,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종사하는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이 보다 높은 수준의 스포츠 리터러시를 보유하고, 국내 체육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시사점을 제시하고, 체육교과에서 비율이 급증하고 있는 여성체육교사에 대한 연구로서 실질적인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는 여성체육교사가 교육자로서의 역할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본 연구에서는 교사의 교직경력별로 전문성을 나타낸 선행 연구들(최진영 외, 2009; 임현수, 백순근, 2006; 장인옥, 전평국, 2001; 최미숙, 2005)과 Huberman(1989)조호제 등(2009)의 선행연구 발달단계를 참고하여 교사의 발달단계를 교직 경험이 없는 초임 교사가 수업에 어려움을 느끼고 현실에 대하여 자각하는 초임기(3년 미만), 안정을 넘어서 새로운 도전을 시도하려 하며, 교직에 대한 다양한 인식을 하는 성숙기(10년 이상)로 나누어 초임교사와 경력교사의 스포츠리터러시 요인, 구성요소,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결과의 일반화가 아닌 중등 여성체육교사를 탐색하고 드러난 스포츠 리터러시의 요인과 구성요소, 특성을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둔 질적 연구이다. 따라서 연구 참여자 선정 시 연구하려는 문제와 관련하여 현장성이 반영된 체육교사의 다양한 경험과 구체적 사례, 체육교사 전문성에 대한 다양한 인식, 전문성을 형성하기 위한 경험과 구체적 사례를 제공해 줄 수 있고 체육교사를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따라서 중등 여성체육교사의 스포츠 리터러시를 탐색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직 경력 3년 미만 3명, 10년 이상 3명의 중등 여성체육교사 총 6명을 Patton(2008)이 제안한 유목적 추출(purposeful sampling) 방법으로 표집 하였다. 본 연구에 최종적으로 참여한 교사들은 연구자의 연구 목적과 배경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자발적으로 참여한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를 고려하여 선정한 연구 참여자의 구체적인 배경 정보는 <표 1>과 같다.

연구 참여자 정보

2. 자료 수집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심층면담, 교사가 작성한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자료와 같은 문서자료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면담은 수업에 어려움을 느끼고 현실에 대하여 자각하는 초임기(3년 미만), 교직에 대한 다양한 인식을 하는 성숙기(10년 이상)로 나누어 초임교사와 경력교사의 스포츠리터러시 요인, 구성요소, 특성은 무엇인지 탐색하기 위해 반 구조화(semi-structured interview) 된 심층면담으로 진행하였다. 심층면담의 질문지는 배구 리터러시 함양을 통한 스포츠 리터러시 함양을 연구하기 위해 중학교 배구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진행한 선행연구(이호연, 2020)를 토대로 반 구조화된 면담질문지를 본 연구의 주제에 맞춰 수정⋅보완하였다. 수정⋅보완한 면담질문지 내용은 경력별 중등여성체육교사가 함양하고 있는 스포츠 리터러시가 무엇인지 탐색하기 위해 체육교사로서 요구되는 역량 및 역할, 수업 준비 및 수업에 대한 경험, 기대하는 목표 등에 관한 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하기에 적절하게 구성 하였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심층면담의 영역에 대한 내용은 스포츠 리터러시에서 운동소양의 세가지 차원으로 구분되는 운동능(운동을 스스로 실천해내는 신체적 재능과 자질), 운동지(운동에 관한 지식의 이해 및 적용), 운동심(운동을 하는 사람이 가지고 있는 심성적 태도나 마음의 자질)과 운동을 다양한 방식으로 즐기고 타인의 삶을 행복하게 만드는 역량인 운동향유력(최의창, 2018)의 능향유(해봄으로써 맛보는 것), 지향유(지성으로 즐기는 것), 심향유(마음으로 누리는 것)와 체육교사로서 가지는 전문성과 교육관 등에 대한 내용으로 교직생활, 발달로 구성하였다. 심층면담의 주요 내용은 <표 2>와 같다. 연구자는 면담 중과 면담이 종료된 후, 주요 내용과 특징들을 연구노트에 기록하여 자료분석 과정에서 활용하였다(Patton, 2002).

심층면담의 주요 내용

면담의 내용은 연구 참여자의 동의를 얻어 음성파일로 컴퓨터에 저장하여 텍스트 자료로 변환한 후, 생명윤리 위원회(IRB) 규정에 따라 폐기하였다. 본 연구의 초기 면담 후 자료 분석 과정에서 추가적인 면담이 요구될 때는 현장 방문, 유선통화, SNS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3.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모든 내용을 질적 연구 방법인 귀납적 범주 분석(inductive categorical analysis)의 개방 코딩, 범주화, 범주 확인 과정(Strauss & Corbin, 1990)을 거쳐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본 연구에 활용하기 용이한 자료로 변환하는 문서화 작업을 하였다. 다음으로 원자료를 토대로 연구자가 여러 번 정독하면서 비슷한 주제들로 묶은 코딩된 자료를 상위 범주로 분류하고 엑셀 파일에 범주에 이름을 붙여 범주화하여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범주화 작업을 마친 후, 범주가 잘 구성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개방 코딩을 하기 전 단계의 원자료와 비교하면서 확인하는 절차를 가졌다. 이후 연구자는 정리된 자료와 원자료를 반복해서 읽으며 중등 여성체육교사의 스포츠 리터러시에 대한 초임교사와 경력교사의 스포츠 리터러시 요인, 구성요소,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4. 자료의 진실성

연구자의 주관적인 편견 및 관점을 배제하여 이론적 지향성을 높이고 연구결과를 왜곡하여 해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포츠 교육학 전공 교수와 자료에 대한 삼각 검증(Creswell, 2009)을 실시하고, 구성원 간의 검토(member checking), 전문가와의 협의(peer debriefing)를 통해 연구의 정확성과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5. 연구의 윤리성

이 연구에서 연구 참여자로 표집 된 중등 여성체육교사에게 연구의 목적 및 결과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하여 명확하게 전달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 참여자로부터 수집한 심층면담, 문서자료는 연구 목적 이외에는 절대로 다른 연구에 활용하지 않을 것을 충분히 설명한 후 연구 참여자들에게 동의를 구한 후 연구를 시작하였다.


Ⅲ. 결과 및 논의

본 연구는 중등 여성체육교사의 스포츠 리터러시를 탐색하고 나타난 스포츠 리터러시 요인, 구성요소, 특징이 무엇인지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 중등 여성체육교사의 스포츠 리터러시 요인은 초임교사와 경력교사의 공통적 요인 다섯 가지와 구성요소 열여섯 가지가 도출되었고, 경력 차 요인 두 가지와 구성요소 두 가지가 도출되었다. 중등 여성체육교사의 스포츠 리터러시 특징으로는 공통적 특징 다섯 가지, 개인적 특징 세 가지로 나타났다.

