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Girls and Women
[ Article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Girls and Women - Vol. 34, No. 2, pp.33-48
ISSN: 1229-6341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20
Received 13 May 2020 Revised 27 Jun 2020 Accepted 30 Jun 2020
DOI: https://doi.org/10.16915/jkapesgw.2020.6.34.2.33

여고생의 체육교사신뢰와 체육학습의욕 및 체육수업만족의 구조분석

김승환 ; 조미혜**
인하대학교, 시간강사
인하대학교, 교수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hysical Education Teacher-Trust, Physical Education Learning Motivation, and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in High School Female Students
Seung-Hwan Kim ; Mi-Hye Cho**
Inha University, Lecturer
Inha University, Professor

Correspondence to: ** 조미혜, 인하대학교, E-mail : phycmh@inha.ac.kr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여고생의 체육교사신뢰와 체육학습의욕 및 체육수업만족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인천지역의 여자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고 총 337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전체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고 각각의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고생의 체육교사신뢰는 체육수업만족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여고생의 체육교사신뢰는 체육학습의욕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여고생의 체육학습의욕은 체육수업만족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여고생의 체육수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에 대한 신뢰와 체육학습의욕이 매우 중요한 요인이며, 교사는 학생과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친밀함과 신뢰의 관계를 형성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에서는 여고생들이 체육교사를 신뢰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전략과 수업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trust, the physical education learning motivation, and the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in high school female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 total 337 questionnaires were used the as final valid sample for high school female students in the Incheon area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or data processing, SPSS ver 18.0 and AMOS 18.0 program were used to verify the fit of the entire model and then individual hypotheses were verified.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trust for high school female students had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Second,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trust had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on the physical education learning motivation. Third, the physical education learning motivation had statistically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physical education class, it was found that trust in teachers and the physical education learning motivation are very important factors. And teachers need to build a relationship of intimacy and trust through ongoing interaction with students. In the future study,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specific teaching strategies and teaching programs in which high school female students can trust the PE teacher should be conducted.

Keywords:

Physical Education Teacher, Teacher-Trust, Learning Motivation, Class Satisfaction

키워드:

체육교사, 체육수업, 교사신뢰, 학습의욕, 수업만족

I. 서론

적절한 신체활동은 일상생활에서 만족과 행복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수많은 연구에서 증명되었듯 학교에서의 체육수업 활동은 학생들의 체력 및 신체 기능의 발달과 더불어 다양한 스포츠 문화의 경험과 학습을 가능케 하고 학습능력을 향상시키며 스트레스 감소 및 정서적 측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류현승, 박혜인, 김경래, 2015; 이규일, 2012; 정현우, 2016; 조욱상, 김재원, 2012; Bailey et al., 2009; Eime et al., 2013; Sandford, et al., 2008). 또한 학교스포츠클럽활동이나 방과 후 학교 등 여가시간 내 신체활동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것은 학교생활 뿐 아니라 일상적인 생활에도 만족감을 준다(박문수, 최옥진, 2010; 조창모, 2011; 최장호, 2010; 황선환, 김홍설, 2012). 이렇듯 청소년의 신체활동 참여의 의미가 결코 작지 않은 이유는 생활의 만족과 행복을 위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함과 동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박세윤, 김준, 장정윤, 2015; 현정혁, 홍준희, 이현영, 2010; McAuley, et al., 2008).

불행하게도 우리나라 청소년의 행복은 OECD 회원국 중 최하위권으로 인식되고 있다(황환, 김영환, 2017). 타 국가 청소년들에 비해 성적관리와 대학입시 등으로 더 많은 스트레스와 낮은 삶의 만족감을 느끼고 있으며 이는 부족한 신체활동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Caldwell, 오세숙, 2011; 박세윤, 윤대현, 권인선, 2018 에서 재인용). 세계보건기구에서는 개인의 건강 및 건강한 삶을 누리기 위한 조건으로 신체활동을 강조하고 있지만, 부족한 신체활동과 건강한 행복을 누리지 못하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현실은 그것과 매우 대조적인 모습이다. 실제로 체육수업이나 기타 신체활동이 청소년기 학생들에게 신체적(운동기능, 건강증진, 비만율 감소 등), 심리적(자기효능감, 자아존중감, 우울감 등), 인지적(두뇌 발달, 창의성, 학업 성취 등), 정의적‧사회적(배려, 존중, 스포츠맨십, 범죄예방 등)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정현우, 2019) 학교현장에서 체육교과는 주변교과 대비 상대적 위치 저하, 열악한 체육교수환경, 체육예산 감소 등의 문제로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어려운 상황이며 주지교과의 학습과 성적을 저해한다는 그릇된 편견에 놓여 상급학교로 갈수록 체육수업의 퇴화현상이 발생하고 있다(오정우, 권현진, 송봉길, 이온, 김연수, 조강옥, 2013). 이러한 상황에서 정규 체육수업 이외에 신체활동을 한다는 것은 일부 학생과 학부모들에게는 다소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이 되었고 체육수업 조차도 여러 요인들로 인해 점점 힘을 잃어가고 있다(오상훈, 2020). 더 큰 문제는 신체활동 부족 및 기피 현상이 상급학교로 진학할수록 개선되지 못하고 오히려 심각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고등학교에서 체육수업 권장 시간인 주당 3시간을 운영하는 비율은 25.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서울의대 건강사회정책연구실, 2018), 특히 여학생의 체육활동 참여가 남학생에 비해 소극적이고 저조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김재운, 2014; 류춘옥, 2014; 손정욱, 김기학, 이진훈, 2006; 이강순, 2015).

