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중학생들의 자아개념이 사회성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들의 자아개념이 사회성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교사와 학생들에게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참여 동기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 소재의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학생들 중 최종 300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표집방법은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s)을 이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중다화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 학생들의 자아개념은 사회성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 협력성, 사교성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회성은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교사관계, 친구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자아개념은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교사관계, 친구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들의 자아개념이 사회성 및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신체적 자아개념 뿐만이 아닌 학업적, 정서적, 사회적 자아개념 또한 스포츠 활동을 통해 사회성과 학교생활적응에 밀접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학교스포츠클럽 교사나 강사들은 학생들을 지도할 때 좀 더 다양한 면에 관심을 두고 지도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identifying the effects of self-concepts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school sports clubs on sociality and school life adaptation.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2019 middle school sports club based in Gyeonggi Province were selected as the population of the study. The data of 300 people were analyzed using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Using SPSS statistics, I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concept of the participating students had a parti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sub-factors(interpersonal relationship, cooperation, sociality) of sociability. Second, sociability had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 sub-factors(teacher relationships, friend relationships, school classes and school rules) of school life adaptation. Third, self-concepts had a parti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sub-factors(teacher relationships, friend relationships, school classes and school rules) of school life adaptation. In conclusion, the self-concept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school sports clubs has been shown to be affecting their sociability and school life adaptations. Recognizing that not only physical self-concepts but also academic, emotional and social self-concepts also have a close influence on social and school life adaptation through sports activities, teachers and instructors at school sports clubs should continue to pay more attention to a variety of aspects when guiding students.
Keywords:
school sports club, self-concept, sociability, Adjustment to school life키워드:
학교스포츠클럽, 자아개념, 사회성, 학교생활적응I. 서론
한국의 청소년들은 학력과 성적이 중시되고 대학 입시만 강조되는 현대사회 속에서 살고 있다. 또한 우리 나라 청소년 행복지수는 OECD 회원국 중 20위이며, 청소년 자살률은 세계 1위이다(김연주, 2017). 이를 통해 우리는 청소년들이 극심한 스트레스 속에서 생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청소년들은 현실과 비현실을 구분하지 못하고 정체성을 상실하거나 지나친 이기적인 모습으로 학교폭력, 자살, 등교 거부와 같은 사회적 문제의 행동을 일으키기도 한다(김병규, 2019).
위와 같이 과도한 스트레스를 겪는 청소년들이 적절하지 않은 문제 해결 방법을 사용할 때 인간관계 형성, 학교규칙 준수, 학업성적 등과 같은 학교생활 적응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김기순, 신선순 2011; 서인균, 이연실, 2016). 이러한 학교생활 부적응은 학교생활에서 자신의 욕구를 만족시키지 못할 때 발생하는 무능력, 자포자기, 절망, 불평, 불만 등의 감정으로 인해 학교나 개인에게 해로운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이병훈, 2017). 이는 곧 청소년들의 일탈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문제로(김세웅, 차윤숙 2015), 학교생활적응이 청소년들에게 중요한 문제임을 알 수 있다.
학교생활적응이란 학교생활에서 유발되는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노력의 결과로서 학교 상황에 대처하려는 시도를 의미한다(윤소민, 2006). 따라서 학교생활 적응능력이 뛰어난 청소년들은 학교에 대한 감정, 태도, 동기가 긍정적이므로 대인관계 능력과 학업성적이 향상되며, 행동 특성 또한 바람직하게 형성되어 개인의 성장뿐만 아니라 학교와 사회발전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겸임순, 2008).