1. 중등 여성체육교사의 스포츠 리터러시 공통적 요인 및 구성요소

중등 여성체육교사의 스포츠 리터러시 공통적 요소로는 ‘사회성’, ‘지식과 이해’, ‘자기존중’, ‘교사 전문성’, ‘태도와 가치’ 5개의 요인이 추출되었고, 각 각의 공통적 요소의 구성요소는 아래와 같다.

1) 사회성

중등 여성체육교사의 스포츠 리터러시 첫 번째 요인으로 사회성이 나타났다. 구성요소로는 대인관계를 중요시하는 ‘대인관계력’, 소통을 중요시하는 ‘의사소통력’, 타인을 위하는 마음인 ‘이타력’, 사회적 관계망을 활용하는 능력인 ‘사회적 관계망 활용력’으로 나타났다. 학교는 가장 기본적인 교육 기관이며 일정한 목적을 가지고 교과 과정⋅설비⋅제도 및 법규에 의하여 교사가 지속적으로 학생에게 교육을 실시하는 기관이다. 이러한 공간에서 교사는 학생뿐만 아니라 학부모, 동료 교사, 교육과 관련된 관계자들과 지속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며 사회적 관계를 맺는다. 이 때 원활한 사회적 관계를 맺기 위해서는 원만한 대인관계를 맺을 수 있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자신과 타인의 생각과 의견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사회성은 중등 여성체육교사가 학교 현장에서 실제 좋은 사회력을 구현하고자 노력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양상으로 나타났다.

(1) 대인관계력

대인관계력은 다른 사람들과 원활하게 대화하며 교류하고, 상호작용하는 능력을 말한다. 이것은 사회적 상호작용과 감정적 연결, 문제 해결 및 대인 간 관계에서 성취하는 능력이다.

학기 초 정해진 수업 규칙을 안내하고 이를 지켜야 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합니다. 또한 교사와 학생, 학생과 학생의 관계 형성과 유지를 위해 갖추어야 하는 태도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는 편입니다(교사 C, 면담).
꾸준하게 운동 참여를 하면서 운동을 좋아하는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맺기 위해 노력해요.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사람간의 관계는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교사 F, 면담).

학생들을 지도하는 데 있어 특별히 신경 써야 하는 부분에 대해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관계 형성과 유지를 위해 신경을 쓰고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Johnson(1997)은 “타인들과 상호작용 관계가 만족스럽고 효과적일 때 풍부한 인간관계의 경험을 하게 되고, 인간다운 인간으로 성숙하고 발달할 수 있다”라고 주장하면서 전인적인 인간으로서 대인관계의 중요성을 피력하였다. 이처럼 대인관계는 보다 성숙한 인간으로서 발달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며, 학교에서의 대인관계는 보다 복합적으로 일어난다. 따라서 학교 현장의 실상을 보다 생생하게 이해할 필요가 있다.

(2) 의사소통력

의사소통력은 정보, 생각, 감정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이해하며, 이를 바탕으로 상호작용하고 협력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즉, 상대방과 적극적으로 대화하고, 상황에 적합한 말투와 표현 방법을 선택하여 상대방이 이해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능력이다. 의사소통력은 사회적 상황에서 성공적으로 대처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데 필수적인 능력으로, 업무 성과나 대인관계 개선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하게 작용한다.

아이들과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늘리기 위해 의견들을 받아보는 편인데 이번에도 학기 말에 의견을 받아봤어요. “선생님 덕분에 이것도 접하게 되고 이렇게 됐어요. 관심이 생겼어요.” 이런 내용들이 제일 인상 깊었어요. 내가 노력을 했고 성취하는 아이들이 있고 아이들에게 이렇게 기억되는 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교사 A, 면담).

중등학교 학생들은 아동기에서 성인기에 이르는 과도기이며, 신체적⋅정서적⋅도덕적⋅사회적 발달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이 시기는 감수성이 예민하고, 주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학생들은 학교에서 보내는 많은 시간 동안 교사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다양한 행동의 변화가 일어난다(이길배, 2000). 이와 같이 학생들은 학교에서는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정서적, 학업적인 면에서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들과 원활한 의사소통으로 학생들의 인성발달과 학습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3) 이타력

이타력은 자신보다 상대방의 이익을 우선시하고 상대방을 배려하는 능력이다. 이를 통해 대인관계에서 갈등을 줄이고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타력은 사회적 상황에서 필수적인 능력으로 여겨지며,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에게도 이타심은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었다.

운동 경기에 나가서 경기에 뛰지 못하고 벤치에만 앉아 있는 사람과 선수 교체를 해서 경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양보한 적이 있어요(교사 F, 면담).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자신에게 직면한 상황을 무시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스스로 손해를 감수하면서까지 도움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타인을 자발적으로 돕고 있었다. 이타력은 일반인의 대인관계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영향을 미친다(Ishak, Abidin, & Bakar, 2014). 이와 같이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타인을 위하는 상황이 발생했을 때 손해를 마다하지 않고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4) 사회적 관계망 활용력

사회적 관계망 활용력은 개인이 자신의 사회적인 관계망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목표를 달성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는 인적 자원과 정보의 활용, 협력과 참여의 촉진, 성과의 향상 등에 유용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에게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체육교사 단톡방에 현재 천명이 넘게 들어와 있어요. 초임교사 분들이 수업 방식뿐만 아니라 행정적인 업무에 대한 문의를 하면 답변이 금방 올라와요. 여기서 도움을 많이 받았어요(교사 A, 면담).
선배 교사와 멘토링 활동을 통해서 많이 배우고 교수법 학습에 도움이 많이 됐어요(교사 D, 면담).

사회적 관계망은 개인과 개인이 연결되어 있는 관계망을 의미하며, 업무 수행 시 사회적 관계망에서의 상호작용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정보를 공유 받을 수 있고 직무수행 및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전수진, 박경규, 2007).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SNS, 동료 교사, 동호회 활동 등 다양한 사회적 관계망을 통해 자신의 체육교과 전문성을 강화하고 성공적으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2) 지식과 이해

중등 여성체육교사의 스포츠 리터러시 두 번째 요인은 지식과 이해로 나타났다. 구성요소로는 대중매체를 활용한 ‘정보습득력’, 문제를 해결하고 극복하고자 끊임없이 노력하는 ‘문제해결력’으로 나타났다. 체육교사는 학생들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교육 요구를 고려하여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수업을 지도하기 위한 포용적인 교육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이론적인 지식과 교육과정에 따른 종목에 대한 실기능력이 필수적이며,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하고 이해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1) 정보습득력

정보습득력은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필요한 정보를 찾아내는 능력을 말한다. 정보를 효과적으로 습득하고 적용하여 정보를 활용하는 능력은 정보 범람의 지식정보사회를 살아가는 시대에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필수적인 요건이라고 할 수 있다(정영미, 2009). 다양한 정보매체 중 필요한 정보를 선별하여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능력은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에게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었다.

