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Girls and Women
[ Article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Girls and Women - Vol. 34, No. 4, pp.105-121
ISSN: 1229-6341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0
Received 10 Nov 2020 Revised 04 Dec 2020 Accepted 31 Dec 2020
DOI: https://doi.org/10.16915/jkapesgw.2020.12.34.4.105

체육고등학교 지도자의 지도행동에 따른 학생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운동스트레스의 관계

김승환 ; 조미혜*
인하대학교, 강사
인하대학교, 교수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Athletes’ Achievement Goal Inclinations and Exercise Stress according to the Coaching Behaviors of Professional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Coaches
Seung-Hwan Kim ; Mi-Hye Cho*
Inha University, Lecturer
Inha University, Professor

Correspondence to: * 조미혜, 인하대학교, E-mail : phycmh@inha.ac.kr

초록

본 연구는 체육고등학교 지도자의 지도행동에 따른 학생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운동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A지역과 B지역, C지역에 소재한 체육고등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500부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 42부를 제외하고 총 458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8.0. 통계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고등학교 지도자의 지도행동은 학생선수들의 성취목표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육고등학교 지도자의 지도행동은 학생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육고등학교 학생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은 운동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지도자의 지도행동 설정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고, 후속 연구자들에게 관련 연구영역 확장에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에서는 학생선수의 경기력 향상과 심리적 안정, 인격적 성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지도자 지도행동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도행동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athletes’ achievement goal inclinations and exercise stress according to coaching behaviors of professional physical high school coaches. To this end, this study carried out data collection of 500 questionnaire response copies targeting high school students enrolled at professional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s located in A, B, and C regions. Except 42 insincere copies, a total of 458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18.0. program, and hypotheses were verifi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ofessional physical high school coaches’ coaching behaviors partially affected the student athletes’ achievement goals. Second, the coach’s coaching behaviors partially affected the student athletes’ exercise stress. Third, the student athletes’ achievement goal inclinations affected exercise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theoretic basis to coaches’ coaching behavior setting and help extension of the relevant research area for the following researchers. Finally, in the follow-up study, a study to develop a coaching behavior education program and improve coaching behavior should be conduct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psychological stability, personal growth, and life of student athletes.

Keywords:

Professional Physical Education High School Coaches, Student Athletes, Coaching Behaviors, Achievement Goal Inclinations, Exercise Stress

키워드:

체육고등학교 지도자, 학생선수, 지도행동, 성취목표성향, 운동스트레스

I. 서론

지도자는 학습자와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학습목표 달성을 위해 가르치고 안내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학습자의 잠재력을 발현시켜 성숙한 인격을 갖추도록 도와주고 사회의 구성원으로 성장시키며 개인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등 사회발전에 기여하는 역할을 한다(이혜란, 김진이, 김소연, 2017). 스포츠라는 상황에 대입해 보면, 지도자는 선수들과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선수의 경기력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훌륭한 스포츠 인으로 성장하도록 돕는다. 상호작용 간 발휘되는 스포츠 지도자의 지도행동은 선수의 경기 결과는 물론 감정적, 심리적 성장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김기훈, 2006; 유승원, 2005) 선수들은 지도자 의존 비중이 높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김도윤, 박종욱, 장재훈, 2020; 문한식, 2017).

스포츠 지도자는 선수의 경기력 향상과 승리라는 명확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효과적인 방법으로 선수들을 유도하고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해 왔다. 선수들이 스포츠 현장에서 특정 과제와 목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선수들의 집념을 인지시키고 잠재된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하며 팀 구성원들 간의 효율성을 높이는 등 승리 달성을 위한 다양한 역할을 한다(최호식, 김사엽, 2016). 이와 같이 지도자가 특정 활동에서 분위기 조성, 학생지도, 상호작용 등을 유도하는 행동을 지도행동 유형이라 하며(Stewart, 2002),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지도행동의 유형은 지도자마다 각양각색의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신용업, 공성배, 유승록, 2009). 다차원적 지도자 행동 모형으로 유명한 Chelladurai(1987)는 지도행동의 유형을 훈련과 지시, 민주적 행동, 강압적 행동, 사회적지지 행동, 긍정적 피드백 행동의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고, 국내 연구에서도 지도행동의 유형을 훈련 및 지시행동, 긍정적 보상행동, 권위적 행동, 사회적 지지활동, 민주적 행동으로 구분하며 다양한 형태의 지도방법이 적절하게 조절될 때 교육의 효과가 극대화 된다고 제시하였다(고성진, 2017; 김덕진, 양명환, 2009; 신지환, 2007).