학교급별 여학생의 체육수업 참여가 저조한 원인을 살펴보면 초등학교의 경우 개인성격, 수업환경, 교사의 성향, 친구와의 관계, 체육활동 종류에 영향을 받는다 하였고(유선주, 2014), 중학교의 경우에는 체육복, 개인 소질, 땀 흘리기 싫어서, 체육선생님 등으로 나타났다(최경자, 2014). 또한 고등학교의 경우 열악한 체육환경, 친구관계, 여학생의 감성과 특성을 고려하지 않는 활동 등으로 나타났다(류춘옥, 2014; 이강순, 2015; 재인용). 다양한 원인 속에서 눈여겨 봐야할 점은 학생과 체육교사와의 관계이며 이는 교사의 관심과 노력에 의해 개선이 가능하다. 교사와 학생의 관계는 공적인 제도 안에서 정해진 목표를 가지고 긴밀히 상호작용하는 관계로서 교사는 학생에 대해 관심을 갖고 함께 공감 및 이해해야 하고, 학생은 교사에 대한 친밀함과 존중감을 통해 교사가 신뢰할 수 있는 유능한 사람이라고 믿을 수 있어야 한다(안수희, 2018). 이러한 관계 형성은 학습자에게 성공적인 수업성취와 학교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학생들의 내재적 목표 그리고 수업참여에 긍정적인 정서가 형성되어 학습동기와 학습참여를 향상시키고 학습의 효율성을 증가시킨다(김종백, 김준엽, 2014; 김종렬, 2014).

다시 말해 체육교사와 학생간의 원만한 의사소통은 정서적 오해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존중과 배려의 느낌을 경험케 하여 교사와 학생 모두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할 수 있게 한다. 학생의 정서적 안정은 학습환경에 영향을 주어 수업에 집중하는데 도움을 주고 상호 협력적인 관계 형성을 촉진하여 학생의 수업 참여와 수업태도에 긍정적이고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추나영, 2014; 오중근, 2020에서 재인용). 이렇듯 교사와 학생은 원만한 의사소통을 통하여 서로 믿고 존중하며 의지할 수 있는 인격적인 신뢰 형성이 매우 중요하다(김동환, 김승용, 2014).

학교에서 신뢰란 도덕적인 존재로서의 학생과 교사 상호간의 존중을 의미한다(Applebaum, 1995). 교사와 학생 간에 형성된 신뢰관계는 교사가 효능감과 유능감을 가지고 교직에 종사할 수 있는 풍토를 만든다. 또한 학생이 심리적 안정감을 가지고 수업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데 기여한다(백종수, 김영주, 2013). 실제로 학생들은 교사의 우수한 교수능력보다도 교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교사에 대한 신뢰관계 형성, 체육수업에 대한 적극적인 열의와 태도 등을 갖게 한다(류태호, 2001). 또한 학생들에게 신뢰감을 준 체육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체육교과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되고, 결과적으로는 체육수업에 적극적인 참여 및 체육교육의 효과를 가져 오게 하는 태도에 전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김승용, 2010).