청소년들에게 학교생활적응이 중요한 또 다른 이유는 학교가 개인의 자아개념, 자아수용 또는 자아거부의 태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장소이기 때문이다(신나나, 도현심 2000). 자아개념은 사람의 행동을 결정하는 전반적인 태도나 느낌으로 자기 자신에 대해 알고 있는 자아체제라고 말할 수 있으며 이는 행동의 방향성을 결정한다(박상덕, 이향숙 2004). 또한 자아개념은 타고나는 것이 아닌 성장과 함께 사회적 행동을 겪으며 서서히 발달해 나간다(Schaffer, Simpkins, Vest, & Price, 2011). 발달 과정 중 자아개념은 개인의 특성에 대한 자신의 관점뿐만 아니라 타인과의 관계에서 부여되는 가치평가에 따라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도 형성된다(Rogers, 1951). 따라서 자아개념이 긍정적으로 형성되어야만 학교생활적응 또한 긍정적으로 잘 할 수 있을 것이다. 박종수(2010)는 자아개념이 어떻게 발달하느냐에 따라 학교생활적응 영역 향상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며, 학교생활에 긍정적으로 적응해 나갈 수 있는 교육적 대안들이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 속에서 다각적으로 모색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학교 프로그램들 중 학교스포츠클럽의 참여가 학교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는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다(김기천, 2014; 조현민, 최영준, 2015; 최석, 김재운, 2017). 윤성근(2013)은 청소년시기의 스포츠클럽 활동참여가 능동적이고 지속적인 체육활동 참여기회를 제공하며, 심신 발달 이외에도 청소년들의 교우관계, 원만한 학급생활, 교사와의 관계 형성에 도움을 준다며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성에 대해 보고하였다. 또한 이용순(2002)은 심리적, 사회적 불안감을 해소 시키고 바람직한 사회적 태도를 함양하는 것이 학교생활 만족감을 증가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 운동과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에서는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요인과 함께 자아개념을 정신건강이라 하며, 청소년들의 불안, 자살충동 등을 이겨낼 수 있는 대처방안으로 스포츠클럽 참여를 제시하였다(고형규, 2013). 따라서 이러한 자아개념은 신체활동 참여 정책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심리적 요인임을 알 수 있다(김성일, 황영성, 2017).
자아개념과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최은심과 박철홍(2016)은 오케스트라 활동이 자아개념과 성격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학교생활적응을 설명한다고 하였다. 이소미와 김은경(2014)은 지속적인 방과 후 학교 예체능교육 프로그램의 참여가 아동들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김성일과 황영성(2017)도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중학생들의 자아개념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자아개념이 학교생활적응에 중요한 요인임을 간접적으로 설명해주고 있다.
한편 사회생활을 하는 인간의 근본 특성 중 하나인 사회성은 타인과 함께 사회에 적응하는 개인의 소질이나 능력을 의미한다. 청소년의 학교생활과 사회적 환경은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고 있으며, 스포츠 활동의 참여를 통해 사회적, 정서적으로 불안한 상태의 학생들에게 안정감과 만족감을 주어 사회성을 증진시키고 학교폭력을 예방할 수 있다(권이종, 1997). 따라서 청소년들은 학교스포츠클럽의 사회화 과정을 통하여 독립성과 자율성을 키워나가고, 자신에 대한 긍정적 관점, 성공감, 가치, 그리고 인간관계를 배우며 발달시켜 나감으로써 나와 다른 타인을 인정하고 수용하게 될 것이다.
타인과의 적절한 관계는 개인의 삶을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는 요소이며, 타인과의 유지능력 및 원만한 관계 설정은 사회성으로 대변할 수 있다(오연주, 2002; Gresham & Elliott, 1984). 청소년들이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회적 문제에는 스포츠 참여의 역할이 강조된다(한이석, 2007). 이수찬(2000)은 청소년들이 스포츠 활동을 통해 친구들과 경쟁적이며 또는 협동적인 관계를 맺음으로서 규칙을 준수하고, 남을 배려하며 예절, 경쟁, 협동, 스포츠맨십 등의 기본원리를 학습하고 그것을 배우는 과정에서 책임성, 자율성, 사교성, 상호협조 등과 같은 사회성 요인의 형성 및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이러한 사회성을 청소년이 학습하게 된다면 학교생활적응은 좋아질 것이다(이진선, 2015). 김홍록과 이광욱(2011)은 e-sport에 참가하는 중학생들의 사회성 발달이 학교생활을 적응하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를 보고하였다. 또한 구기범(2011)은 초등학교 운동부 활동이 사회성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사회성이 학교생활만족의 하위요인 중 친구적응과 가장 큰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지금까지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자아개념, 사회성, 학교생활적응은 청소년들에게 매우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체육 분야에서는 아직까지 자아개념과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사회성에 대한 연구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세 변인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청소년들의 자아개념이 사회성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는 청소년들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참여 동기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스포츠클럽참여 학생들의 자아개념과 사회성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입증하려 하며 그에 따른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중학생의 자아개념은 사회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중학생의 사회성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중학생의 자아개념은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는 현재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고 있는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2019년 4월부터 5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표본 추출법은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사용하였으며, 조사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총 6군데 중학교(N중학교, J중학교, H중학교, P중학교, S중학교, S중학교)에서 스포츠클럽 활동을 하고있는 재학생 총 350명을 대상으로 실시 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가운데 자료로서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한 결과 응답이 불성실하거나 혹은 미흡하다고 판단되는 자료를 제외한 남학생 168명(56%), 여학생 132명(44%)으로 300명의 설문을 최종적으로 사용하였다.
