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Girls and Women
[ Article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Girls and Women - Vol. 35, No. 1, pp.1-14
ISSN: 1229-6341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Mar 2021
Received 15 Feb 2021 Revised 14 Mar 2021 Accepted 31 Mar 2021
DOI: https://doi.org/10.16915/jkapesgw.2021.3.35.1.1

고등학교 여자 태권도 선수들이 인지하는 윤리적 리더십과 지도자 신뢰, 운동몰입과의 관계

김성훈*
명지대학교, 연구원
The Relationship among Coaches' Ethical Leadership, Trust in Coach and Exercise Flow Perceived by High School Female TaeKwonDo Players
Sung-Hoon Kim*
Myongji University, researcher

Correspondence to: * 김성훈, 명지대학교, E-mail : hloveh@hanmail.net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교 여자 태권도 선수들의 윤리적 리더십, 지도자 신뢰와 운동몰입과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고등학교 여자 태권도 선수 237명을 대상으로 편의표본 추출을 통해 윤리적 리더십 질문지, 지도자 신뢰 질문지, 운동몰입 질문지를 설문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PASW 23.0과 AMOS 23.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윤리적 리더십은 지도자 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윤리적 리더십은 운동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도자 신뢰는 운동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도자신뢰는 윤리적 리더십과 운동몰입 간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태권도 지도자들의 윤리적 리더십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선수 인권과 윤리의식 향상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ethical leadership on trust in coach and exercise flow of perceived by high school female Taekwondo players. 237 high school female Taekwondo player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by convenience sampling, and they were done in ethical leadership questionnaire, trust in coach questionnaire, and exercise flow questionnaire. For data analysis PASW 23.0 and AMOS 23.0 were used for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Th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ethical leadership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rust in coach. Secondly, ethical leadership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exercise flow. Thirdly, trust in coach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exercise flow. Finally, it was found that trust in coach was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exercise flow. Various discussions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trust in coach and exercise flow were presented. These results suggested the necessity of ethical leadership education program to help their ethical and human rights of coaches ability improved.

Keywords:

Ethical leadership, Trust in coach, Exercise flow, Mediation effect, High school female Taekwondo players

키워드:

윤리적 리더십, 지도자 신뢰, 운동몰입, 매개효과, 고등학교 여자 태권도 선수

I. 서론

스포츠 선진국으로 가기위해서는 지속적인 성과도 중요하지만, 선수들의 운동 환경 개선과 함께 선수인권이 최우선 시 되어야 한다. 하지만, 운동선수들에 대한 성추행, 폭행, 구타 및 가혹행위 등으로 선수들의 인권이 무너지고 있는 실정이다.

국가인권위원회(2019)는 초ᐧ중ᐧ고ᐧ대학 운동선수 62,481명을 대상으로 스포츠 폭력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학생선수 33%가 언어폭력과 신체폭력을 경험한 것으로 보고 하였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스포츠윤리센터가 개소(2020년 8월)되어 선수들의 인권을 보호하고 공정한 조사와 신고자와 피해자의 비밀보장, 보호강화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국민체육진흥법의 개정, 2021년 2월 19일 시행).

문화체육관광부는 여자프로선수 8035명에 대한 성폭력 실태 전수조사를 벌인 결과, 여자 선수의 37.7%가 입단 이후 성희롱을 비롯한 성폭력을 당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으며, 가해자의 35.9%가 지도자로 나타나 안타까움을 주고 있다(경향신문, 2019, 02. 26). 성폭력범죄의 가해자가 지도자에 의해서 발생된다는 측면에서 지도자들에 대한 강도 높은 처벌과 제도 개선도 중요하겠지만, 윤리 교육적인 측면을 강조한 리더십 교육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스포츠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윤리적 리더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Brown, Trevino과 Harison(2005)은 윤리적 리더십의 사회적 요구를 충족시키지 않고서는 조직의 생존과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고 하여 윤리적 리더십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윤리적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에 대한 윤리적 행동과 효율적인 의사결정에서 윤리적 행위의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으며, 윤리적 가치를 둔 윤리적 행동이 리더십의 본질이라는 측면(Bass, 1985; Brown & Trevino, 2006)에서 핵심개념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윤리적 리더십의 정의는 “윤리적 가치를 공유하고, 상호작용하며, 구성원의 권리와 존엄성에 대하여 존중하는 태도를 촉진하는 것” 으로 정의할 수 있다(Ciula, 2014; Sama, Shoaf, 2008; Zhu, May, Avolio,2004).