학습의욕은 학생들이 학습에 대해 능동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정도, 자신에 대한 믿음, 과제수행의 실패에 대한 불안정도 등과 같은 것으로 정의되며 학생 개인의 성취행동에서 학습성취 수준까지의 학습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손정욱, 김기학, 이진훈, 2006). 학생이 체육교과에 대한 적극적인 학습의욕이 형성되면 체육수업으로의 참여도와 집중도는 높아질 수 있지만 반대로 과제 실패에 대한 불안감을 등을 지속적으로 경험하면 체육교과 및 체육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 어려워져 학습의욕이 낮아진다(김성일, 2014). 체육수업에서 학습의욕과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면, 주영현(2009)은 교사와 학생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은 학습의욕에 선행하는 중요 요인임을 규명하였고, 박경석(2011)은 학습의욕의 형성 여부에 따라 수업 참여도와 집중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남인수(2014)는 체육교사의 자율적 교수행동은 학생의 학습태도 및 방법, 유능감, 노력 등의 학습의욕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이상의 연구들을 종합해 볼 때, 체육수업에서 학생의 체육교사신뢰는 체육학습의욕과 체육수업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선행연구의 결과들은 질적으로 우수하고 시의성도 높다고 할 수 있으나 각각의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 중심이며, 앞서 제시한 세 변인들에 관한 논리적 구조 및 관련성을 통합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다소 제한적이다. 또한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신체활동에 소극적이라는 연구와 상급학교로 갈수록 신체활동이 부족해진다는 선행연구를 고려하여, 연구 대상을 여고생으로 특정하여 위 변인들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고생의 체육교사신뢰가 체육학습의욕과 체육수업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고생의 체육교사신뢰는 체육수업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여고생의 체육학습의욕은 체육수업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여고생의 체육교사신뢰는 체육학습의욕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러한 연구는 여고생의 체육수업만족에 대한 의미있는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학생이 느끼는 체육교사신뢰와 체육학습의욕, 체육수업만족의 관계를 이해하여 체육수업의 내실화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1>은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설정된 가설적 연구모형이다.

그림 1.

연구가설 모형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이 연구는 인천지역의 I고등학교와 H고등학교 소속의 여학생 372명을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활용하여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해당 학교 체육교사의 협조 하에 본 연구의 목적과 설문 내용, 설문 작성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후 해당 학교 교실에서 직접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급설문에 참여한 인원은 총 372명이며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결측 값이 존재하는 설문지를 확인하여, 35부를 제외한 총 337부의 자료를 본 연구의 최종 자료로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표 1>과 같다.

연구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조사도구

본 연구의 설문지는 <표 2>에 제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 특성 관련 문항 2개, 체육교사신뢰 관련 문항 17개, 학습의욕 관련 문항 27개, 체육수업만족 관련 20문항의 총 66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조사도구의 구성

각 척도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일반적으로 사회과학 분야에서는 Cronbach α 값이 0.6이상이면 신뢰도가 있다고 본다(송지준, 2011). 본 연구의 조사도구는 0.8이상의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또한 구성타당도의 확보를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모델 적합도 기준을 충족하며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1) 체육교사신뢰

체육교사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박경식, 박채희(2009)가 개발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체육교사신뢰도는 친밀성(4문항), 수업구성(4문항), 운동능력(3문항), 지도방법(3문항), 공정성(3문항)의 5개 하위요인, 총 17문항으로 5점 Likert 척도(5점=매우 그렇다, 1점=전혀 그렇지 않다)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 EFA)을 실시한 결과, 선행 연구와 같이 5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각 요인에 대한 신뢰도 값은 .830 에서 .899 로 나타났으며 전체신뢰도는 .934로 나타났다.

조사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AMOS 18.0 프로그램으로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표 3>과 같이 양호 이상의 적합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측정도구의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체육교사신뢰 확인적 요인분석

2) 체육학습의욕

체육학습의욕을 측정하기 위해 손정욱, 김기학, 이진훈(2006)이 개발한 척도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래의 체육학습의욕 설문지는 학습태도와 방법(8문항), 실패 불안(6문항), 유능감(6문항), 노력(4문항), 긴장(3문항), 학습가치(3문항)의 6개 하위요인, 총 30문항으로 5점 Likert 척도(5점=매우 그렇다, 1점=전혀 그렇지 않다)로 구성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에서도 선행 연구와 같이 6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각 요인에 대한 신뢰도 값은 .839에서 .950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신뢰도는 .920으로 나타났다. 조사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AMOS 18.0 프로그램으로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NFI. TLI 값이 적합기준보다 낮게 나타났다. 이에 타당도를 높이고자 학습태도 및 방법 1문항(8번), 실패와 불안 2문항(13번, 14번)을 삭제하였고 <표 4>과 같이 양호 이상의 적합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측정도구의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체육학습의욕 확인적 요인분석

3) 체육수업만족

체육수업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권순석(2001), 조형준(2011)의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체육수업만족은 교수행동만족(7문항), 체육환경만족(6문항), 체육성적만족(4문항), 운동능력만족(3문항)의 4개 하위요인, 총 20문항으로 5점 Likert 척도(5점=매우 그렇다, 1점=전혀 그렇지 않다)로 구성되었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에서도 선행 연구와 같이 4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각 요인에 대한 신뢰도 값은 .777에서 .914로 나타났으며 전체신뢰도는 .950으로 나타났다. 조사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AMOS 18.0 프로그램으로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표 5>과 같이 양호 이상의 적합 수준으로 나타나 측정도구의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체육수업만족 확인적 요인분석

3.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SPSS 18.0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둘째, 각 척도의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셋째, AMO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각 척도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넷째, 체육교사신뢰, 체육학습의욕, 체육수업만족의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 구하고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끝으로 연구가설 모형의 적합도와 경로계수를 산출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실시하였다.