일반적으로 지도행동은 지도자의 리더십과 관련되어 선수의 수행능력을 극대화시키는 수행결과의 근간이 된다(정지혜, 2004). 지도유형은 성공과 실패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이건철, 2018), 유능한 지도자는 선수의 경기력을 단계적으로 향상시키고 반복되는 훈련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를 유발한다(함도웅, 2012). 또한 선수의 목표 설정과 목표 달성 과정에 영향을 주며, 지향하는 목표가 무엇이냐에 따라 수행자의 행동은 다르게 나타난다(조혜진, 2007). 지도자의 지도행동과 선수들이 가지고 있는 성취목표성향 사이에는 깊은 관련을 맺고 있는 것이다(장지혜, 2009).

지도자의 지도행동이 모든 선수에게 일괄 적용되더라도 선수 개인이 가지는 성취목표의 성향에 따라 훈련 과정과 시합상황에서 느끼는 심리적인 요인과 만족, 그리고 전반적인 운동수행 능력 등에 차이가 나타난다. 즉 지도행동이 동일하더라도 선수의 성취목표성향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윤정훈, 김덕중, 2012). 성취목표성향은 성공과 실패를 평가하는 기준이 무엇인지, 개인의 능력을 판단할 때 무엇에 초점을 두고 중요하게 보느냐에 대한 차이를 말한다(안병모, 2018). 성취목표성향에는 과제지향적인 성향과 자아지향적인 성향으로 나뉘며, 지향성에 따라 선수들의 행동 방향과 노력의 정도가 상이하기에 운동 수행 및 결과도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다(전현수, 이용현, 권성호, 2011). 때문에 지도자는 선수들의 성향을 제대로 파악하고 바람직한 성취목표를 지향할 수 있도록 적절한 지도 행동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경쟁적이고 물질만증주의 풍조에 따른 비인간화 현상이 심한 현대사회에서 경험하는 극심한 스트레스는 개인으로 하여금 무기력과 분노, 불안 등을 느끼게 한다. 아동에서 성인으로 넘어가는 과도기 단계의 청소년들은 이 시기의 급속한 변화 그 자체만으로도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이혜란, 김진이, 김소연, 2017). 특히 학업과 운동을 병행하고 강도 높은 훈련, 긴장감이 고조된 시합의 상황을 극복하여 좋은 경기결과를 성취해야 하는 부담감은 학생선수들의 심리적 혼란과 내면적 스트레스를 증가시키며 운동의 환경과 시합이라는 경쟁적 상황에서 요구되는 능력 간의 불균형에 의해서도 운동스트레스가 발생한다(김진표, 장미영, 김주영, 2016).

이와 더불어 지도자의 리더십과 지도유형에 따라 운동스트레스가 더욱 가중되기도 한다. 태권도, 축구, 무용, 유도 등 일부의 스포츠 종목에서 진행된 선행연구에서도 지도자의 지도행동 유형은 선수의 운동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김만근, 김규태, 이경렬, 2014; 김석한, 이상행, 이도형, 2013; 문한식, 2017; 손재현, 구교선, 이성노, 2012). 이러한 운동스트레스는 운동에 대한 흥미를 저하시킬 뿐 아니라 자신감의 상실, 그리고 실제 시합 상황에서의 경기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관리・극복하지 못한다면 선수생활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이준상, 2014; 전동준, 김지태, 김영준, 2010). 때문에 스포츠 지도자는 선수들이 운동스트레스 상황에 적절히 대처하고 극복하여 최대의 경기력과 성과를 발휘할 수 있도록 선수 개인과 스포츠 상황의 특성을 고려한 지도 행동을 보일 수 있어야 한다.

이상을 종합해 볼 때, 스포츠 훈련 및 시합 상황에서 지도자의 지도행동은 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로 나타났으며, 운동 스트레스에도 영향을 미치는 관계로 나타났다. 앞서 제시한 선행연구들은 질적으로 우수하고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으나 스포츠 종목 및 연구 대상이 다소 제한적이고 인과관계 중심이며, 지도자의 지도행동, 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운동 스트레스의 관계 및 논리적 구조, 관계성을 통합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엘리트 스포츠 및 스포츠 선수가 갖고 있는 경제적, 사회적, 국가적 파급효과를 고려하였을 때, 국가대표 운동선수를 꿈꾸고 준비하는 체육고등학교 학생선수들을 특정하여 위 변인들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업과 운동을 병행하며 진로를 준비하는 체육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선수들을 대상으로 지도자의 지도행동에 따른 학생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운동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지도자의 지도행동은 학생선수의 성취목표성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지도자의 지도행동은 학생선수의 운동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학생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은 운동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A, B, C지역에 소재한 체육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선수 500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제에 따른 지도자의 지도행동 관련 문항은 다소 폐쇄적인 특징을 갖고 있기에 체육고등학교 지도자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연구에 적합한 대상자 선별을 위해 유목적적 표집방법을 사용하였다. 학교 관리자 및 교사, 지도자의 협조 하에 설문의 목적과 내용,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 후 동의를 얻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결측 값이 존재하는 42부를 제외한 총 458부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2, 측정도구