운동 교본, 지도서, 스포츠 관련 TV프로그램 혹은 유튜브를 통해 운동 기술의 수행 방법, 연습 방법, 경기 전략, 경기 규정 등 다양한 지식 정보를 얻습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알기 어려운 지식은 이와 관련된 학교 운동부 소속 학생들과 같은 전문가에게 질문하여 지식 정보를 얻습니다(교사 E, 면담).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학생들에게 교육적 요구에 맞는 지식과 정보를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해 각종 지도서, 유튜브, 해당 정보를 잘 알고 있는 전문가 등을 통해 정보를 습득하고 있었다. 이는 학습, 문제 해결, 의사결정 등에서 필요한 능력으로 여겨지며,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에게 여러 영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문제해결력

문제해결력은 문제 상황을 인식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을 창의적으로 찾아내는 능력이다. 이는 문제 해결을 위한 분석, 판단, 계획, 실행, 검토 등의 과정을 숙달한 개인이 보유해야 하는 능력으로, 삶의 다양한 상황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능력이다.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체육교육과정에 따른 이론 및 실기 교육을 위한 준비, 학교 현장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 학습 환경, 빠르게 변화하는 학생들의 정서 및 신체적 변화에 따른 지도 등의 상황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직접 경기를 경험해 보지 않은 종목에 대한 어려움이 있습니다. 이는 관련 연수를 참여하거나 경기 동영상을 보면서 습득한 지식을 현장 상황에서 활용하여 극복하였습니다(교사 C, 면담).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어떤 상황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분석하며, 효과적인 해결책을 도출하기 위해 스스로 관련 동영상을 보며 지식을 습득하거나 역량강화를 위한 연수에 참여하였다. 연수를 통해 습득한 지식을 현장 상황에서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있었다. 문제 해결을 위한 분석, 판단, 계획, 실행, 검토 등의 과정을 숙달한 개인이 보유해야 하는 문제해결력을 통해 개인의 업무 성과, 인간관계, 개인적인 성장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3) 자기존중

중등 여성체육교사의 스포츠 리터러시 세 번째 요인은 자기존중으로 나타났다. 구성요소로는 자기 자신에 대해 끊임없이 알아가는 ‘자아성찰력’, 잘 알고 잘 하는 것이라도 계속해서 배우고, 부족한 점을 보완하는 ‘자기개발력’으로 나타났다.

(1) 자아성찰력

자아성찰력은 자기 자신을 내면적으로 바라보고 분석하는 능력으로, 자신의 감정, 생각, 행동, 가치관 등을 인식하고 이해하는 능력을 말한다.

운동을 사랑하는 마음과 열정이 없었다면 실패를 했을 때 포기하지 않았을까 싶어요. 내가 더 잘하고 싶은 마음이 있고 더 잘 가르치고 싶은 마음이 있어서 내 목표치까지는 노력하자는 그런 마음이 있었기 때문에 포기하지 않고 계속 도전을 해서 여기까지 온 것 같아요(교사 B, 면담).

중등 여성체육교사들 스스로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개선할 점을 찾아내는 이와 같은 능력은 스트레스 관리, 대인관계, 직업 전문성 강화 등 다양한 상황에서 필요한 능력으로 나타났다.

(2) 자기개발력

자기개발력은 개인이 스스로 노력하여 자신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능력을 말한다. 개인의 믿음과 자신감 수준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특정 작업이나 과제를 수행할 때 자신의 능력을 어떻게 평가하고인식하는지를 의미한다.

스스로 생각하기에 부족하다고 느껴서 수업 실기, 이론에 대해서 공부를 많이 하고 있어요. 주로 유튜브 영상을 많이 보고, 인터넷 검색, 체육교과 연수, 선배 교사 조언, 독서, 교과서 공부, 멘토링 활동, 전문성 향상을 위한 개인 레슨, 동호회 활동, 개인 운동 등 부족한 부분을 채우고 성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요(교사 D, 면담).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에게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습득한 역량을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목표를 달성하는 자기개발력은 개인의 성장과 성공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교사 전문성

중등 여성체육교사의 스포츠 리터러시 네 번째 요인은 교사 전문성으로 나타났다. 구성요소로는 배운 지식과 기술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원하는 상황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응용력’, 계획한 것을 실제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실행력’, 교사 자신의 교육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 아는 ‘교사효능감’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에서 교사 전문성은 특정 영역의 지식과 기술로 수행을 나타내는 행동과 잠재력(오헌석, 김정아, 2007), 사회 발전과 변화에 따라 변화하고 발전하는 전문적 능력, 교수 방법상의 기술, 개방성, 협력, 통합적 안목, 학습자 수준에 맞게 가르칠 수 있는 능력, 사명감, 봉사정신(고재천, 2001) 등으로 정의내려졌다. 스포츠교육학 영역에서는 주로 체육교과 지식(고문수, 손천택, 2005; 김만의, 2000; Rossi & Cassidy, 1999; Shulman, 1987), 체육수업 수행, 교사의 자질, 반성 및 비판 등 교사의 개인적 역량을 전문성 요소로 다루었다.

(1) 응용력

응용력은 배운 지식과 기술을 적절하게 활용하여 새로운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을 말한다.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보다 더 나은 체육수업을 위해 학습한 내용을 다양한 상황에서 유연하게 적용하고 문제를 해결하며 새로운 상황에 대처하고 있었다.

연수나 공개수업에서 인상 깊었던 수업은 자료를 공유 받아 수업에 적절하게 응용하여 적용하곤 했어요(교사 A, 면담).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학생들의 다양한 요구와 상황에 적절히 대응하는 능력을 통해 흥미로운 수업을 제공하고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며 학생들의 성장과 발전을 도모하고 있었다.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에게 문제 해결, 창의적 아이디어 도출, 혁신 등 다양한 상황에서 요구되는 이와 같은 능력은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2) 실행력

실행력은 계획한 것을 실제로 행동으로 옮겨내는 능력으로, 행동 계획을 세우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능력이다.

학생들이 쉽게 체육수업에 참여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여러 활동을 계획하고 수업에 들어가요. 상황에 따라 아이들 수준에 따라 계획했던 활동 중 적절한 활동으로 수업을 진행해요(교사 D, 면담).

이와 같이 실행력은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의 목표 달성, 업무 성과 향상, 개인의 성장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었다.

(3) 교사효능감

교사효능감은 교사가 자신이 교육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능력감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의 자기효능감, 교육능력, 교육경험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에게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와 학습태도는 큰 영향을 미치기 있었으며, 교사효능감을 강화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었다.