2. 조사도구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모든 설문지는 사전조사 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스포츠클럽 참여 중학생들의 자아개념을 위해서는 정종진(1996)이 개발하여 표준화시킨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하위요인으로는 학업적 자아개념 13문항(25,53,13,5,41,49, 1,65,69,45,17,77,9), 신체적 자아개념 6문항(43,11,79,55, 67,27), 정서적 자아개념 10문항(80,60,68,48,44,16,4,28,72,32), 사회적 자아개념 9문항(54,50,2,30,42,6,70,58,62)으로 총 4요인 3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사회성은 김종두(2010)가 개발한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하위요인으로는 대인관계 6문항(4,5,2,1,3,6), 협력성 5문항(9.10.11.7.12), 사교성 4문항(16,17,13, 15)으로 총 3요인 1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학교생활적응은 유윤희(1994)가 개발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하위요인으로는 교사관계 5문항(5,6, 2,3,4), 친구관계 5문항(9,8,10,7,11), 학교수업 5문항(18,17,15,16,14), 학교규칙 4문항(21, 22,23,20)으로 총 4요인 1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모든 설문지의 응답 형태는 “전혀 아니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까지의 5점 리커트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아개념, 사회성, 학교생활적응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설문문항의 타당도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고유치는 1.0이상인 요인들을 베리맥스(varimax)회전 방식을 실시하여 요인적재값을 산출하였다. 자아개념의 요인부하량은 .584~.889이며 전체 변수의 설명력은 62.011로 나타났다. Cronbach’s α값은 .869~.956로 나타나 조사도구의 신뢰가 확보되었다. 사회성의 요인부하량은 .631~.826이며, 전체 변수의 설명력은 67.266으로 나타났다. Cronbach’s α값은 .866~.912로 나타나 조사도구의 신뢰가 확보되었다. 마지막으로 학교생활적응의 요인부하량은 .574~.868이며 전체 변수의 설명력은 69.487로 나타났다. Cronbach’s α값은 .795~.924로 나타나 조사도구의 신뢰가 확보되었다.
3. 조사절차
설문조사는 연구자가 미리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학교의 양해를 구한 뒤 약속된 날에 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이루어졌다. 체육교사의 입회하에 학생들에게 연구 목적과 설문지의 작성 요령에 대해 설명한 후 설문지를 나누어 주고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rated method)에 의해 작성토록 하였으며 그 자리에서 즉시 회수하였다.
4. 자료처리
회수된 자료 중 응답 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자료를 제외하였다. 분석에 사용할 수 있는 유효한 자료 300부만을 mac용 SPSS 23.0 ver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활용하였다.
Ⅲ. 연구 결과
1. 상관관계 분석
본 연구의 문제를 검증하기에 앞서 구성개념간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80보다 낮은 값을 나타냈기에 다중공선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결과는 <표 1>과 같다.
2.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들의 자아개념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중학교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들의 자아개념 하위요인 중 사회적 자아개념, 학업적 자아개념, 신체적 자아개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적 자아개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개념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사회적 자아개념(β=.559), 학업적 자아개념(β=.221), 신체적 자아개념(β=.152)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성(대인관계)을 설명하는 정도는 46.8%(R2=.468)로 나타났다<표 2>.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들의 자아개념 하위요인 중 사회적 자아개념, 신체적 자아개념이 협력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적 자아개념, 학업적 자아개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개념이 협력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사회적 자아개념(β=.375), 신체적 자아개념(β=.252)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협력성을 설명하는 정도는 25.3%(R2=.253)로 나타났다<표 2>.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들의 자아개념 하위요인 중 사회적 자아개념과 신체적 자아개념, 학업적 자아개념이 사교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적 자아개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개념이 사교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사회적 자아개념(β=.317), 신체적 자아개념(β=.206), 학업적 자아개념(β=.141)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성(사교성)을 설명하는 정도는 17.7%(R2=.177)로 나타났다<표 2>.