Ⅲ. 결과

1. 상관관계분석

체육교사신뢰, 체육학습의욕, 체육수업만족 척도 간 관련성의 정도와 방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를 분석하였다<표 6>. 상관관계분석 결과, 모든 요인들의 상관계수가 .688이하로 나타났다. 이는 상관계수 판단 기준인 .80보다 낮은 것으로, 모든 척도들이 서로 상이한 개념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척도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1)에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게분석

2. 구조모형 검증

본 연구의 모형은 체육교사신뢰, 체육학습의욕 및 체육수업만족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설정하였다. 설정된 연구모형의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적합도 검증은 김계수(2013)와 신건권(2013)이 제시한 x2/df(기준 3 이하), RMSEA(0.8 이하)를 통해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전체적인 연구모형의 구조를 검증한 결과, Q값 3.999, IFI=.903, RMSEA=.094, CFI=.903, NFI=.875, TLI=.883으로 나타나 최적모형으로 판단하기에 다소 무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표 7>.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증 결과

이에 수정모형으로 오차항간의 공분산(오차항10, 오차항7, 오차항11)을 자유화시킨 결과 <표 8>과 같이 나타났다. 모델 2의 전체적인 적합도 지수는 Q값 3.054, IFI=.935, RMSEA=.078, CFI=.935, NFI=.907, TLI=.920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서 제시한 연구모형의 적합기준을 충족시킨 것으로, 구체적인 영향 관계를 설명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정된 모형을 사용하였고, 이를 수용 기준과 비교하였을 때 모두 만족할 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증 결과

3. 가설검증

가설모형을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으로 분석한 결과는 <표 9>와 [그림 2]와 같이 나타났다.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증 결과

그림 2.

경로모형 검증결과

1) 체육교사신뢰와 체육수업만족의 관계

본 연구의 가설 1인 “체육교사신뢰는 체육수업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r=.532, t=7.528,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육교사신뢰는 체육수업만족에 대해 57.2%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직접효과 뿐만 아니라 간접효과(β=.204)까지 작용하고 있어 총 효과는 β=.776이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설 1은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채택되었으며, 체육교사에 대한 신뢰가 큰 학생일수록 체육수업만족이 수준이 높다고 할 수 있다.

2) 체육교사신뢰와 체육학습의욕의 관계

본 연구의 가설 2인 “체육교사신뢰는 체육학습의욕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r=.603, t=10.062,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육교사신뢰는 체육학습의욕에 대해 50.1%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2는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채택되었으며, 체육교사에 대한 신뢰가 클수록 학생의 체육학습의욕 수준이 높다고 할 수 있다.

3) 체육학습의욕과 체육수업만족의 관계

본 연구의 가설 3인 “체육학습의욕은 체육수업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r=.406 t=7.439,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육학습의욕은 체육수업만족에 대해 40.8%의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설 3은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채택되었으며, 체육수업에 대한 의욕이 큰 학생일수록 체육수업만족도 수준이 높다고 할 수 있다.