제가 잘 하고 잘 아는 것을 가르칠 때 더 전문성 있게 가르칠 수 있는 것 같아요. 자신감도 더 생기고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요(교사 B, 면담).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의 자기효능감, 교육능력, 교육 경험 등 다양한 요인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와 학습태도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교사효능감을 강화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었다.

5) 태도와 가치

중등 여성체육교사의 스포츠 리터러시 다섯 번째 요인은 태도와 가치로 나타났다. 구성요소로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자신의 감정과 행동을 극복해 나갈 수 있는 ‘내면력’, 긍정적인 생각과 태도를 유지하는 ‘긍정력’, 자연스럽게 능력이나 품성이 길러져 품행으로 나오는 ‘함양력’, 자신의 의지와 결단력을 가지고 자신이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는 ‘의지력’, 자신이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내면에서 동기부여가 생겨나는 ‘원동력’으로 나타났다.

(1) 내면력

내면력은 어려운 상황에서도 자신의 감정과 행동을 조절하며 극복해나가는 능력을 말한다.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다양한 운동의 실기뿐만 아니라 규칙을 학습하는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어려운 상황에서도 강인하게 자기 조절을 하며 이겨내고 있었다.

너무 다양한 운동이 있고 세부 규칙이 많아서 학습하는 데 어려움을 느꼈어요. 꾸준히 지식을 함양하는 방법밖에 없다고 생각해요(교사 E, 면담).

중등 체육교사들은 교육을 위해 해당되는 다양한 실기 능력 및 지식 함양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으나, 현재 상황을 받아들이고 어려움을 겪는 상황 속에서도 지속적인 자기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이는 스트레스 대처, 문제 해결, 자기개발 등 다양한 상황에서 개인의 성장에 중요시되고 있었다.

(2) 긍정력

긍정력은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어려운 상황에서도 긍정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이다.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긍정적인 사고와 태도를 유지함으로써 자기 자신과 주변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체육수업은 아이들에게 사회성도 생기게 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해요(교사 F, 면담).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자신과 타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태도를 가지며, 긍정적인 생각과 태도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피드백과 지지를 제공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교사가 학생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높이며, 사회성, 자신감을 향상시키며, 자기효능감을 높여 학습에 대한 열정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하였다(민병석, 2013; 한은미, 2009; Masten et al., 1988).

(3) 함양력

함양력은 능력이나 품성이 길러져 갖추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자신의 가치를 높이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운동에 관심을 가지고 몰입하면 운동의 매력을 느끼게 되며 운동능력은 자연스럽게 함양할 수 있다고 하였다.

운동능력을 함양하며 운동 매력을 몸으로 느끼고 운동에 대한 열정을 더욱 갖게 돼요. 운동에 몰입하고 더 잘하기 위해 노력하면 운동능력은 자연스레 따라온다고 생각해요(교사 E, 면담).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관심 있는 체육활동에 적극 참여하고 그로 인해 길러진 자질과 품성이 자연스럽게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져 지속적으로 활동에 참여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의지력

의지력은 자신이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내부적인 의지와 결단력을 가지고 꾸준히 노력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계획을 세우고 목표를 이루기 위해 끈기 있게 노력하며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잘 못하는 실기 종목도 될 때까지 배워서 어느 수준까지 만들고 가르쳤어요(교사 B, 면담).

이와 같이 중등 여성체육교사의 의지력은 교사 전문성 강화에 도움을 주며, 성공적인 교육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돕는 능력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는 중등 여성체육교사의 목표 설정, 시간 관리, 자기관리 등의 능력과 연계되며,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원동력

원동력은 자신이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가지는 추진력과 동기부여력이다. 이는 개인의 성격, 가치관, 지식 등의 인적 자원과 환경, 경제적 요소 등의 외적 자원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학생들에게 지식을 전달하고 다양한 종목에 대한 경험을 제공하여 학생들이 즐겁게 다양한 체육활동에 참여하는 모습을 볼 때 뿌듯함과 만족감을 느낍니다(교사 C, 면담).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원동력을 유지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목표와 가치를 명확히 하고, 적극적으로 자신을 개발하며 주변 환경을 적극적으로 변화시키는 노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중등 여성체육교사의 스포츠 리터러시 경력 차 요인 및 구성요소

중등 여성체육교사의 스포츠 리터러시 경력차 요인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즉 ‘숙련성’과 ‘적응성’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의 구성요소는 아래와 같다.

1) 숙련성

중등 여성체육교사의 스포츠 리터러시 경력 차에 따른 첫 번째 요인은 숙련성으로 나타났다. 숙련성이란 기술적 또는 전문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을 말한다. 중등 여성체육교사는 지식, 기술, 경험 등을 바탕으로 성장하였으며, 성취도에 따라 숙련성의 정도가 차이가 있었다. 구성요소로는 적절하게 예기치 못한 상황을 대처할 수 있는 ‘상황대처력’으로 나타났다.

(1) 상황대처력

상황대처력은 예기치 않은 상황에서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이는 문제 해결, 의사 결정, 스트레스 관리 등 다양한 측면에서 요구된다.

신규일 때는 질문을 받으면 말문이 막히고 나도 모르게 얼굴이 붉어지곤 했어요. 지금은 잘 모르는 질문을 받으면 역질문을 해서 다음 시간에 알려주겠다고 하고 넘어가요(교사 B, 면담).

중등 여성체육교사의 상황대처력은 경험과 지식을 통해 향상될 수 있었으며, 문제 해결, 의사 결정, 스트레스 관리 등 다채로운 상황에서 적용되고 있었다.

2) 적응성

중등 여성체육교사의 스포츠 리터러시 경력 차에 따른 두 번째 요인은 적응성으로 나타났다. 적응성은 새로운 환경이나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을 말한다. 본 연구에서 중등 여성체육교사는 적극적으로 변화를 받아들이고 새로운 상황에 맞게 자신을 조정하며 성장하였다.

(1) 변화력

변화력은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고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다.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발맞춰 학교 현장의 환경과 상황에서 발생하는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적응하고 있었다.

아이들에게 지식을 쌓아줘야 된다는 약간의 강박이 있었어요. 지금은 어렵게 알려주려고 하기보다는 아이들이 쉽게 다가가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요(교사 A, 면담).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학생들과 학교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변화에 빠르게 대응하여 최적의 교육과 교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학교와 학생들의 요구가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서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에게 변화력은 유연성과 적응성을 바탕으로,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고 혁신과 성장을 위해 적극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자세로서 필수적인 능력 중 하나로 받아들여졌다.