3.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들의 사회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들의 사회성 하위요인 중 대인관계, 협력성은 교사관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교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성이 교사관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대인관계(β=.255), 협력성(β=.212)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생활적응(교사관계)을 설명하는 정도는 19.2%(R2=.192)로 나타났다<표 3>.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들의 사회성 하위요인 중 대인관계와 협력성은 친구관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교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성이 학교생활적응(친구관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대인관계(β=.615), 협력성(β=.131)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구관계를 설명하는 정도는 52.4%(R2=.524)로 나타났다<표 3>.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들의 사회성 하위요인 중 대인관계와 협력성과 사교성 모두 학교수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성이 학교수업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대인관계(β=.363), 협력성(β=.151), 사교성(β=.129)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생활적응(학교수업)을 설명하는 정도는 29.3%(R2=.293)로 나타났다<표 3>.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들의 사회성 하위요인 중 협력성은 학교생활적응(학교규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인관계, 사교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규칙을 설명하는 정도는 22.4%(R2=.224)로 나타났다<표 3>.
4.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들의 자아개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들의 자아개념 하위요인 중 사회적 자아개념과 학업적 자아개념, 신체적 자아개념은 교사관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적 자아개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개념이 교사관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사회적 자아개념(β=.315), 학업적 자아개념(β=.248), 신체적 자아개념(β=.158)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관계를 설명하는 정도는 22.3%(R2 =.223)로 나타났다<표 4>.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들의 자아개념 하위요인 중 사회적 자아개념, 정서적 자아개념, 신체적 자아개념은 친구관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업적 자아개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개념이 친구관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사회적 자아개념(β=.843), 정서적 자아개념(β=.208), 신체적 자아개념(β=.149)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구관계를 설명하는 정도는 57.5%(R2=.575)로 나타났다<표 4>.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들의 자아개념 하위요인 중 학업적 자아개념과 사회적 자아개념은 학교수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적 자아개념과 신체적 자아개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개념이 학교수업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학업적 자아개념(β=.540), 사회적 자아개념(β=.147)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수업을 설명하는 정도는 44.0%(R2=.440)로 나타났다<표 4>.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들의 자아개념 하위요인 중 신체적 자아개념, 학업적 자아개념은 학교규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자아개념과 정서적 자아개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개념이 학교규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학업적 자아개념(β=.191), 신체적 자아개념(β=.157)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규칙을 설명하는 정도는 12.6%(R2=.126)로 나타났다<표 4>.
Ⅳ. 논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들의 자아개념이 사회성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자아개념이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사회성의 대인관계 요인에 대해서는 자아개념의 사회적, 학업적, 신체적 자아개념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자아개념을 갖는 것이 대인관계에 중요하며, 사회적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대인관계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주변인으로부터 긍정적 피드백과 인정을 많이 받아 긍정적인 사회적 자아개념이 형성되면 타인과의 관계를 즐기게 되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그러므로 학교스포츠클럽에서 지도하는 체육교사의 경우 학생들의 신체적 자아개념뿐만 아니라 사회적, 학업적 자아개념의 중요성 또한 신경써야 할 것이다. 사회성의 협력성 요인에 대해서는 자아개념의 신체적 자아개념과 사회적 자아개념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태웅(2014)은 신체적 자아개념과 협동성, 또래 간 상호작용의 영역에서 모두 유의하다고 하였으며, 이상진(2008)은 협력성에 미치는 영향의 검증 결과 사회적 자아개념이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해주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체육교사는 사회적 자아개념을 겸비한 아이들이 협력을 잘한다는 것을 인지하고, 아이들의 협력성을 기르기 위하여 수준별 수업을 통해 신체적 자아개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사회성의 사교성 요인에 대해서는 자아개념의 사회적, 신체적, 학업적 자아개념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한 학생들이 남,여 불문하고 사회적 자아개념을 습득하여 남과 사귀기를 좋아하거나 쉽게 사귀며 사회를 형성하려는 인간의 특성을 실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영선, 김선응(2015)은 스포츠 참여 정도에 따라 일반적 특성, 정서적 영역, 사교성에 높은 상관이 있으며, 가족관계는 사회성과, 신체적 영역은 사교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고 하였다. 