Ⅳ. 논의

본 연구는 여고생의 체육교사신뢰와 체육학습의욕 및 체육수업만족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도출된 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여고생의 체육교사신뢰와 체육수업만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체육교사에 대한 신뢰가 클수록 체육수업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업구성과 지도방법, 운동능력 등 체육교사의 능력에 대한 신뢰일 뿐 아니라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가 보다 친밀하고 수업에 참여하는 모든 학생들을 차별 없이 공정하게 대할수록 체육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주어진 과제를 열심히 수행하며 체육수업의 필요성이나 목적에 대해 높게 인식하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해야 하는 수업이기에 어쩔 수 없이 소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아닌, 체육수업을 통한 신체활동의 긍정적 가치와 다양한 효과를 위한 적극적인 참여와 노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체육의 성공적 역할 수행의 차원에서 체육교사에 대한 신뢰 요인이 체육수업태도와 체육수업만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한 연구결과(박유찬, 2019)와 일치하며, 체육교사와 학생과의 신뢰 관계가 학생의 심리적 안정 및 적극적인 수업활동 참여와 만족을 한층 더 높이는데 기여한다는 연구결과(백종수, 김영주, 2013)와도 유사한 의미로 해석된다. 또한 학생에게 신뢰감을 준 체육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체육교과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게 하여 체육교육의 효과를 가져 온다는 연구결과(김승용, 2010), 교사와 학생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긍정적인 태도는 학생들이 성위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연구결과(김성일, 2014)와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할 수 있다. 더불어 심리적으로 민감한 시기에 있는 고등학생들은 교사 중심의 수업 운영보다 학생과의 의사소통을 중요하게 여기는 수업환경이 학생의 학습의욕 변화에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박경석, 2011)와 같이 여고생에게는 상호간의 의사소통을 활용해 협력을 강조하는 수업환경을 구성하여 체육교사와 신뢰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적극적인 신체활동이 부족한 여고생들을 가르치는 체육교사는 보다 더 활발하고 적극적인 의사소통이 필요하며 언어적, 신체적, 감성적 상호작용을 통해 친밀하고 신뢰로운 관계를 형성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 여고생 중심의 다양한 수업구성과 함께, 소통하는 지도방법을 모색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또한 예민한 감성을 가진 시기임을 고려하여 모든 학생들에게 공평한 기회제공과 공정한 평가를 제공하고 수업의 효율성 및 평가의 객관성을 유지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여고생의 체육교사신뢰와 체육학습의욕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체육교사에 대한 신뢰가 클수록 체육학습의욕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와 신뢰의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학생들은, 체육수업에 대해 유능감을 가지고 적극적인 태도와 방법을 활용하여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며 학습의 가치에 대해 높게 인식하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실패에 대한 불안과 과제 수행에 대한 긴장을 적절히 관리하고 긍정적인 학습의욕을 유지하여 수업에 참여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와 학생이 긍정적인 상호관계를 맺을 경우 학생에게 긍정적 정서가 형성된다고 보고한 연구(Goetz, Pekrun, Hall, & Haag, 2006)를 뒷받침 하며, 교사와 학생의 긍정적 관계는 학생의 내재적 목표와 수업참여 관련 긍정적 정서가 형성되어 학습참여와 학습동기를 향상시킨다는 연구결과(김종렬, 2012)와도 비슷한 맥락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체육교사가 고등학생에게 통제가 아닌 자율성을 지지하면 학생들의 유능성이 높아지고 심리적 욕구를 만족, 동기수준을 증가시켜 결국 지속적인 신체활동 참여를 이끌어 내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Haerens, et al., 2015; Standage, Duda, & Ntoumanis, 2006)와 학생들이 교사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을 경우, 그렇지 않을 경우에 비해 수업참여에 훨씬 적극적이라는 연구결과(Furrer & Skinner, 2003; Murray, 2009, 오상훈, 2020에서 재인용)를 직접적으로 지지해준다. 따라서 교사는 학생과의 원만한 의사소통을 통한 신뢰관계를 형성해야 하며, 학습태도, 실패와 불안, 긴장, 노력, 유능감 등 학생의 경험과 노력을 세심하게 살피고 체육수업에 대한 자발적 의욕을 고취시켜 긍정적인 수업태도가 형성되도록 해야 한다. 또한 여고생에 대한 이해와 소통을 기반으로 학생의 행동적‧심리적 변화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고 적극적‧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 체육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긍정적인 감정과 정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수업 구성과 지도방법, 평가 등에서 다양한 전략을 구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여고생의 체육학습의욕과 체육수업만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체육수업에 대한 학습의욕이 클수록 체육수업만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체육수업에서 학습과제 수행에 대한 학생의 노력 수준이 높거나 실패에 대한 불안 수준이 낮을 때, 체육수업의 학습가치를 바로 알고 이를 학습하기 위한 적극적인 태도와 방법을 수행하며 유능감을 가질 때 교사의 교수행동과 체육수업환경, 체육성적 및 운동능력 등 체육수업 전반에 대한 만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높은 학습의욕을 지닌 학생은 체육수업 참여와 인식도와 같은 교과태도를 높인다는 연구결과(김지헌, 김승재, 2006)와 체육수업에서 학습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며 참여하는 학생들은 체육수업에 대해 한층 더 높은 만족을 경험한다는 연구결과(백종수, 김영주, 2013)를 지지한다. 또한 적극적인 체육학습의욕이 형성된 학생들은 수업참여도와 집중도 등 참여태도가 좋아지며 체육수업에 대한 만족으로 이어진다는 연구결과(김성일, 2014), 체육수업에서 적극적인 학습의욕이 형성되어야 학생들의 수업참여도와 집중도가 높아지고 이와 반대로 학생들이 실패에 대한 불안과 긴장을 지속적으로 경험할 경우 체육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없다는 연구결과(유진, 김장우, 2002)와 같은 맥락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체육수업에서 학습과제에 대해 자신만의 학습태도와 방법, 학습의 가치를 알고 적절한 긴장으로 노력하며 실패에 대한 불안을 본인 스스로 적절히 관리할 수 있는 유능감을 가진 학생들은 자신의 운동능력에 대해 만족하고 교사의 교수행동과 체육환경에 대해서도 만족하며, 체육수업 학습수행과 교사의 평가에 의해 부여받은 체육성적에 대해서도 만족하는 등 체육수업 전반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여고생의 체육교사신뢰와 체육학습의욕 및 체육수업만족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선행연구들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을 설정하였고, 각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여고생의 체육교사신뢰는 체육수업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고생의 체육교사신뢰는 체육학습의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고생의 체육학습의욕은 체육수업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서 언급한 바를 종합해 볼 때, 여고생들의 체육수업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의 우수한 운동능력과 수업구성에 대한 지도와 공정한 평가뿐만 아니라 수업 전 과정에 걸쳐 학생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진행하여야 한다. 이는 여고생의 체육학습의욕을 높임과 동시에 높은 체육수업만족에 이르게 하는 중요한 요소이기에 교사는 학생과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친밀하고 신뢰로운 관계를 형성하는데 보다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후속연구를 위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체육수업 무관심자, 신체능력 저조자, 장애인 등 연구의 대상을 보다 다양하게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여고생들이 체육교사를 신뢰할 수 있는 다양하고 구체적이며 실천적인 교수전략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필요하며 이후 연수를 통해 실질적인 활용으로 이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설문지를 통한 연구 결과의 한계를 뛰어 넘어 보다 진솔하고 풍부한 연구결과 도출을 위해 후속연구에서는 관찰, 인터뷰, 참여 등의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20학년도 인하대학교의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참고문헌