조직에서 윤리적 리더십의 중요성을 살펴보면, 리더의 윤리성은 구성원들의 삶과 조직의 성과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Northouse, 2015), 다양한 상황에서의 리더는 구성원들의 인권을 존중하고 독특한 정체성이 있는 인간으로 대하여야 할 윤리적인 책임이 있기 때문이다(Arnold, Beauchamp, & Bowie, 2012). 또한, 윤리적 리더는 자신의 영향력으로 조직의 가치 정립 및 강화의 역할을 통해 윤리적 가치를 조직 전체에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Schminke, Ambrose, & Noel, 1997), 조직에서 윤리적 리더십의 중요성은 높다 하겠다.

윤리적 리더십은 조직의 의사결정 시 자신보다 조직을 먼저 생각하고 구성원들을 위해 봉사해야하며(Bowie, 1991), 조직의 이기주의에 대한 고려와, 행위의 결과가 구성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판단을 통해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Schumann, 2001).

이러한 윤리적 리더십은 리더의 윤리적인 가치를 통한 조직의 투명성 관리로 구성원들과 협의하여 효율적인 방향과 성과를 위해 노력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Bedi, Alpaslan와 Green(2016)의 연구에 따르면, 윤리적 리더십은 조직성과에 있어서 영향력 있는 변수이며, 구성원들의 직무만족과 심리적 웰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궁극적으로 직무성과에 도움 준다고 하였으며,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윤리적 리더십과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기업성과(Eisenbeis, Knippenberg, & Fahrback, 2015), 상사에 대한 충성도(Wang, Lu, & Liu, 2017), 윤리적 인식, 윤리적 행동, 자기효능감, 업무 결과, 리더 태도(Bedi et al., 2016), 조직 동일 시(Demirtas, Hanah, Gok, Arslan, & Capar, 2017), 직무만족과 스트레스, 고객지향성 및 이직의도(Lindblom, Kajalo & Mitronen, 2015) 등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국내 스포츠 상황에서의 윤리적 리더십 연구는 조직신뢰, 지도자신뢰 및 충성도(김진국, 김도훈, 김근오, 2016), 지도자 신뢰와 경기력(김형룡, 김영학, 2020), 일탈적 과잉동조와 운동행동(김용구, 2020), 스포츠인성과 상호의존성(김성훈, 노갑택, 홍성진, 2019)들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측면에서 윤리적 리더십은 여자태권도선수들로 하여금 지도자에 대한 신뢰를 높일 수 있는 대안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윤리적 리더십의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스포츠 상황에서의 다양한 변인들과의 관련성을 검증하여 효율성을 평가할 필요성이 있다.

한편, 지도자 신뢰는 팀의 목표 달성을 위해 지도자의 영향력을 믿고 따르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전현수, 2016), 지도자 신뢰는 팀 훈련 분위기와 훈련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경기력 향상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역할을 한다(Dirks, 2000). 전현수(2016)의 연구에 따르면, 훈련이나 시합상황 및 일상생활 속에서 보이는 지도자의 역량과 행동에 대한 평가가 신뢰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나, 지도자들의 리더십이 지도자 신뢰를 형성하는 선행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리더십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감성적 리더십(공성배, 김보겸, 2019), 대응가치리더십(남중웅, 석강훈, 구강본, 2009), 변혁적 리더십(전병관, 2011), 윤리적 리더십(김용구, 2020; 김진국 등, 2016; 김형룡, 김영학, 2020) 등의 연구에서 지도자들의 리더십이 지도자 신뢰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들은 리더십 발휘에 따라 지도자 신뢰수준이 평가될 수 있으며, 리더십을 효율적으로 발휘하기 위해서는 지도자와 선수 간 신뢰 형성이 중요함을 강조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지도자신뢰는 리더십과 다양한 변인들과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변혁적-거래적리더십과 운동 몰입간의 관계(김태일, 원형진, 2012), 카리스카마적 리더십과 운동만족간의 관계(정윤덕, 2018), 리더십과 운동 몰입간의 관계(윤원정, 2014)에서 지도자신뢰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지도지 신뢰가 리더십과 다양한 심리변인간의 관계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있어 스포츠 상황에서의 그 중요성은 높다 하겠다.