3. 중등 여성체육교사의 스포츠 리터러시 특징

1) 공통적 특징

(1) 학교라는 생태계에서 살아남기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적응해야 하는 학교라는 생태계 공간에서 체육교사로서 자신의 소신을 지키며 주어진 환경에 적응해가며 살아가고 있었다.

허리 통증, 목 디스크, 체형 불균형 등의 건강 악화로 맡은 수업뿐만 아니라 학교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어 건강관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어요(교사 A, 면담).
변화된 환경, 상황에 초점을 두고 적응하기 위해 긴 시간 노력해야 할 것 같아요(교사 B, 면담).
학생뿐만 아니라, 학부모 상담, 교직원과의 소통 등 하루의 시작과 끝이 대인관계와 소통이에요. 공동체의 구성원이다 보니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려고 해요(교사 C, 면담).

먼저, 체육교사로서 건강상의 문제가 생기면 자신이 맡은 수업에만 지장이 생길 뿐만 아니라 자신이 맡고 있던 일과 관련된 이들에게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체력적으로 강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건강관리에 힘쓰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의 필요에 맞게 수업 계획을 수립하여 성취도를 높이기 위해 교사 전문성을 향상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셋째, 학교에서 학생들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유지하기 위해 학생들을 이해하는 데 적극적인 태도로 노력하고 있었다.

넷째, 학교에서 교사는 학생, 학부모, 교직원 등 다양한 대상과 상호작용을 하게 되며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사는 학교의 규칙과 교육 체계를 따르며, 학생들의 성장을 위해 필요한 셀파(세르파) 역할을 하고 있었다.

(2) 끊임없는 다듬이질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체육교육의 전문성과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지식과 기술을 계속해서 발전시켜 나가고 있었다.

부족함을 많이 느껴서 꾸준히 운동 레슨을 받고 동호회에 참여해요. 실기뿐만 아니라 운동지식을 키우기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어요(교사 E, 면담).

이러한 노력은 체육 수업에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활동을 제공할 수 있었고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를 높일 뿐 아니라 건강한 생활 습관을 가르치는 데도 큰 역할을 하고 있었다.

(3) 마음속 장작불 피우기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지식과 기술을 계속해서 쌓고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자신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이론과 실기 모두를 배우며, 학생들에게 최상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자신을 계속해서 발전시켜 나갔다.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말처럼 운동에 대한 지식이나 중요성 및 효과를 알고 있다면 더 열정적으로 할 수 있는 것 같아요(교사 A, 면담).

이런 노력과 열정은 장작불과 같이 작은 불씨에서부터 시작되어 조금씩 성장해가며, 끊임없이 장작에 불을 지피는 것과 같다. 여기에서 장작은 연수, 수업, 레슨, 동호회 등과 같은 배움이고, 불씨는 교사의 배우고자 하는 의지, 열정, 노력이다.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의 열정은 마치 장작불처럼 다른 이들에게도 전염력을 띄고 있어서 이들의 열정과 노력은 다른 교사들과 학생들에게 영감을 주며, 체육 교육 분야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4) 수업의 연금술사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체육 분야에서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여 배운 운동 기술을 수업에서 응용하면서 학생들의 수준과 현장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조정하고 있었다.

실내외 공간을 사용하지 못하는 상황일 때, 학교 현장 상황에 따라 수업이 달라지는 거죠(교사 B, 면담).

중등 여성체육교사가 수업을 준비하면서 다양한 교육 자료를 활용하고 학생들의 관심사에 맞춰 맞춤형 수업을 설계하는 것은 연금술사가 실험과 연구를 통해 다양한 금속을 변환하는 것과 같다. 훌륭한 교사는 특정한 방법이나 접근 방식에 집착하기보다는 주어진 환경과 직면한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적응적 전문성을 발휘하는 교사이다(Hatano & Oura, 2003).이들은 적응적 전문성을 발휘하여 자신이 배운 내용을 다양하게 응용하고 적용하여 학생들에게 최상의 교육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 동등한 젠더 인식

젠더 인식은 특정 성별에 대한 고정관념이나 선입견으로 인해 발생하는 차별을 의미한다. 이러한 차별은 학생들의 참여와 성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성별에 관계없이 동등하게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이들은 먼저 자신의 젠더 인식을 확인하고, 성별에 따른 차별을 없애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학생들에게 성별의 차이, 수준의 차이가 발생하여 학습에 지장이 가지 않도록 지도하고자 노력하고 있어요(교사 E, 면담).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학생들이 성별에 관계없이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고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교육을 제공하면서 언제나 성별 차별 없이 누구나 동등하게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2) 개인적 특징

(1) ‘교육자’로서의 자존감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교육자로서 수업을 지도할 때 자신감 있게 잘 가르친 경우, 학생들의 성취감과 발전을 지켜볼 수 있어 성취감과 보람을 느꼈다. 그러나 잘 가르치지 못할 때, 자신의 능력과 역량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고 교육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었다.

3학년 스포츠 수업 아이들이 통제가 잘 안돼서 버거웠어요. 1,2학년 수업은 마음이 편안한데 3학년 수업은 조금 부담스러워요(교사 B, 면담).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자신 있는 수업만을 진행하는 개인적 특징과 자신 없는 수업이더라도 수업을 진행하는 개인적 특징이 나타났다.

(2) ‘학습자’로서의 자존감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연수에 참여하거나 다른 교사 또는 전문가들과 함께 협력하고 지식을 공유하며 자신의 능력과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발전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었고 부족한 실기는 동호회, 레슨 등을 통해 보완하고 있었다. 하지만 잘 못하는 실기라도 계속해서 도전하는 개인적 특징과 잘 못하고 어려움을 느끼는 종목보다는 잘 하는 종목을 더욱 강화시키는 개인적 특징이 나타났다.

잘 안되는 단체 스포츠 종목에 시간을 들이기 보다 좋아하고 잘 하는 볼링, 골프, 홈트레이닝에 더 집중하게 됐어요(교사 D, 면담).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실패와 어려움을 허용하고 이를 통해 학습하며 개인에게 맞는 방법을 찾아 실천하고 있었다.

(3) ‘교육자’로서의 정체성과 소명의식

중등여성체육교사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운동 경험을 제공하고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도하여 전인교육을 위해 심도 있게 수업을 준비하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아이들이 제 수업을 통해 체육을 즐길 수 있는 소양을 함양했으면 해요. 그래서 아이들에게 질 높은 교육을 하고자 노력해요(교사 A, 면담).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과다한 행정 업무로 인해 수업을 준비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지만, 학생들을 위하는 마음을 가지고 자신의 교육 방법과 기술을 개선하며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었다.