1) 지도자 지도행동 척도

체육고등학교 학생선수를 지도하는 지도자의 지도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Lacy와 Darst(1984)가 개발한 코칭행동 관찰지를 이경식(2009), 김형수(2013) 등이 사용한 바 있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척도는 설명지도, 질문지도, 긍정적 피드백, 부정적 피드백, 관리지도 등 5개 하위요인, 총 20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표 2>와 같이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선행연구에서와 같이 5개 요인으로 분류되지 않았으며 이에 전문가 협의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체육고등학교에서의 훈련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지도자의 지도행동 중 설명지도와 질문지도에 대한 학생선수들의 이해와 경험이 부족한 것에서 나타난 현상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요인적재치 기준에 미달하는 설명지도와 질문지도는 하위요인에서 삭제하였다.

지도자 지도행동 척도의 탐색적 요인분석

2) 성취목표성향 척도

학생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Duda와 Nicholls(1992)가 개발한 스포츠 성취목표성향을 김병준(2001), 김병태(2011)가 사용한 바 있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척도는 과제지향성, 자아지향성 등 2개 하위요인, 총 13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표 3>과 같이,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과제지향성 7번은 삭제되었다.

성취목표성향 척도의 탐색적 요인분석

3) 운동스트레스 척도

학생선수의 운동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유일선(2013)의 연구에서 활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에 적합하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척도는 자아 운동스트레스, 주위 운동스트레스, 시간 운동스트레스의 3개 하위요인, 총 14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표 4>와 같이,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 운동스트레스 4번과 9번, 주위 운동스트레스 8번, 시간 운동스트레스 12번과 13번이 삭제되었다.

운동스트레스 척도의 탐색적 요인분석

3. 자료처리

본 연구 SPSS 18.0을 활용하여 자료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 방법은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변인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조사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 확보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계수(Cronbach’s α)를 실시하였으며, 변인 간 판별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설정된 연구문제의 영향력을 산출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Ⅲ. 결과

1. 상관관계분석

각 척도의 요인들 간 관련성의 정도와 변화의 방향을 확인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표 5>. 그 결과, 지도자 지도행동(부정적 피드백, 긍정적 피드백, 관리지도), 성취목표성향(자아지향성, 과제지향성), 운동스트레스(주위, 자아, 시간) 간의 상관관계는 -.139부터 .542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요인들 간 정/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상관관계분석 결과

2. 지도행동과 성취목표성향의 관계

지도자의 지도행동과 학생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첫 번째 연구문제인 지도행동이 성취목표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표 6>. 첫째, 지도행동이 성취목표 중 자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F=36.023, p<.001), 총 변량 중 약 19.3%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행동 중 부정적 피드백은 β=-.117로 자아지향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긍정적 피드백은 β=.291, 관리지도는 β=.180으로 자아지향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행동이 성취목표성향에 미치는 영향

둘째, 지도행동이 성취목표 중 과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F=9.116, p<.001), 총 변량 중 약 5.7%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행동 중 긍정적 피드백은 β=.209로 과제지향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지도행동과 운동스트레스의 관계

지도자의 지도행동과 학생선수의 운동스트레스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두 번째 연구문제인 지도행동이 운동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표 7>. 첫째, 지도행동이 운동스트레스 중 주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F=3.484, p<.05), 총 변량 중 약 2.3%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행동 중 부정적 피드백은 β=.154로 주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행동이 운동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둘째, 지도행동이 운동스트레스 중 자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F=7.805, p<.001), 총 변량 중 약 4.9%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행동 중 긍정적 피드백은 β=.144로 자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도행동이 운동스트레스 중 시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F=3.981, p<.01), 총 변량 중 약 2.6%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행동 중 부정적 피드백은 β=.133으로 시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성취목표성향과 운동스트레스의 관계

학생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운동스트레스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세 번째 연구문제인 성취목표성향이 운동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표 8>. 첫째, 성취목표성향이 운동스트레스 중 주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F=7.089, p<.01), 총 변량 중 약 3.0%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목표성향 중 자아지향성은 β=-.118로 주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과제지향성은 β=.193으로 주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목표성향이 운동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둘째, 성취목표성향이 운동스트레스 중 자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F=20.562, p<.001), 총 변량 중 약 8.3%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목표성향 중 자아지향성은 β=.158, 과제지향성은 β=.178로 자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취목표성향이 운동스트레스 중 시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F=6.587, p<.01), 총 변량 중 약 2.8%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목표성향 중 자아지향성은 β=-.116으로 주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과제지향성은 β=.186으로 주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Ⅳ. 논의