운동 몰입은 스포츠에 참여하면서 나타나는 신념, 믿음, 희망 등을 의미하며, 지속적인 운동참여의 욕구로 인한 관여, 전념 등의 내적동기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권성호, 2007). 이러한 운동 몰입은 스포츠 상황에서 최고 수행(Peak Performance)을 위해서 꼭 필요한 변인이며, 경기결과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중요요인이다(권성호,2007; 김봉경, 하철수, 2010).

선행연구에 따르면 리더십의 선행연구들(김은지, 정명규, 2018; 남상백, 2013; 이동준, 황지현, 2018)은 운동 몰입과의 관련성을 보고하고 있어, 지도자들의 리더십 발휘에 따라 운동몰입 수준이 달라 질 수 있음을 역설하고 있으며, 효율적인 리더십은 운동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도자 신뢰와 운동 몰입과의 관련성을 연구한 선행연구(김태일, 원형진, 2012; 남상백, 2013; 백유미, 2019; 이현정, 2018)에서는 지도자 신뢰가 운동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이론적인 배경과 선행연구들은 윤리적 리더십, 지도자 신뢰, 운동 몰입과의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이 연구의 설득력을 높이고 있다.

지도자들의 윤리적 리더십은 선수들의 신뢰형성에 도움을 주며, 그러한 믿음으로 선수들은 연습상황이나 시합상항에서 운동 몰입을 높여 경기력 향상에 이바지 할 것으로 예상한다. 하지만, 경영학 측면에서는 윤리적 리더십과 관련한 선행연구들은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체육학에서는 제한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윤리적 리더십의 효율성을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나, 고등학교 여자 선수들의 경우, 대학진로에 대한 부담감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높은 상황으로, 남자 선수들에 비해 지도자 행동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강건욱, 2009; 장은숙, 2009), 동일한 코칭 행동에도 다양한 긍정·부정적인 효과가 상호 복합적으로 나타나므로(김연지, 최상진, 임진선, 2017), 여자 태권도선수들의 상황과 특성을 고려한 리더십으로서 윤리적 리더십의 영향력을 파악하여 여자 태권도 선수들의 성장에 도움을 주며, 지도자들의 윤리적 가치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함이다.

2. 연구 가설

이 연구에서 설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고등학교 여자 태권도 선수들의 윤리적 리더십은 지도자신뢰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고등학교 여자 태권도 선수들의 윤리적 리더십은 운동 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고등학교 여자 태권도 선수들의 지도자 신뢰는 운동 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넷째, 고등학교 여자 태권도 선수들의 윤리적 리더십과 운동 몰입 관계에서 지도자신뢰는 매개 효과가 있을 것이다.


Ⅱ. 연구 방법

1. 분석 대상

이 연구는 대한태권도협회에 등록된 고등학교 여자 태권도 선수 250명을 대상으로 편의표본 추출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나, 설문문항에 응답하지 않은 13부를 제외한 237부를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운동경력(M=8.56, SD=1.78)으로 나타났으며, 이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의 특성은 <표 1>과 같다.

연구 대상의 특성

2.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이 연구에서의 측정도구는 4명의 전문가 집단(측정평가 전공교수 1명, 스포츠 심리 전공교수 1명, 스포츠심리학 전공 박사 1명, 고등학교 태권도 지도자 1명)을 구성하여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를 검증하였으며, 고등부 여자 태권도 선수 6명에게 설문 문항에 대한 이해도를 확인하였다.