즉, 자아개념과 사회성 인식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인다며 이 연구 결과를 지지해주고 있다. 자아개념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자아개념은 사회성의 하위요인 중 어느 것에도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정서적 자아개념의 특징이 윤리적인 면이 특히 강하며 이상적이고 도덕성이 강한 것(장기영, 2006)으로 타인과의 대인관계에 어려움을 느끼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둘째, 사회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교생활적응의 교사관계 요인에서는 대인관계와 협력성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타인과의 대인관계와 협력성이 우수한 학생일수록 교사와의 관계가 원만하게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김만수, 한혜원, 김근국(2017)은 대인관계가 학교생활적응이 내포하고 있는 교사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며 본 연구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김선자(2007)는 초등학생들의 사회성 요인 중 협동성이 학교생활적응의 요인인 교사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며 이 연구결과를 간접적으로 지지해주고 있다. 따라서 위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들이 대인관계능력과 수업에서 배우는 협동심으로 인해 교사와의 관계, 만족에서 중요한 영향을 끼침으로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학교생활적응의 친구관계 요인에서는 대인관계, 협력성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성 발달은 올바른 대인관계와 주위 환경과의 원만한 관계를 통해 살아가는 능력을 의미하고 있다(유효순, 1992). 따라서 올바른 대인관계를 통해 교사관계 뿐만 아니라 사춘기에서 중요한 친구관계 또한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로 인해 학생들이 얻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김만수, 한혜원, 김근국(2017)은 대인관계가 학교생활적응이 내포하고 있는 친구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여 이 연구를 지지하고 있다. 학교생활적응의 학교수업 요인에서는 대인관계, 협력성, 사교성 요인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서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를 통해 교우들과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면 학업부진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체육교사나 강사들은 학교스포츠클럽에서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형성하게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김희영, 곽수란, 양미경(2016)은 올바른 대인관계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학교에서의 부적응이 학업부진과 중단 등 청소년 비행으로 이어지며 삶의 질을 저하시킴으로써 학교생활이 사회성 발달에 매우 중요하다고 밝힘으로 이 연구를 지지하고 있다. 학교생활적응의 학교규칙 요인에서는 협력성 요인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스포츠클럽에서 같은 팀으로서 함께 운동하고 서로의 어려움을 도와주며 팀에 대한 애착심을 갖을수록 더 나아가 학교를 좋아하게 되고 학교 규칙을 준수하는데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차유미(2009)는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 협동성이 학교규칙에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으며, 사회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학교생활에 적응을 더 잘한다며 본 연구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셋째, 학교 스포츠클럽참여 학생들의 자아개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교생활적응의 교사관계 요인에서는 사회적, 학업적, 신체적 자아개념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들이 사회적, 학업적, 신체적으로 자아개념이 높아짐에 따라 교사와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사회적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학습 적응 활동이나 선생님에 대한 적응이 높아지기 때문이다(김성일, 황영성, 2017; 장하영, 2012). 또한 사회적 자아개념이 적응 활동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준다는 것은 주위 사람들로부터 도움과 관심을 많이 받는다고 지각할수록 학교생활에 더 잘 적응한다는 것을 시사해준다(한성희, 2002; Wifield & Eccleds, 2000). 학교생활적응의 친구관계 요인에서는 사회적, 정서적, 신체적 자아개념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류경희(2009)는 댄스스포츠 참가자의 사회성이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에서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들의 사회적 자아개념은 청소년기에 중요한 친구관계에 영향을 끼침으로 중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이병준(2013)은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들의 정서적 자아개념이 친구관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학생들은 소속된 팀이 승리하거나 목표를 달성했을 때는 즐거움, 기쁨을 경험하지만 반대로 자신이 속한 팀이 패배하거나 목표에 실패했을 경우에는 슬픔, 분노, 수치심과 같은 정서를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동안 아이들에게 긍정적 정서를 경험하게 하고, 올바른 정서적 자아개념이 생기도록 지도한다면 친구관계로 인한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 영향이 미치게 될 것이다. 학교생활적응의 학교수업 요인에서는 학업적, 사회적 자아개념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하는 중학생들의 스포츠 참여가 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를 낮출 뿐 아니라 학교생활적응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유춘옥, 박갑준, 김승환, 2015). 신정은(2001)은 학업적 자아개념과 학교생활적응 간 의미 있는 정적 상관이 있다는 연구결과로 이 연구를 지지해주고 있다. 반면 신체적 요인은 학교수업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김성일과 황영성(2017)의 연구에서 신체적 자아개념은 학교 수업 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연구결과로 본 연구를 지지하고 있다. 이는 타인과의 관계나 학교규칙을 따르는 데는 어느 정도 자신의 신체에 대한 긍정적인 개념이 중요하게 작용하지만 수업 내에서는 상호작용이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일 것으로 사료된다.