Ⅳ. 결론

본 연구는 중등 여성체육교사의 스포츠 리터러시를 탐색하고, 나타난 스포츠 리터러시 요인, 구성요소, 특징이 무엇인지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 여성체육교사의 스포츠리터러시 요인은 공통적 요인과 경력차 요인으로 나누어지는데 공통적 요인은 ‘사회성’, ‘지식과 이해’, ‘자기존중’, ‘교사 전문성’, ‘태도와 가치’이다. 경력차 요인은 ‘숙련성’과 ‘적응성’이다.

둘째, 중등 여성체육교사의 스포츠리터러시 공통적 요인의 공통적 요인의 구성요소로는 ‘사회성’에서 대인관계력, 의사소통력, 이타력, 사회적 관계망 활용력의 4개 요소, ‘지식과 이해’에서 정보습득력, 문제해결력의 2개 요소, ‘자기존중’에서 자아성찰력, 자기개발력의 2개 요소, ‘교사 전문성’에서 응용력, 실행력, 교사효능감의 3개 요소, ‘태도와 가치’에서 내면력, 긍정력, 함양력, 의지력, 원동력에서 5개 요소이다. 경력차 요인의 구성요소는 ‘숙련성’에서 상황대처력 1개 요소, ‘적응성’에서 변화력 1개 요소이다.

셋째, 중등 여성체육교사의 스포츠 리터러시 특징은 공통적 특징, 개인적 특징으로 구분되었다. 공통적 특징으로는 ‘학교라는 생태계에서 살아남기’, ‘끊임없는 다듬이질’, ‘마음속 장작불 피우기’, ‘수업의 연금술사’, ‘동등한 젠더 인식’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특징으로는 ‘‘교육자’로서의 자존감’, ‘‘학습자’로서의 자존감’, ‘‘교육자’로서의 정체성과 소명의식’으로 나타났다.

Johnson(1997)의 연구는 대인관계와 교육 전문성에 대한 중요한 관점을 제시하며,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이 이러한 관점을 실천하는 방식을 조망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타인과의 상호작용이 풍부하고 효과적일 때 풍부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며, 이를 통해 인간다운 성숙과 발달이 가능하다는 주장이 제시된다.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학생들뿐만 아니라 학부모, 동료 교사, 교육 관련자들과 상호작용하며 사회적 관계를 유지하고 구축한다.

이러한 관계 형성과 유지를 위해서는 원활한 대인관계와 효과적인 소통 능력이 필수적이다. 교사는 학생들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학생들의 수준과 교육 요구를 고려하여 포용적인 교육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교사는 이론적인 지식과 실기능력을 결합하여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에 적응하고, 학생들에게 적용 가능한 내용을 제공해야 한다.

전문성은 교사의 핵심 능력 중 하나로 간주된다. 교사의 전문성은 특정 영역의 지식과 기술, 사회 발전과 변화에 따라 발전하는 능력, 교수 방법 및 학습자 수준에 맞게 가르칠 수 있는 능력, 사명감, 봉사정신 등으로 정의된다. 이와 관련하여 스포츠교육학 분야에서는 체육교과 지식, 체육수업 수행, 교사의 개인적 역량, 반성 및 비판 능력 등이 교사의 전문성 요소로 강조되었다.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학생들과 학교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는 학교와 학생들의 요구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변화력이 필수적이다. 변화력은 유연성과 적응성을 바탕으로 혁신과 성장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자세를 나타낸다.