  • 권순석(2001). 체육교사의 지도 행동유형이 따른 중학생의 체육수업만족도 분석.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동환, 김승용(2014). 체육교사에 대한 교사신뢰와 체육교과태도 수업몰입 및 수업만족도와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3(5), 1019-1029.
  • 김성일(2014). 체육교사가 지도하는 학교스포츠클럽 참가 중학생들의 체육교사신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교과태도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3(1), 199-208.
  • 김승용(2010). 중학생이 인식하는 체육교사신뢰가 체육교과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9(2), 1005-1016.
  • 김재운(2014). 초등체육수업 운영상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모색.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9(1), 1-14.
  • 김종렬(2012).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지지, 내재적 미래목표와 수업참여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초등교육연구, 25(1), 147-167.
  • 김종렬(2014). 내재적 동기, 학습전략, 수업참여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고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5(1), 93-113.
  • 김종백, 김준엽(2014). 교사와 학생의 교사-학생 관계 지각이 학생의 수업이해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직무만족과 학생의 또래 및 부모신뢰를 배경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1(3), 245-267.
  • 김지헌, 김승재(2006). 초등학교 체육전담수업 경험이 중학생의 체육학습 의욕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 45(6), 365-372.
  • 남인수(2014). 체육교사의 교수행동이 중학생의 학습의욕 및 도움요청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9(1), 15-29.
  • 류춘옥(2014). 고등학교 여학생 체육활동 참여의 활성화 방안. 한국여성체육학회 학술세미나자료집, 2014, 51-60.
  • 류태호(2001). 체육교사의 수업 방식 및 변화과정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8(1), 161-170.
  • 류현승, 박혜상, 김경래(2015). 다문화 가정 남자 청소년의 뉴스포츠 프로그램 참여가 신체구성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1), 289-303.
  • 박경석(2011). 고등학생의 체육교사신뢰와 학습의욕 및 교과태도와의 인과관계.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8(2), 65-77.
  • 박경석, 박채희(2009). 중학생의 체육교사신뢰 척도 개발과 타당화.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6(4), 41-54.
  • 박문수, 최옥진(2010). 중학생의 방과 후 스포츠 활동 참여정도가 학교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9(4), 765-774.
  • 박세윤, 김준, 장정윤(2015). 대학생의 신체활동수준과 건강관련 삶의 질, 생활만족도 및 삶의 질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4(2), 95-107.
  • 박세윤, 윤대현, 권인선(2018). 청소년의 성별과 신체활동 참가수준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과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 57(4), 195-205.
  • 박유찬(2019).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교사-학생 상호작용이 체육수업 태도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4(2), 171-184.
  • 백종수, 김영주(2013).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 신뢰와 체육 수업 몰입 및 수업 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8(3), 131-142.
  • 서울의대 건강사회정책연구실(2018). 학교 건강 지수에 관한 정책토론회. 2018년 02월.
  • 손정욱, 김기학, 이진훈(2006). 중학생의 체육학습 의욕 척도개발 및 타당화. 한국체육학회지, 45(2), 219-229.
  • 송지준(2011). SPSS/AMOS 통계분석방법. 파주: 21세기사.
  • 안수희(2018).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가족건강성이 교우관계와 교사-학생관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오상훈(2020). 중· 고등학교 학생들이 인지한 체육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교사-학생 및 정서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9(1), 61-73.
  • 오정우, 권현진, 송봉길, 이온, 김연수(2013). 한국 청소년의 체육수업 참여와 스트레스 인지와의 연관성. 한국체육학회지, 52(3), 171-182.
  • 오중근(2020). 체육교사의 의사소통이 학생의 자아탄력성 및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4(4), 37-48.
  • 유선주(2014). 초등학교 고학년 여학생의 체육활동 실태 및 개선방안. 한국여성체육학회 학술세미나자료집, 23-40.
  • 유진, 김장우(2002). 고등학교 체육수업 분위기 질문지 개발. 중앙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16, 383-394.
  • 이강순(2015). FGI 를 통한 초등 여학생의 체육활동 참여 경향과 의욕 증진 방안.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9(4), 95-105.
  • 이규일(2012). 뇌 과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체육교육의 의미.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9(4), 17-44.
  • 정현우(2019). 스포츠를 통한 청소년 발달: KISS의 역할과 도전. 한국스포츠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자료집, 45-58.
  • 조욱상, 김재원(2012). 학교체육이 학생들의 지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메타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9(2), 177-196.