본 연구는 체육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지도자의 지도행동에 따른 학생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운동스트레스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지도자의 지도행동은 학생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운동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생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은 운동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첫 번째 연구문제인 지도자의 지도행동이 학생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승마 지도자의 지도행동이 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이경진, 김동환, 2019)와 생활체육지도자의 코칭행동이 참여자의 성취목표성향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임연아, 2014)의 결과를 지지해 주고 있다. 또한 생활체육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참여자들의 성취목표성향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김순영, 백성익, 정우진, 2019)를 간접적으로 지지해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학생선수의 성취목표성향에 대해 지도자의 지도유형은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도자의 지도행동(부정적 피드백, 긍정적 피드백, 관리지도)이 학생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중 ‘자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정적 피드백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긍정적 피드백과 관리지도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도자의 지도행동이 학생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중 ‘과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긍정적 피드백만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드백은 운동학습 과정을 촉진하고, 보다 정교하고 복잡한 기술을 습득하도록 하여 운동수행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돕는다(Magill & Anderson, 2011; 한승훈, 김영훈, 김판수, 2017). 댄스, 볼링, 무용, 태권도 지도자와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진행된 선행연구(김수연, 심영균, 2020; 송기현, 김승용, 2018; 윤서진, 이지항, 최희순, 2016; 최호식, 김사엽, 2016)들은 지도자의 긍정적 피드백이 선수의 문제해결능력과 경기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부정적 피드백은 불안, 긴장 등의 내적동기를 형성하여 자신감 저하 등의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일반적으로 자아지향적인 선수들은 성공과 실패에 있어 다른 사람을 비교의 준거로 삼고 자신의 능력이 얼마나 더 우수한가에 관심을 두는 반면, 과제지향적인 선수들은 과제에 대한 학습과 개인적 숙련 등 자기발전에 관심을 두고 있다(안병모, 2018).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자아지향적 성향을 보이는 학생선수에 대한 지도자의 긍정적 피드백과 관리지도는 자아지향성을 더욱 촉진하고, 부정적 피드백은 자아지향성을 억제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자아지향적 성향의 선수를 바람직한 성취목표성향을 갖춘 선수로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부정적 피드백을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즉 성공에 대한 개념 교정, 인식 변화, 목표 재설정 등이 필요하며, 개인의 기량이 발전되는 것을 느낄 수 있도록 결과보다 과정을 지향하는 적극적인 지도와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반면, 과제지향적인 선수들에게는 응원과 격려, 칭찬 등과 같은 긍정적 피드백의 양과 질을 향상시켜야 하며, 원활한 의견 교환을 통해 서로가 동의하고 만족스러운 접점을 찾아가려는 지도자의 민주적인 지도행동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 지도자는 자신이 관리하는 각 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을 제대로 파악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체육고등학교 지도자의 지도행동이 학생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교 유도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문한식, 2017)와 댄스스포츠 지도자의 리더십유형이 선수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강현정, 김덕진, 김용규, 2007)의 결과를 일부 지지해 주고 있다. 또한 한국 프로야구 지도자들의 리더십과 선수들의 운동 스트레스 간 유의한 상관이 있다는 연구(이상호, 이계윤, 김갑룡, 원유병, 이해권, 2002)를 간접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지도유형은 학생선수의 운동스트레스에 지도자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도자의 지도행동이 학생선수의 운동스트레스 중 ‘주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정적 피드백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스트레스 중 ‘자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긍정적 피드백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도행동이 학생선수의 운동스트레스 중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정적 피드백만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스트레스에서 주위 요인은 선수를 둘러싼 주위 환경으로부터 기인하는 것으로, 진로와 운동 수행에 대한 주변인들의 걱정과 기대, 시합 중 불공정하다고 여겨지는 심판의 판정, 상대 선수의 부정행위 등으로부터 야기된다(유일선, 2013). 