학교생활적응의 학교규칙 요인에서는 학업적 자아개념, 신체적 자아개념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포츠클럽 활동으로 인해 학업적 열의, 활기, 효능감, 헌신 등을 겸비한(김승진, 2013) 학업적인 자아개념은 학교규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학교에서 대부분의 생활을 보내는 학생에게 있어 학교는 매우 중요한 사회적 공간이며, 다양한 경험을 통해 긍정적인 자아개념의 정립이 필요한 사회화의 장이다. 그러므로 학교 현장에선 건전한 자아개념의 방향을 제시하여 학습자들이 긍정적인 학교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필요할 것이다. 박종수(2010)는 자아개념이 학교생활적응의 모든 하위 요인 간 매우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였으며, 서기엽(2019)은 스포츠클럽 참여를 통하여 신체적 자아개념을 길러 학교규칙에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해주고 있다.
V. 결론 및 제언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들의 자아개념의 정서적 요인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들은 사회성의 대인관계, 협력관계, 사효성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들의 사회성은 학교생활적응에 모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들의 자기개념은 학교생활적응에 모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학생들의 자아개념이 사회성 및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신체적 자아개념 뿐만이 아닌 사회적, 학업적, 정서적 자아개념 또한 스포츠 활동을 통해 밀접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교스포츠클럽의 교사나 강사들은 신체적인 발달에 초점을 두기보다는 참여 학생들의 학업, 정서, 사회에도 영향을 끼침을 숙지하여 지도한다면 사회성과 학교생활적응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연구자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비교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러나 개인적 특성에 따라서도 연구결과가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대상자의 특성(초, 중, 고, 대, 남, 여, 적극적 참여, 소극적 참여 등)을 좀 더 세부화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자아개념, 사회성,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관계 연구가 너무 미흡한 관계로 본 연구 결과를 명확하게 설명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대상과 다양한 변인간의 관계에 대한 지속적인 후속연구를 통해 학교체육에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조영훈 석사학위 논문을 요약 정리하였음.
참고문헌
- 겸임순(2008). 궁중무용인 춘앵전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 고영선, 김선응(2015). 학교 스포츠 활동 참여가 여고생의 자아개념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4(4), 407-417.
- 고형규(2013).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정도가 대인관계성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권이종(1997). 학교폭력의 발생배경과 지도방안. 한국교육사회학회 학술대회 발표 자료, 1(120), 84-103.
- 구기범(2011). 초등학생의 운동부 활동이 사회성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 김기순, 신선순(2011). 청소년이 지각한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 9(3), 94-111.
- 김기천(2014). 학교 스포츠클럽활동 참여에 따른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과 학교생활만족도. 스포츠과학논문집, 26(1), 81-102.
- 김만수, 한혜원, 김근국(2017). 태권도 수련에 따른 자기조절력과 학교생활적응 및 사회성 발달의 관계.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5(2), 167-177.
- 김병규(2019).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중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김선자(2007).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성일, 황영성(2017). 학교 스포츠클럽 참여 중학생의 자아개념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5(4), 15~22.
- 김세웅, 차윤숙(2015). 스포츠클럽활동이 청소년들의 일탈행동 완화와 사회성발달 및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9(4), 151-164.