뿐만 아니라 중등 여성체육교사의 스포츠 리터러시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도출되었다. 첫째,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건강상의 문제가 수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건강관리에 많은 신경을 쓰고 있었으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학생들의 성취도를 높이기 위해 교사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학생들의 필요에 맞게 수업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유지하기 위해 학생들을 이해하고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넷째, 다양한 대상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려고 노력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사는 학교의 규칙을 따르며 학생들의 성장을 지원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이러한 특징들은 중등 여성체육교사가 학생들과의 관계 형성과 교육 전문성 향상에 주력하며, 변화에 대응하고 학생들의 성취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는 교육자로서 중요한 측면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의 공통적 요인으로 나타난 스포츠 리터러시 요인 및 구성요소가 현장에서 종사하는 교사들에게 나타나고 있는지 파악이 필요하다. 체육교사들이 함양해야 할 스포츠 리터러시 요인 및 구성요소는 다양하겠지만 본 연구에서 도출된 요인들을 체육교사들이 함양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 교사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경력 차이에 따른 숙련성과 적응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동료 교사들과의 소통과 수업 참관이 중요하다. 교사들은 서로의 수업을 참관하여 다양한 수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으며, 다른 교사들의 수업에서 좋은 아이디어를 얻어 자신의 수업에 적용할 수 있다. 실제 현장에서의 수업 참관은 상황인지력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준다. 교사들은 다른 학교의 수업을 참관하거나,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과 협력하여 자신의 지식을 보완하고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을 통해 교사들이 보다 전문적이고 경쟁력 있는 체육교사가 되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육부나 지자체에서는 교사들의 교육과 연수를 보다 체계적으로 제공하고, 교육과정을 보완하며, 체육교육 환경을 개선하는 등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들을 통해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이 보다 높은 수준의 스포츠 리터러시를 보유하고, 국내 체육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은 교육자로서 책임감을 가지고 학생들을 잘 가르치기 위하여 끊임없이 자기 스스로를 갈고 닦으며 자기개발을 하고 있었다. 이들은 자신의 역할에 대한 책임감과 학생들을 잘 가르치기 위한 열정을 가지고 있으며, 지속적인 자기개발을 통해 끊임없이 발전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학교 체육교과의 다양성과 지속적인 체육교과의 지도는 중등 체육교사에게 부담감을 안겨주는 요소 중 하나이다. 이러한 부담감은 체육교사들이 더욱 자발적으로 자기개발에 노력하게 만든다. 그러나 자기개발을 위한 비용 부담도 따르고 있었다. 따라서, 체육교사들이 다양한 체육교과를 지도할 수 있도록, 일회성 연수가 아닌 지속 가능한 연수, 연계성 연수가 필요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이를 위해서는 제도적 개편과 비용적 부담을 최소화하는 다양한 연수 지원이 필요하다. 체육교사들은 자신이 지도하는 학생들의 건강한 성장과 발전을 위해 꾸준한 자기개발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교육부나 지자체 등에서 지속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이 교육자로서의 소명감과 열정은 높게 가지고 있었지만, 과다한 행정업무로 인해 교육자로서의 정체성에 혼란을 겪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상황은 교사들이 자신의 역할에 충실하고 소신 있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중등 여성체육교사들을 교사로서 학생들을 지도하고 가르치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하지만, 현재의 교육체제에서는 교사들이 수업 이외의 다양한 행정업무를 처리해야 하는 것이 일상화되어 있다. 이로 인해 교사들은 교육자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혼란을 느끼고 있었으며, 이와 같은 현상은 교육에 대한 열정을 잃을 수도 있다. 따라서, 중등체육교사들이 자신의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그리고 환경적으로 개선이 필요하다. 행정업무와 관련된 일부 업무를 줄이거나 대체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하며, 이를 위해 학교나 교육청에서 교사들을 지원할 수 있는 전문가를 배치하는 방안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또한, 교육체제의 개선을 통해 교사들이 자신의 역할에 충실하고, 소신 있게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이러한 노력이 중등체육교사들이 교육자로서의 소명감을 유지하고, 열정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돕게 될 것이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인하대학교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 강지민, 박상봉(2019). 한 초등학교 여자체육전담교사의 체육수업 전문성 개발의 첫 경험.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3(4), 15-31.
  • 고문수, 손천택(2005). 초등학교 게임수업에서 학생의 갈등 상황 이해. 한국초등교육학회지, 12(3), 143-161.
  • 고재천(2001). 초등교사의 전문성 탐색. 한국초등교육학회지, 14(2), 159-179.
  • 김만의(2000). 초등학교 체육교사의 전문지식과 교사교육의 과제. 초등교육연구논총, 15(1), 3-32.
  • 김수영, 최의창(2022).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무용 잘 가르치기”: 의미 및 실행 양상 탐색. 한국무용학회지, 21(4), 1-16.
  • 김아영(2012). 교사전문성 핵심요인으로서의 교사효능감. 교육심리연구, 26(1), 63-84.
  • 김아영, 이동호(2018). 교육비평으로 분석한 영화 “빌리 엘리어트” 의 스포츠 리터러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4), 451-470.
  • 김현정(2014). 무용전공 여성체육교사로서의 삶.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혜연(2020). 중등 여자체육교사의 교사 정체성 형성과정과 요인 탐색: 중등 학교 여성 체육 교사의 교사 정체성 형성 및 요인에 대한 탐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남상우, 이해령. (2019). 초(超)남성적 학교 체육 문화 내 여자체육교사의 젠더 수행 이론화.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32(1), 1-19.
  • 류태호, 이해령(2018). 초(超)남성적 공간에서 여자체육교사로 살아가기. 스포츠사이언스, 145, 75-81.
  • 문화체육관광부(2019). 스포츠혁신위원회 제3차 권고문.
  • 문화체육관광부(2020). 체육백서.
  • 민병석(2013). 고등학교 태권도 학생선수가 지각하는 코치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 코칭능력개발지, 15(1), 33-42.
  • 민홍미(2023). 스포츠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테크놀로지통합 초등체육수업 실행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박대원, 김진필(2018). 체육실기 수업에서 여자 초등예비교사의 경쟁 활동에 관한 인식과 실천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6), 149-174.
  • 박소원(2019). 중등학교 여자 체육교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수업 만족도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 박소희(2021). 무용전공 여성 체육교사의 교직적응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 박용남, 윤기준(2019). 체육수업 전문성에서 학교체육 전문성으로: 초등체육교사 전문성 개념의 외연 확장. 한국초등교육, 30(2), 53-64.
  • 박한울(2022). 운동참여 직장인의 헬스 리터러시와 운동 자기-도식, 의사결정 균형 및 운동 지속의 구조적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 박혜진(2018). 대학 교양체육 수업을 통한 자기주도성 경험: 스포츠 리터러시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지, 57(6), 101-121.
  • 박현애(2022). 체육학 전공생의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문학 비평 수업 사례 - 어슐러 K. 르 귄의 오멜라스를 떠나는 사람들을 활용. 문화와 융합, 44(9), 63-74.
  • 서재열, 김나래(2021). 스포츠소비자의 디지털리터러시 연구. 한국웰니스학회지, 16(3), 69-74.
  • 오헌석, 김정아(2007). 전문성 연구의 주요 쟁점과 전망. 기업교육과인재연구, 9(1), 143-168.
  • 우소연(2021). 육상 지도 리터러시의 개념, 구성요소 및 형성 경험 탐색.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대학원.
  • 우평호(2021). 초중등 연계 체육교육을 위한 G-suite 기반 운동소양 e-포트폴리오 개발 및 활용 사례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유춘옥, 조미혜(2010). 여성 체육 교사의 내용교수지식(PCK) 형성과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여성체육학회지, 24(4), 73-92.
  • 윤성욱, 김재형, 윤용진(2013). 특수체육 여자교사의 직무 수행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22(3), 957-967.
  • 윤진수(2022). 디지털 스포츠 리터러시 모델 개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 윤현수(2020). 중학교 여자 초임 체육교사의 복싱 수업 지도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5(1), 77-92.
  • 이길배(2000). 體育敎師의 敎授行動이 中學生들의 學習態度에 미치는 影響.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울산대학교 대학원.
  • 이성희(2018). 골프소양 함양을 위한 읽는 골프의 스포츠교육적 활용방안.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이옥선, 조아라, 홍예리(2021). 여학생에서 여자 체육교사로: 초임 여자 체육교사의 과거 체육수업 경험이 교직 입문에 미친 영향. 교과교육학연구, 25(3), 207-217.
  • 이호연(2020). 배구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중학교 스포츠클럽 지도 방안 탐색.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임수진, 문영(2021). 댄스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대학 교양강좌에의 적용 및 효과 탐색.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9(1), 157-172.
  • 임현수, 백순근(2006). 중학교 교사의 실천지능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7(2), 115-135.
  • 장인옥, 전평국(2001). 초등학교 교사의 수학에 대한 신념과 교수 실제에 관한 사례 연구. E-수학교육 논문집, 11, 85-105.
  • 장진솔(2021). 체육돌, 사랑꾼, 롤모델: 중등 학생들이 인식하는 여자체육교사의 긍정적 이미지 탐색.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전세영(2008). 중학교 여자 체육교사의 게임 수업 체험.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전수진, 박경규(2007). 사회 네트워크가 개인의 직무성과 및 경력의 지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 31(1), 147-171.
  • 전재희(2010). 비주얼 리터러시 신장을 위한 미술교육 연구: 명화 읽기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정영미(2009). 정보활용 교육이 도서관과 정보활용능력 자가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4), 265-280.
  • 조기희(2015). 체육수업 전문성 증진을 위한 교사학습공동체의 실천 과정과 효과 탐색.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조미혜, 김승환(2018). 여성체육교육자의 생애구술을 통해 살펴본 근현대학교 체육의 경험과 의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6), 537-561.
  • 조호제, 윤근영(2009). 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수업전문성의 차이 분석. 열린교육연구, 17(2), 183-207.
  • 채향순(2015). 무용교육의 가치 제고에 있어 댄스 리터러시 개념의 함의.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3(5), 163-182.
  • 최미숙(2005). 유아교사의 교수 효능감과 전문성 인식에 따른 교사행동 분석. 유아교육연구, 25(1), 195-215.
  • 최민희, 김용은, 김준(2021). 중학생이 인식하는 여성체육교사의 감성적 리더십과 지도행동유형이 체육교사신뢰와 체육수업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34(2), 1-18.
  • 최의창(2011). 댄스 리터러시 혹은 무용소양 - 문화예술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의 목적 재검토. 무용역사기록학회. 21, 139-161.
  • 최의창(2018). 스포츠 리터러시. 서울: 레인보우북스.
  • 최의창(2022). 운동맹을 탈출하라! 인문적 스포츠와 스포츠 리터러시가 필요한 이유.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159, 46-53.
  • 최의창, 전세명(2011). 운동소양의 함양: 전인교육을 위한 초등체육의 목적 재검토. 한국체육학회지, 50(1), 93-107.
  • 최재영(2019). 초등학생 스포츠 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체육 친화적 학급운영 실행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최진영, 이경진, 장신호, 김경자(2009). 초등학교 교사의 핵심역량 탐색. 한국교육학연구 (구 안암교육학연구), 15(3), 103-130.
  • 한은미(2009). 고등학생들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현솔(2018). 여성체육교사 이미지가 여학생의 신체적 유능감 및 체육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홍예리, 조아라, 이옥선(2022). 결점에서 강점으로: 중등 여자체육교사가 인식하는 긍정적인 전문적 정체성 탐색.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6(3), 1-20.
  • Creswell, J. W. (2009).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3rd ed.). London: Sage.
  • Hatano, G., Oura, Y. (2003). Commentary: Reconceptualizing school learning using insight from expertise research. Educational researcher, 32(8), 26-29. [https://doi.org/10.3102/0013189X032008026]
  • Huberman, M. (1989). The Professional Life Cycle of Teachers. Teacher College Records, 91, 31-57. [https://doi.org/10.1177/016146818909100107]
  • Ishak, N. M., Abidin, M. H. Z., & Bakar, A. Y. A. (2014). Dimensions of social skill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empathy among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in Malaysia.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16(21), 750-753. [https://doi.org/10.1016/j.sbspro.2014.01.292]
  • Johnson, D. W. (1997). Reaching out: Interpersonal effectiveness and self-actualization(6th ed.). Boston: Allyn & Bacon.
  • Jess, M., McEvilly, N., & Carse, N. (2016). Moving primary physical education forward: Start at the beginning. Education 3-13. [https://doi.org/10.1080/03004279.2016.1155072]
  • Masten, A. S., Garmezy, N., Tellegen, A., Pellegrini, D. S., Larkin, K., & Larsen, A. (1988). Competence and stress in school children: The moderating effects of individual and family qualities. The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29(6), 745-764. [https://doi.org/10.1111/j.1469-7610.1988.tb00751.x]
  • Patton, M, Q. (2002).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 Patton, M. Q. (2008). Utilization-focused evaluation (4th ed.). London: Sage.
  • Rossi, T., & Cassidy, T. (1999). Knowledgeable teachers in physical education: A view of teachers’ knowledge. In C. A. Hardy & M. Mawer (Eds.), Learning and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pp. 196-210). London: Routledge.
  • Shulman, L.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 of the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15(2), 4-14.
  • Strauss, A. L., & Corbin, J.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Thousand Oaks, CA: Sage.
  • Tsangaridou, N. (2012). Educating primary teachers to teach physical education. European Physical Education Review, 18(3), 275-286. [https://doi.org/10.1177/1356336X12450788]