지도자의 부정적 피드백은 학생선수의 주위 운동스트레스를 가중시키기 때문에 지도자는 선수의 주위 운동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부정적 피드백 제공을 감소시키고 상호 간에 인정과 협력 자세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학생선수가 주위 운동스트레스 상황에 마주하였을 때 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대응, 회피, 인정 등의 다양한 대처 방법과 전략을 함께 고민하고 지도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자아 운동스트레스는 선수 자신으로부터 기인하는 것으로 운동에 대한 자신감 상실, 부상, 시합 중 실수 등으로 인한 부정적 심리라 할 수 있다(유일선, 2013).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지도자의 긍정적 피드백은 학생선수의 자아 운동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문적인 훈련과 합숙, 잦은 대회 참석으로 인한 스트레스, 체육고등학교 학생선수라는 지위, 극심한 경쟁과 경기성적에 대한 부담감 등으로 인해 지도자의 긍정적 피드백이 주어짐에도 불구하고 자아 운동스트레스가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 지도자는 체육고등학교 학생들의 전문성을 고려하고 운동수행에 대한 성취감과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다소 권위적인 지도행동을 효과적으로 활용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학생선수의 자아 운동스트레스를 낮추며 학생선수 스스로가 자신감과 성장가능성, 훈련과 시합상황에서의 유연함 등을 발견하고 습득해 나가는데 효과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시간 운동스트레스는 긴 합숙생활에서의 지루함, 훈련 이외의 개인생활, 외출・외박 등 시간과 관련된 것으로, 지도자의 부정적 피드백은 학생선수들의 시간 운동스트레스를 더욱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체육고등학교 학생선수들은 3년의 학창생활 동안 기숙사 생활을 기반으로 합숙훈련과 학업을 병행하며 지도자와 선배, 동료와의 갈등 등으로 인해 많은 스트레스를 경험한다(이근철, 동지한, 이강헌, 2009). 또한 훈련과 대회 참석으로 인한 출장이 빈번하여 훈련 외에 개인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시간이 다소 부족한 상황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지도자의 지도행동 중 부정적 피드백은 학생선수들의 시간 운동스트레스를 가중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도자는 보다 과학적이고 효과적인 맞춤형 훈련 시스템을 도입하고, 훈련의 일일 목표와 운동량 등을 개인별로 설정하여 도달 시에는 학업과 개인 생활을 위한 개인적 시간을 부여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지도자는 효율적인 훈련계획의 수립과 개인정비 시간의 보장, 동료와의 수평적 관계 형성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여 경기력 향상과 관계 개선을 위해 적극 노력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세 번째 연구문제인 체육고등학교 학생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이 운동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골프 참여자의 성취목표성향이 골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정지해, 김지태, 2019)와 청소년 국가대표 축구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스포츠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김덕진, 2009)의 결과를 일부 지지해 주고 있다. 또한 무용수의 성취목표성향이 내적・외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김주연, 장유경, 2016)를 간접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학생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은 운동스트레스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육고등학교 학생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운동스트레스 중 ‘주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아지향성은 부(-)의 영향을, 과제지향성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스트레스 중 ‘자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아지향성과 과제지향성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동스트레스 중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아지향성은 부(-)의 영향을, 과제지향성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지향성과 과제지향성의 두 개념은 서로 대비되는 개념으로 운동스트레스의 주위와 시간 요인에서 서로 반비례 관계를 나타냈다. 흥미로운 것은, 자아지향성이 높을수록 주위와 시간 운동스트레스는 감소하였고, 과제지향성이 높을수록 주위와 시간 운동스트레스는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무용수의 자아지향성이 높을수록 외적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과제지향성이 높을수록 내적・외적 스트레스가 증가한다는 연구결과(김주연, 장유경, 2016)와 일맥상통하는 것이지만, 무용전공자들의 자아지향성이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과제지향성이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감소한다는 연구(김경인, 2014), 개인의 능력개발과 과제학습의 목표가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고자 할수록 스트레스가 증가한다는 이상희(2004)의 연구결과와는 정반대의 결과를 보인다.