- 김승진(2013). 스포츠클럽 활동에 참여하는 중학생들의 인성과 합업열의 관계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연주(2017). 한국 학생, OECD 행복지수는 꼴찌권, 빈곤가정 비율 등 물질적 행복은 2등. 조선일보.
- 김종두(2010). 초등학생 사회성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성 연구, 한국교윤대학교 교원연구원, 교원교육.
- 김홍록, 이광욱(2011). 중학생의 e-스포츠 참가와 학교생활적응 및 사회성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4(1) 429-440.
- 김희영, 곽수란, 양미경(2016). 성별에 따른 아동기 사회적 관계가 자아개념 및 학교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 34(1), 69-91.
- 남인숙(2011). 학력사회와 학교교육의 모순. 한국사회이론학회지, 40(1), 101-127.
- 류경희(2009). 댄스스포츠 참가자의 친구관계와 사회적 능력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5(2), 1201-1210
- 박상덕, 이향숙(2004). 스포츠 활동 참가가 중,고등학생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경남체육연구, 9(1), 25-35.
- 박종수(2010). 중학생의 자아개념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 서기엽(2019). 중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대회 참여유무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만족도의 차이.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서인균, 이연실(2016). 청소년기 학대경험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학교사회복지, 1(34), 45-68.
- 신나나, 도현심(2000). 청소년의 자아개념에 대한 부모-자녀관계와 학교생활 적응간의 상호작용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8(3), 99-113.
- 신정은(2001). 학업자아개념과 정신건강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 신태웅(2014). 기초체력 증진을 위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중부대학교 대학원.
- 오연주(2002). 부모의 운동능력의 중요성인식 및 참여도가 4~5세 유아의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9(3), 83-105.
- 유윤희(1994). 학교적응, 불안, 학업성취간의 관계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 유춘옥, 박갑준, 김승환(2015). 중학생의 스포츠활동 참여와 자아탄력성, 학업스트레스 및 학교생활적응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22(2), 109-126.
- 유효순(1992). 유아의 애착과 사회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 윤소민(2006). 고등학생의 체육수업만족이 학교생활적응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병준(2013). 체육수업의 정서적 구조와 특성 탐색. 한국열린교육학회, 21(2), 259-278.
- 이병훈(2017). 중학생의 스포츠 활동 참여가 사회성과 공격성의 요인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상진(2008). 초등학생들의 해양스포츠 참여와 자아개념 및 사회성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산업대학원.
- 이소미, 김은경(2014). 방과후학교 예체능교육 프로그램 참여가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9), 507-525.
- 이수찬(2000). 청소년기의 스포츠활동참가 와 집단응집력 및 사회성간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진선(2015). 초등학생의 무용 활동 참여가 사회성, 교우관계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학회지, 15(1), 39-48.
- 장기영(2006). 고등학교 여학생들의 스포츠참여 형태와 자아개념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 장하영(2012). 초등 영재아동의 자아개념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하교 교육대학원.
- 정종진(1996). 자아개념 진단 검사지 및 실시 요강. 서울 : 한국적성연구소.
- 조현민, 최영준(2015). 학교스포츠클럽 활동 참여 중학생의 교우관계, 사회성 및 학교생활만족도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4(6), 833-843.
- 차유미(2009).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성 및 학교적응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 최석, 김재운(2017).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초등학생의 학교폭력태도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1(2), 131-147.
- 최은심, 박철홍(2016). 초등학생의 오케스트라활동 경험이 자아개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敎員敎育, 32(2), 161-183.
- 한성희(2002). 영재 중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한이석(2007). 사회체육학. 도서출판 홍경.
- Gresham, F. M. & Elliott, S. N. (1984). Assessment of children’s social skills: A review of methods and issues. Jounal of School Psychology, 13, 292-301.
- Rogers, C. R. (1951). Client centered therapy. Boston; Houghton Mifflin.
- Schaffer, D. R., Simpkins, S, D., Vest, A. E. & Price, C. D.(2011). The contribution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to adolescent friendship new insight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Developmental Psychology, 47(4), 1141-1152. [https://doi.org/10.1037/a0024091]
- Wigfield, A., & Eccled, J. S. (2000). Expectance value theory of achievement motivation. Contempoary Education Psychologist, 25, 68-81. [https://doi.org/10.1006/ceps.1999.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