  • 조창모(2011).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스포츠참여동기, 스포츠가치관, 생활만족 간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0(3), 339-350.
  • 조형준(2011). 창작무용 수업을 통한 성취도가 체육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교육대학원.
  • 주영현(2009). 초등학교 체육지도교사 유형에 따른 아동의 체육 학습의욕 분석. 전국체육대회기념 학술발표논문집, 84-84.
  • 최경자(2014). 중학교 여학생 체육활동 참여의 활성화 방안. 한국여성체육학회 학술세미나자료집, 2014, 41-49.
  • 최장호(2010). 청소년의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성별, 학년, 성적과 자아실현 및 학교생활만족과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9(1), 399-407.
  • 추나영(2014). 체육교사의 언어적,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중학생의 중요도 순위 및 인식 차이. 한국체육학회지, 53(4), 277-291.
  • 현정혁, 홍준희, 이현영(2010). 청소년의 스포츠 활동 참여 정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및 행복요인 분석. 한국체육학회지, 49(6), 161-171.
  • 황선환, 김홍설(2012). 중학생의 방과 후 스포츠클럽활동 참가가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2), 771-778.
  • 황환, 김영환(2017). 국내 청소년 행복의 영향요인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청소년학연구, 24(7), 1-28.
  • Applebaum, B. (1995). Creating a trusting atmosphere in the classroom. Educational Theory, 45(4), 443-452. [https://doi.org/10.1111/j.1741-5446.1995.00443.x]
  • Bailey, R., Armour, K., Kirk, D., Jess, M., Pickup, I., Sandford, R., & the BERA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Pedagogy Special Interest Group(2009). The educational benefits claimed for physical education and school sport: an academic review. Research papers in education, 24(1), 1-27. [https://doi.org/10.1080/02671520701809817]
  • Caldwell, L. L., & 오세숙. (2011). 한국청소년의 여가, 건강, 그리고 행복에 대한 고찰. 한국여가레크레이션학회지, 35(3), 173-180.
  • Eime, R. M., Young, J. A., Harvey, J. T., Charity, M. J., & Payne, W. R. (2013). A systematic review of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benefits of participation in spor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forming development of a conceptual model of health through sport.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10(1), 98. [https://doi.org/10.1186/1479-5868-10-98]
  • Furrer, C., & Skinner, E. (2003). Sense of relatedness as a factor in children's academic engagement and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5(1), 148. [https://doi.org/10.1037/0022-0663.95.1.148]
  • Goetz, T., Pekrun, R., Hall, N., & Haag, L. (2006). Academic emotions from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Antecedents and domain specificity of students' affect in the context of Latin instruction.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2), 289-308. [https://doi.org/10.1348/000709905X42860]
  • Haerens, L., Aelterman, N., Vansteenkiste, M., Soenens, B., & Van Petegem, S. (2015). Do perceived autonomy-supportive and controlling teaching relate to physical education students' motivational experiences through unique pathways? Distinguishing between the bright and dark side of motivation.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16, 26-36. [https://doi.org/10.1016/j.psychsport.2014.08.013]
  • McAuley, E., Doerksen, S. E., Morris, K. S., Motl, R. W., Hu, L., Wójcicki, T. R., ... & Rosengren, K. R. (2008). Pathways from physical activity to quality of life in older women.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36(1), 13-20. [https://doi.org/10.1007/s12160-008-9036-9]
  • Murray, C. (2009). Parent and teacher relationships as predictors of school engagement and functioning among low-income urban youth.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29(3), 376-404. [https://doi.org/10.1177/0272431608322940]
  • Sandford, R. A., Armour, K. M., & Warmington, P. C. (2006). Re‐engaging disaffected youth through physical activity programmes. British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2(2), 251-271. [https://doi.org/10.1080/01411920600569164]
  • Standage, M., Duda, J. L., & Ntoumanis, N. (2006). Students' motivational processes and their relationship to teacher ratings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A self-determination theory approach.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77(1), 100-110. [https://doi.org/10.1080/02701367.2006.10599336]