이러한 상반된 결과는 연구대상에 따라 추구하는 성취목표가 다르고 나이, 신분, 운동종목, 생활환경 등 개인적 성향과 주변환경 등에 따라 차이가 있기 때문일 것으로 판단되며 동시에 체육고등학교 학생선수의 특성상 해당 종목에서 전문성을 갖춘 일류 선수가 되고자 하는 완벽주의 성향에서 야기된 결과일 것이라 예측된다. 즉, 완벽하고 이상적인 수준의 자신 및 주변 상황을 만들고자 부단히 노력하지만, 과제지향적인 관점에서는 높은 수준의 목표를 달성하기엔 주어진 시간과 주변 환경이 여의치 않아 본인의 능력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그로 인해 스트레스가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자아지향적 관점에서는 주변 동료들도 자신과 비슷한 수준을 보이거나 자신보다 못한 상황이라 여기며 현실을 회피하고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합리화하기 때문에 스트레스가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여 진다.


Ⅴ.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체육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선수들을 대상으로 지도자의 지도행동에 따른 학생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운동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체육고등학교 지도자의 지도행동 중 부정적 피드백, 긍정적 피드백, 관리지도의 모든 요인은 체육고등학교 학생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중 자아지향성에, 그리고 긍정적 피드백은 성취목표성향 중 과제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도자의 지도가 학생선수들의 목표달성 방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자아지향적 선수에게는 부정적 피드백을 적절히 활용해야 하고, 과제지향적 선수에게는 긍정적 피드백을 자주 제공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지도자의 지도행동 중 부정적 피드백은 학생선수의 운동스트레스 요인 중 주의와 시간에, 긍정적 피드백은 운동스트레스 요인 중 자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선수의 운동스트레스 수준을 낮추기 위해서는 부정적 피드백을 지양하고 상호 간에 협력과 인정을 전제로 스트레스 극복을 위한 다양한 대처 방법을 개발 및 지도해야 할 것으로 보여지며, 성취감과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지도행동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체육고등학교 학생선수의 성취목표성향 중 자아지향성과 과제지향성의 모든 요인은 운동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주위, 자아, 시간의 모든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선수와 그를 둘러싼 주변 환경에 따라 서로 상이한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하며, 체육고등학교 학생선수들이 갖는 완벽주의 성향과 관련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다뤘던 지도자의 지도행동, 선수들의 성취목표성향, 운동스트레스 간의 관계와 관련된 주제로 수행된 선행연구, 본 연구의 제한점을 고려하여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체육고등학교 학생선수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나, 선행연구의 부족으로 다차원적인 접근에는 다소 아쉬움이 있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보다 다양한 요인을 통한 관계규명과 함께 질적 연구를 함께 진행하는 것도 매우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체육고등학교 학생선수의 경기력 향상과 심리적 안정, 인격적 성장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지도자 지도행동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지도행동 향상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현 수준보다 더 많은 수의 지도자를 선발하여 효율적인 훈련지도와 선수관리, 스포츠 인재양성 등을 이뤄나가야 하며, 정부 및 지자체, 체육관련 기관에서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 강현정, 김덕진, 김용규(2007). 댄스스포츠 지도자의 리더십유형이 선수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9(1), 279-287.
  • 고성진(2017). 체육교사의 지도행동 유형이 학습태도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경인(2014). 무용전공자의 사회적 관계망이 성취목표성향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기훈(2006). 빙상선수의 지도자 행동유형과 역할모형 및 응집력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 김덕진(2009). 청소년 축구지도자의 리더십과 선수의 스트레스 및 집단 응집력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7(1), 451-460.
  • 김덕진, 양명환(2009). 체육교사의 교수행동이 고등학생들이 내재적 동기와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15, 15-29.
  • 김도윤, 박종욱, 장재훈(2020). 축구 지도자 행동과 스포츠 자신감의 구조적 관계 분석. 인문사회 21, 11(4), 1985-1998.
  • 김만근, 김규태, 이경렬(2014). 태권도 지도자의 리더십과 리더신뢰 및 지도효율성의 구조모형 검증. 한국체육과학회지, 23(2), 159-169.
  • 김병준(2001). 목표성향으로 예측한 스포츠 재미와 스트레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2(1), 125-140.
  • 김병태(2011). 태권도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스포츠자신감 및 경쟁상태 불안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
  • 김석한, 이상행, 이도형(2013). 축구지도자의 리더십유형과 지도자신뢰 및 팀성과와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2(5), 267-276.
  • 김수연, 심영균(2020). 중학교 태권도지도자의 피드백 유형과 선수의 문제해결능력의 관계. 무예연구, 14(2), 187-201. [https://doi.org/10.51223/kosoma.2020.05.14.2.187]
  • 김순영, 백성익, 정우진(2019). 생활체육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능력이 참여자들의 성취목표성향 및 긍정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7(4), 213–223.
  • 김주연, 장유경(2016). 무용수의 완벽주의 성향이 성취목표와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5(2), 757-767.
  • 김진표, 장미영, 김주영(2016). 투기종목 선수들의 운동태도가 스트레스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4(3), 7-20.
  • 김형수(2013). 태권도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선수만족, 집단응집력 및 수련몰입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15(1), 43-54.
  • 문한식(2017). 고등학교 유도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지도자 신뢰 및 운동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도학회지, 19(4), 197-211.