1) 윤리적 리더십

윤리적 리더십 측정도구는 Brown, Tevino & Harrison(2005)이 개발한 ELS(Ethical Leadership Scale)을 김성훈, 노갑택, 홍성진(2019)의 연구에서 활용한 질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활용하였다. 단일요인 10문항, 5점 Lkert 척도로 구성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SMC(squared multiple correlations)가 낮게 나타난 문항 2문항(1번, 7번)을 삭제한, 8문항의 모형의 적합도는 Q값은 3.784, TLI 값은 .954 CFI 값은 .933, RMSEA 값은 .065로 나타나, 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였으며, 신뢰도분석 결과 Cronbach’s α 값은 .90으로 나타나 신뢰도가 확보되었다.

2) 지도자 신뢰

지도자 신뢰의 측정도구는 전현수(2016)가 한국 실정에 맞게 개발한 질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활용하였다. 지도자 신뢰는 능력 6문항, 배려 6문항, 진실성 6문항, 열의 3문항으로 4요인 21문항,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SMC(Squared Multiple Correlations)가 낮게 나타난 3문항(능력 1문항, 배려 1문항, 진실성 1문항)을 삭제한, 4요인 18문항 모형의 적합도는 Q값은 3.147, TLI값은 .939 CFI값은 .925, RMSEA값은 .081로 나타나, 4요인 14문항의 적합성을 확인하였으며, 신뢰도분석 결과 Cronbach’s α 값은 .87∼.92로 나타나 신뢰도가 확보되었다.

3) 운동몰입

운동몰입 측정도구는 Scanlan, Carpenter, Schmidt, Simon, & Keeler(1993)가 개발하고 정용각(2004)이 연구에서 활용한 질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활용하였다. 인지몰입 요인 8문항, 행위몰입 요인 4문항으로, 2요인 12문항, 5점 Likert척도로 구성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SMC(squared multiple correlations)가 낮게 나타난 인지몰입 2문항(1번, 8번)을 삭제하였다. 2요인 10문항의 모형 적합도는 Q값은 4.251, TLI 값은 .919 CFI 값은 .908, RMSEA 값은 .088로 나타나, 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였으며, 신뢰도분석 결과 Cronbach’s α 값은 .87∼.89로 나타나 신뢰도가 확보되었다.

3. 자료처리 방법

이 연구의 자료는 PASW 23.0과 AMOS 23.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측정도구의 신뢰도검증은 Cronbach's α 계수를, 타당도는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여 연구대상자의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은 적률상관계수(Pearson's r)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 분석을 실시하고, 매개효과 분석을 위해 Sobel의 z test를 사용하였다. 모든 통계분석의 유의수준은 ɑ=.05로 설정하였다.


Ⅲ. 연구결과

1. 각 변인 간의 상관분석

각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각 하위변인간의 적률상관계수(Pearson's r)을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표 2>와 같다. 각 변인들 간에는 222∼.480사이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계분석

2. 구조모형분석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표 3>과 같으며, 변인 간 경로계수는 <그림 1>과 같다. TLI 값은 .922 CFI 값은 .910, RMSEA 값은 .088로 나타나, 모형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연구모형의 적합도

그림 1.

변인 간의 경로계수

3. 가설 검증

가설검증 및 효과분석은 <표 4>와 같으며, 매개효과분석은 <표 5>와 같다.