그림 1.

그림 1.
연구가설 모형

그림 2.

그림 2.
경로모형 검증결과

표 1.

연구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특성 구분 사례수(명) 백분율(%)
학년 1학년 118 35.0
2학년 122 36.2
3학년 97 28.8
주당
체육수업
시수
1단위 97 28.8
2단위 122 36.2
3단위 118 35.0
합계 337 100

표 2.

조사도구의 구성

척도 요인 문항수 신뢰도 전체신뢰도
인구사회학적 특성 2
체육교사
신뢰
친밀성 4 .899 .934
수업구성 4 .839
운동능력 3 .832
지도방법 3 .865
공정성 3 .830
체육학습
의욕
학습태도 및 방법 7 .929 .920
실패와 불안 4 .894
유능감 6 .950
노력 4 .892
긴장 3 .877
학습가치 3 .839
체육수업
만족
교수행동만족 7 .914 .950
체육환경만족 6 .865
체육성적만족 4 .856
운동능력만족 3 .777
합계 66

표 3.

체육교사신뢰 확인적 요인분석

구분 x2/df=Q값 IFI RMSEA CFI NFI TLI
최종
(17문항)
380.420/109
=3.490
.926 .086 .926 .900 .908
적합기준 ≤3.0 ≥.90 ≤0.1 ≥.90 ≥.90 ≥.90
판정결과 양호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표 4.

체육학습의욕 확인적 요인분석

구분 x2/df=Q값 IFI RMSEA CFI NFI TLI
수정 전
(30문항)
1140.245/390
=2.924
.906 .076 .905 .863 .894
최종
(27문항)
834.537/309=
2.701
.928 .071 .928 .891 .918
적합기준 ≤3.0 ≥.90 ≤0.1 ≥.90 ≥.90 ≥.90
판정결과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양호 적합

표 5.

체육수업만족 확인적 요인분석

구분 x2/df=Q값 IFI RMSEA CFI NFI TLI
최종
(20문항)
547.632/164
=3.339
.912 .083 .911 .879 .897
적합기준 ≤3.0 ≥.90 ≤0.1 ≥.90 ≥.90 ≥.90
판정결과 양호 적합 적합 적합 양호 양호

표 6.

상관관게분석

구분 평균 표준
편차
구성개념간 상관관계
교사신뢰 학습의욕 수업만족
체육교사신뢰 3.7982 .60442 1
체육학습의욕 3.1753 .59102 .372** 1
체육수업만족 3.5153 .60011 .688** .527** 1

표 7.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증 결과

구분 x2/df=Q값 IFI RMSEA CFI NFI TLI
측정모델 347.906/87=
3.999
.903 .094 .903 .875 .883
적합기준 ≤3.0 ≥.90 ≤0.1 ≥.90 ≥.90 ≥.90
판정결과 부적합 적합 적합 적합 양호 양호

표 8.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증 결과

구분 x2/df=Q값 IFI RMSEA CFI NFI TLI
측정모델 259.576/85=
3.054
.935 .078 .935 .907 .920
적합기준 ≤3.0 ≥.90 ≤0.1 ≥.90 ≥.90 ≥.90
비교
판정결과 양호 적합 적합 적합 적합 적합

표 9.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증 결과

구분 가설1 가설2 가설3
체육교사신뢰→
체육수업만족
체육교사신뢰→
체육학습의욕
체육학습의욕→
체육수업만족
p<.01**, p<.001***
비표준화계수 .532 .603 .406
표준화계수 .572 .501 .408
표준오차 .071 .060 .055
C.R. 7.528*** 10.062*** 7.439***
채택여부 채택 채택 채택
직접효과 .572 .501 .408
간접효과 .204** - -
총 효과 .776 .501 .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