  • 손재현, 구교선, 이성노(2012). 무용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이 지도자 신뢰 및 무용활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1(3), 303-316.
  • 송기현, 김승용(2018). 대학 교양 체육수업에서 교수 피드백 유형과 자기효능감 및 운동지속의 구조적 관계. 디지털융복합연구, 16(5), 469-476.
  • 신용업, 공성배, 유승록(2009). 씨름지도행동 유형과 성취목표지향성의 관계. 무도연구소지, 20(1), 95-109.
  • 신지환(2007). 체육교사의 지도행동 유형에 따른 고등학생의 체육수업 만족도 조사. 미간행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 안병모(2018). 테니스지도자 리더십 유형이 선수만족과 성취목표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 유승원(2005). 골프지도자의 지도행동 유형에따른 성취목표지향성, 내적동기 및 지도효율성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 유일선(2013). 대학운동선수의 여가활동유형이 여가만족 및 운동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 윤서진, 이지항, 최희순(2016). 대학 무용 전공수업에서 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수자의 피드백 유형과 내적동기가 공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0(3), 269-284.
  • 윤정훈, 김덕중(2012). 스포츠 VICTORY 리더십이 성취목표지향성 및 선수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0(1), 203-214. [https://doi.org/10.51979/KSSLS.2012.12.50.203]
  • 이건철(2018). 운동선수의 지도행동유형이 선수만족 및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1), 179-187.
  • 이경식(2009). 태권도 지도자가 인식하는 인성과 교육에 대한 요인 추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 이경진, 김동환(2019). 승마 지도자의 지도행동 유형이 성취목표성향 및 선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8(5), 639-650.
  • 이근철, 동지한, 이강헌(2009). 체육고등학교 학생들의 운동스트레스 분석. 코칭능력개발지, 11(4), 129-138.
  • 이상호, 이계윤, 김갑룡, 원유병, 이해권(2002). 한국 프로야구 선수들이 지각한 감독의 리더십과 선수들의 스트레스 및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남체육연구, 7(1), 41-61.
  • 이상희(2004).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차이:성취목표, 사회적지지, 스트레스 및 학교생활적응을 중심으로.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준상(2014).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들의 스포츠태도가 운동스트레스 및 운동몰입에 미치는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혜란, 김진이, 김소연(2017). 아동과 교사를 위한 정신건강. 서울: 학지사.
  • 임연아(2014). 생활체육지도자의 코칭행동이 참여자의 성취목표성향 및 지도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3(4), 19-28.
  • 장지혜(2009). 하키지도자의 카리스마 리더십이 성취목표 지향성과 선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대학원.
  • 전동준, 김지태, 김영준(2010). 고교 태권도 선수의 운동스트레스와 운동지속수행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42(1), 549-558.
  • 전현수, 이용현, 권성호(2011). 고등학교 운동선수의 성취목표성향과 자아존중감이 자기구실 만들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50(3), 323-332.
  • 정지해, 김지태(2019). 골프 참여자의 성취목표성향, 골프 스트레스, 회복탄력성의 구조적 관계. 한국스포츠학회, 17(1), 505-515.
  • 정지혜(2004). 대학 농구 팀 수행성적에 따른 코치의 지도 행동 유형과 집단 응집력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5(1), 65-77.
  • 조혜진(2007). 유도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이 선수들의 성취목표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교육대학원.
  • 최호식, 김사엽(2016). 볼링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선수 운동만족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사이언스, 33(2), 195-203.
  • 한승훈, 김영훈, 김판수(2017). 무도스포츠 선수들의 동계훈련 중 체력측정 결과 피드백 제공 유형에 따른 운동정서와 운동만족 차이. 대한무도학회지, 19(4), 55-69.
  • 함도웅(2012). 수상레저스포츠 지도자의 직무특성과 직무만족, 임파워먼트, 조직몰입간의 구조적 관계-선수권대회 및 강습회에 참석한 지도자를 중심으로. 한국스포츠학회지, 10(1), 77-90.
  • Chelladurai, P. (1987). Multidimensionality and multiple perspective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urnal of Sport Management, 1(1), 37-47. [https://doi.org/10.1123/jsm.1.1.37]
  • Duda, J. L., & Nicholls, J. G.(1992). Dimensions of achievement motivation in schoolwork and spor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4(3), 290-299. [https://doi.org/10.1037/0022-0663.84.3.290]
  • Lacy, A. C., & Darst, P. W. (1984). Evolution of a systematic observation system: The ASU coaching observation instrument. Journal of Teaching in Physical Education, 3(3), 59-66. [https://doi.org/10.1123/jtpe.3.3.59]
  • Magill, R. A., & Anderson, D. I. (2011). Instruction and augmented feedback. Motor learning and control, 332-368.
  • Stewart, H.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 instructional leadership skills and the academic achievement of high-poverty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표 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구분 빈도(명) 백분율(%)
324 70.7
134 29.3
합계 458 100.0
학년 1학년 171 37.3
2학년 141 30.8
3학년 146 31.9
합계 458 100.0
운동
경력
1년 미만 25 5.5
1년 이상 - 3년 미만 94 20.5
3년 이상 - 5년 미만 166 36.2
5년 이상 - 7년 미만 103 22.5
7년 이상 70 15.3
합계 458 100.0
종목 육상 74 16.2
체조 17 3.7
수영 25 5.5
복싱 31 6.8
레슬링 49 10.7
유도 45 9.8
태권도 26 5.7
역도 22 4.8
사이클 30 6.6
펜싱 19 4.1
양궁 22 4.8
조정 33 7.2
근대5종 4 .9
사격 27 5.9
기타 34 7.4
합계 458 100.0