가설검증 및 효과분석

매개효과

첫째, 윤리적 리더십은 지도자 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는 경로계수 .489(t=5.622,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윤리적 리더십은 운동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는 경로계수 .195(t=3.673,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도자신뢰는 운동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는 경로계수 .401(t=6.622,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도자신뢰는 윤리적 리더십과 운동 몰입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는 Sobel test 결과, 윤리적 리더십과 운동 몰입 사이에서 지도자신뢰는 134(Z=4.322, 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Ⅳ. 논의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여자 태권도선수들의 윤리적 리더십의 영향력을 파악하여 여자 태권도 선수들의 성장에 도움주고 지도자들의 윤리적 가치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기 위함이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여자 태권도선수들이 인지하는 윤리적 리더십은 지도자 신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도자들의 윤리적 리더십 발휘는 지도자 신뢰를 높여 긍정적인 관계형성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결과는 윤리적 리더십이 지도자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선행연구(Avolio, Gardner, Walumbwa, Luthans, & May, 2004; 김진국 등, 2016; 김형룡, 김영학, 2020)가 본 연구를 지지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윤리적인 리더는 공정성, 정직, 청렴 등을 자신의 가치관으로 확립하여 구성원들과 소통하기 때문에 구성원들은 리더에게 긍정적인 행동을 할 것을 기대하며, 자연스럽게 리더에 대한 신뢰감을 갖는다고 하여 본 연구결과와 유사점을 보이고 있다.

김성훈, 노갑택, 홍성진(2019)연구에 따르면, 윤리적 리더십은 선수들의 스포츠 인성에 영향을 미쳐, 지도자들의 윤리적 가치수준에 따라 선수들의 스포츠 인성 수준도 결정 될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지도자들의 잘못된 윤리의식을 선수들이 학습하게 된다면, 훗날 그 선수가 지도자가 되어서도 그러한 측면이 나타날 수 있음을 이 연구를 통해 예측할 수 있다.

또한, White와 Rezania(2019)는 스포츠 지도자들의 윤리적인 말과 행동은 학생 선수가 책임감을 느끼게 하는 환경을 조성하며, 지도자는 윤리적인 행동을 보여주고 모범을 보여, 선수들의 윤리적인 행동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해야 한다고 강조하였고, 선수들의 행동은 리더에 대한 책임감의 결과라 하여, 지도자로서의 윤리적인 자질을 가질 것을 권고 하였다.이러한 측면에서 지도자들의 윤리적인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강력한 처벌과 제도 개선으로 단기적인 측면에서의 성과는 있을지 모르지만 장기적인 측면에서는 지도자들의 윤리의식과 선수인권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나, 성인으로 성장 과정 중에 있는 여자 태권도 선수들에게 있어, 지도자들의 윤리적인 측면은 더 강조되어야 하며, 말과 행동에 대한 책임감은 더 높을 수밖에 없다. 물론, 지도자들에 대한 선수인권과 윤리교육에 대한 교육시스템도 중요하지만, 가장 현실적인 대안은 여자 지도자를 각 종목 별로 양성하여 지도자를 채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대안이라 판단된다.

우리나라 태권도 지도자 전체 중 남자지도자는 816명이며, 여자 지도자는 130명으로(대한체육회, 2021), 남자 선수 팀이 많다는 측면을 가만해도 다소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시대가 변해서 여자 지도자에 대한 편견과 선입견이 없어지고 있으며, 좋은 성과를 내고 있는 여자 지도자들이 많다는 측면을 고려해 보면, 여자 지도자 양성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고, 여자 지도자 선발·채용을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을 본 연구를 통해 제안한다.

둘째, 고등학교 여자 태권도선수들이 인지하는 윤리적 리더십은 운동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도자들의 윤리적 리더십 발휘는 운동 몰입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결과는 윤리적 리더십이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선행연구(Koh & Boo, 2001; Schminke, Ambrose & Neubaum, 2005; 곽진, 허애란, 정현우, 2016)가 본 연구를 지지하고 있다.

Brown 등 (2005)은 윤리적 리더십은 리더의 개인행동이나, 대인관계에서 윤리적으로 적절한 행동과 의사전달로서 구성원들과 원활한 소통을 이뤄낼 수 있으며,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통해서 구성원들과 협의를 이뤄, 조직의 안정된 분위기와 조직 환경을 제공하여 조직몰입에 도움을 준다고 하여, 본 연구결과와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이처럼 지도자들의 윤리의식을 바탕으로 한 효율적인 의사결정은 선수들과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선수들의 운동몰입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이해되며, 이러한 측면에서 태권도 지도자들은 자신의 윤리적 가치의 수준과, 의사결정의 기준 및 결정 과정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자신의 리더십을 되돌아보는 시간을 갖기를 희망한다.