표 1.

연구 참여자 정보

코드 연령(만) 교직경력 담당업무 및 특징
A 46세 24년 - 2020∼2021년 생활안전(학생부) 부장
- 2022년 교무기획부장
- 2018년 교육감상 수상
- 2016∼2019년 운동부 지도(쇼트트랙 종목)
- 워드프로세서 2급 자격증 보유
- 잘 하는 운동 종목: 배구, 농구
B 39세 15년 - 2022년 환경체육부장
- 방과 후 지도 배드민턴 종목 담당
- 운동부 지도(양궁 종목 전국소년체전 금메달 3개)
- 배드민턴 구대회 1위
- 생활스포츠지도사 3급 에어로빅 자격증 보유
- 잘 하는 운동 종목: 배드민턴, 에어로빅, 배구
C 32세 2년 - 2020년 3월∼2022년 2월 생활교육, 교복, 학생생활인권규정 제개정 담당
- 2022년 3월∼2023년 2월 미래교육 담당
- 잘 하는 운동 종목: 수영, 배드민턴, 줄넘기, 웨이트 트레이닝
D 29세 2년 - 2021년 스포츠 클럽 학생 선수 지도(축구, 태권도 종목)
- 2022년 학교폭력 담당
- 잘 하는 운동 종목: 볼링, 수영, 체조
- 2021년 학생안전부 기획, 1학년 담임
- 2022년 예술체육부 기획, 3학년 담임
- 생활스포츠지도사 2급 수영 자격증 보유
- 잘 하는 운동 종목: 수영, 축구
E 24세 2년 - 2021년 스포츠 클럽 학생 선수 지도(축구, 태권도 종목)
- 2022년 학교폭력 담당
- 잘 하는 운동 종목: 볼링, 수영, 체조
- 2021년 학생안전부 기획, 1학년 담임
- 2022년 예술체육부 기획, 3학년 담임
- 생활스포츠지도사 2급 수영 자격증 보유
- 잘 하는 운동 종목: 수영, 축구
F 25세 2년 - 2021∼2022년 운동부 지도(테니스 종목)
- 2022년 현장연구대회 1등급(체육분야)
- 잘 하는 운동 종목: 축구, 배드민턴, 골프, 스키

표 2.

심층면담의 주요 내용

영역 질문 예시
운동능 본인이 운동능력을 형성했다는 사실을 무엇으로 알 수 있었습니까?
운동능향유 평소 운동을 얼마나 즐깁니까?/즐긴다면 어떤 방법으로 즐깁니까?
운동지 다양한 인문적 활동들을 통해 무엇을 배울 수 있었습니까?
운동지향유 읽고, 쓰고, 보고, 듣고 그리는 활동도 함께 하십니까?/어떤 활동을 하십니까?
운동심 운동을 사랑하는 마음과 태도 형성에 영향을 미친 사건이나 은 무엇입니까?
운동심향유 다른 사람이나 팀을 위해 내가 노력하거나 양보, 또는 희생한 적이 있습니까?/어떤 경험이 있습니까?
교직생활 중등 체육교사로서 전문성(기량, 실력, 역량, 가치관) 형성 및 발달을 위해 어떠한 준비나 노력을 하였습니까?
발달 중등 체육교사로서 어떠한 교육관을 가지고 있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