표 2.

지도자 지도행동 척도의 탐색적 요인분석

구분 문항 1 2 3 Cronbach’ α
부정적 피드백 부정적피드백_지도행동15 .916 -.080 .103 .912 .788
부정적피드백_지도행동14 .903 -.086 .001
부정적피드백_지도행동16 .872 -.115 .128
부정적피드백_지도행동13 .842 .046 -.040
긍정적 피드백 긍정적피드백_지도행동11 .099 .855 .095 .862
긍정적피드백_지도행동9 -.114 .827 .220
긍정적피드백_지도행동12 -.039 .784 .283
긍정적피드백_지도행동10 -.184 .765 .246
관리지도 관리_지도행동18 .072 .151 .824 .796
관리_지도행동19 -.068 .338 .768
관리_지도행동17 .259 .107 .712
관리_지도행동20 -.112 .475 .672
고유값(Eigenvalues) 3.271 3.019 2.454 -
설명분산(% of Variance) 27.257 25.158 20.446
누적분산(Cumulative %) 27.257 52.415 72.861
표준형성 적절성의 Kaiser-Meyer-Olkin측도=.848, Bartlett의 구형검정=3159.682, df=66, sig=.000

표 3.

성취목표성향 척도의 탐색적 요인분석

구분 문항 1 2 Cronbach’ α
자아지향성 자아_성취목표성향3 .862 .142 .918 .892
자아_성취목표성향2 .841 .114
자아_성취목표성향1 .837 .117
자아_성취목표성향5 .823 .225
자아_성취목표성향4 .816 .191
자아_성취목표성향6 .748 .270
과제지향성 과제_성취목표성향11 .127 .835 .855
과제_성취목표성향10 -.010 .794
과제_성취목표성향12 .142 .786
과제_성취목표성향9 .325 .720
과제_성취목표성향13 .248 .693
과제_성취목표성향8 .458 .543
고유값(Eigenvalues) 4.466 3.446 -
설명분산(% of Variance) 37.217 28.715
누적분산(Cumulative %) 37.217 65.932
표준형성 적절성의 Kaiser-Meyer-Olkin측도=.898, Bartlett의 구형검정=3269.547, df=66, sig=.000

표 4.

운동스트레스 척도의 탐색적 요인분석

구분 문항 1 2 3 Cronbach’ α
주위 주위_운동스트레스6 .886 .093 .207 .862 .800
주위_운동스트레스7 .876 .108 .124
주위_운동스트레스5 .833 .160 .074
자아 자아_운동스트레스2 .126 .869 .110 .765
자아_운동스트레스1 .067 .859 .115
자아_운동스트레스3 .144 .690 .149
시간 시간_운동스트레스10 .141 .057 .876 .742
시간_운동스트레스11 .039 .129 .875
시간_운동스트레스14 .255 .258 .581
고유값(Eigenvalues) 2.375 2.101 1.981 -
설명분산(% of Variance) 26.384 23.343 22.012
누적분산(Cumulative %) 26.384 49.727 71.739
표준형성 적절성의 Kaiser-Meyer-Olkin측도=.746, Bartlett의 구형검정=1626.928, df=36, sig=.000

표 5.

상관관계분석 결과

구분 1 2 3 4 5 6 7 8
*p<.05, **p<.01
지도자
지도행동
1. 부정적 피드백 1
2. 긍정적 피드백 -.120* 1
3. 관리지도 .084 .542** 1
성취목표
성향
4. 자아지향성 -.139** .406** .328** 1
5. 과제지향성 .050 .227** .160** .462** 1
운동
스트레스
6. 주위 .147** -.014 -.007 -.028 .139** 1
7. 자아 .029 .190** .189** .240** .252** .290** 1
8. 시간 .142** -.091 -.025 -.030 .133** .333** .334** 1

표 6.

지도행동이 성취목표성향에 미치는 영향

구분 자아지향성 과제지향성
B SE β t B SE β t
**p<.01, ***p<.001
(상수) 2.659 .180 14.740*** 2.453 .225 10.907***
부정적 피드백 -.074 .027 -.117 -2.705** .053 .034 .073 1.560
긍정적 피드백 .258 .045 .291 5.672*** .213 .057 .209 3.766***
관리지도 .157 .045 .180 3.522*** .042 .056 .041 .747
F 36.023*** 9.116***
R2 .193 .057

표 7.

지도행동이 운동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구분 주위 자아 시간
B SE β t B SE β t B SE β t
*p<.05, **p<.01, ***p<.001
(상수) 3.132 .300 10.441*** 2.810 .235 11.964*** 3.161 .305 10.374***
부정적 피드백 .146 .045 .154 3.226** .030 .035 .040 .845 .128 .046 .133 2.799**
긍정적 피드백 .040 .076 .030 .532 .152 .059 .144 2.576* -.104 .077 -.077 -1.359
관리지도 -.049 .074 -.038 -.666 .110 .058 .106 1.902 .007 .075 .005 .095
F 3.484* 7.805*** 3.981**
R2 .023 .049 .026

표 8.

성취목표성향이 운동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구분 주위 자아 시간
B SE β t B SE β t B SE β t
*p<.05, **p<.01, ***p<.001
(상수) 3.296 .303 10.893*** 2.454 .234 10.490*** 2.944 .307 9.577***
자아지향성 -.178 .079 -.118 -2.262* .190 .061 .158 3.121** -.177 .080 -.116 -2.222*
과제지향성 .253 .068 .193 3.715*** .186 .053 .178 3.526*** .247 .069 .186 3.572***
F 7.089** 20.562*** 6.587**
R2 .030 .083 .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