셋째, 고등학교 여자 태권도선수들이 인지하는 지도자 신뢰는 운동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자 신뢰가 높을수록 선수들의 운동 몰입수준이 높아 질수 있음을 예측하는 결과로 이해된다. 이는 지도자 신뢰가 운동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김태일, 원형진, 2012; 남상백, 2013; 백유미, 2019; 이현정, 2018)들이 본 연구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태권도 선수들을 대상으로 하는 선행연구(김영인, 2008; 유현순, 박명국, 2011)에서도 지도자들의 절대적인 믿음과 신뢰형성은 선수들이 안정적인 훈련을 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자신의 운동 수행에 집중하고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와 유사점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지도자 신뢰는 고등학교 여자 태권도 선수들의 윤리적 리더십과 운동 몰입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자 신뢰의 매개효과는 두 변인간의 관계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는 지도자 신뢰가 윤리적 리더십과 몰입간의 매개효과가 있다는 선행연구(Jung & Avolio, 2000; 곽진, 허애란, 정현우, 2016; 김학수, 정범구, 2008)가 본 연구를 지지하고 있으며, 지도자 신뢰가 다양한 리더십과 운동 몰입 간에 매개효과가 있다는 선행연구(김태일, 원형진, 2012; 정윤덕, 2018; 윤원정, 2014)가 본 연구와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는 지도자들의 윤리적 리더십에 대한 효율성은 지도자 신뢰에 의해 평가될 수 있으며, 운동 몰입은 지도자 신뢰와 같은 관계형성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예측하는 결과이다.

현장의 지도자들은 선수들과의 신뢰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윤리의식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통해 선수들과 소통해야 할 것이다.


Ⅵ. 결 론 및 제언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윤리적 리더십 발휘는 지도자 신뢰를 향상시킨다. 선수인권과 윤리교육에 대한 교육시스템도 중요하지만, 여자 지도자 양성 및 현장 채용이 요구된다.

둘째, 윤리적 리더십 발휘는 운동 몰입을 향상시킨다. 지도자들은 윤리적으로 적절한 행동과 언행으로 선수들과 소통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셋째, 지도자 신뢰는 운동 몰입을 향상시킨다.

지도자 신뢰를 높이기 위해 윤리적, 공감적인 능력 향상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지도자 신뢰는 윤리적 리더십과 운동 몰입 간의 관계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더십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지도자 신뢰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끝으로, 윤리적 리더십과 다양한 심리변인과의 연구를 통해 스포츠에서 윤리적 리더십의 중요성을 강조할 필요성이 있으며, 여성 지도자 양성 방안과 채용에 대한 지원이 요구된다. 또한, 지도자들에 대한 강력한 처벌과 제도개선도 중요하겠지만, 처우개선과 지도 환경의 변화에도 관심을 가져야할 필요성이 있다.

참고문헌

  • 경향신문(2019, 02, 26). 프로스포츠 여자 선수 38% “성폭력피해경험”. 2019, 02, 26. https://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902262152015, .
  • 공성배, 김보겸(2019). 용무도지도자의 감성적 리더십과 수련생의 지도자신뢰 및 운동지속의도의 구조적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8(2), 201-211.
  • 곽진, 허애란, 정현우(2016).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부하의 직원몰입과 직무헌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인적자원개발연구, 19(1), 1-40.
  • 국가인권위원회(2019). 스포츠인권 특별조사단 결과보고서. 국가인권위원회.
  • 권성호(2008). 운동 몰입의 구성개념과 척도개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김봉경, 하철수(2010). 유도선수의 훈련몰입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9(2), 756-774.
  • 김성훈, 노갑택, 홍성진(2019). 대학 태권도 선수들이 인지하는 윤리적 리더십, 스포츠 인성, 상호의존성과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지, 14(3), 289-297.
  • 김연지, 최상진, 임진선(2017). 태권도 지도자 리더십 유형이 중·고등학교 여자 태권도선수의 운동몰입 및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여가웰니스학회지, 8(1), 21-30.
  • 김영인(2008). 태권도 선수의 지원적 인식이 운동성과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김용구(2020). 핸드볼 학생선수가 지각하는 지도자의 윤리적 리더십이 일탈적 과잉동조 및 운동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과학회지, 9(3), 195-212.
  • 김진국, 김도훈, 김근오(2016). 대학스포츠 팀 지도자의 윤리적 리더십과 조직신뢰, 지도자신뢰 및 충성도와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5(2), 93-104.
  • 김태일, 원형진(2012). 미국 태권도장 지도자의 변혁적-거래적 리더십과 지도자신뢰 및 운동몰입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1(3), 31-43.
  • 김형룡, 김영학(2020). 검도지도자의 윤리적 =리더십과 지도자신뢰 및 경기력과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지, 18(3), 1359-1367.
  • 김학수, 정범구(2008). 윤리적 리더십과 조직유효성의 관계에 있어서 상사신뢰의 매개효과. 경영경제연구, 30(2), 20-54.
  • 남상백(2013). 우리나라 국가대표 지도자의 리더십이 지도자 신뢰 및 운동 몰입에 미치는 영향. 여가웰니스학회지, 4(2), 1-9.
  • 남중웅, 석강훈, 구강본(2009). 대응가치리더십에 따른 지로자의 신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5, 351-361.
  • 대한체육회(2021). 전문체육 등록 현황, 대한체육회 홈페이지. https://g1.sports.or.kr
  • 백유미(2019). 골프참여자의 지도자신뢰와 운동몰입 및 심리적 행복감의 관계. 중소기업융합학회, 9(11), 141-148.
  • 유현숙, 박명국(2011). 태권도 지자의 리더십 유형과 지도자 신뢰, 운동몰입 및 지도효율성의 관계. 한국체육교육학회지, 16(3), 173-187.
  • 윤원정(2014). 태권도 지도자의 카리스마적 리더십에 따른 신뢰 및 운동 몰입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 이동준, 황지현(2018). 태권도 지도자의 카리스마 리더십과 리더신뢰, 운동몰입 및 운동성과와의 구조적 관계. 국기원태권도연구, 9(1), 121-140.
  • 이현정(2018). 대학남자 팀 스포츠선수의 지도자 신뢰와 운동몰입 및 팀 응집력의 관계.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6(3), 339-346.
  • 전병관(2011). 어르신전담생활체육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이 지도자 신뢰와 운동행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0(1), 409-423.
  • 전현수(2016). 운동선수의 신뢰 구성개념 정립 및 척도개발.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정용각(2004). 여가운동 참가자의 스포츠 몰입행동 척도의 타당도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15(1), 1-22.
  • 정윤덕(2018). 고교축구 지도자들의 카리스마적 리더십에 관한 병렬다중매개모형분석. 한국웰니스학회지, 13(4), 23-37.
  • Arnold, D. G., Beauchamp, T. L., & Bowie, N. L. (2012). Ethical theory and business(9th ed.). New York, NY: Pearson.
  • Avolio, B. J., Gardner, W. L., Walumbwa, F. O., Luthans, F., & May , D. R. (2004). “Unlocking the Mask: A Look at the Process by Which Authentic Leaders Impact Follower Attitudes and Behaviors,” The Leadership Quarterly, 15(6), 801-823. [https://doi.org/10.1016/j.leaqua.2004.09.003]
  • Bass, B. M. (1985). Leadership and performance beyond expectations. New York: Free Press.
  • Bedi, A. C., Alpaslan, M., & Green, S. (2016). “A Meta-Analytic Review of Ethical Leadership Outcomes and Moderators,” Journal of Business Ethics, 139: 517-536. [https://doi.org/10.1007/s10551-015-2625-1]
  • Bowie, N. E. (1991). The ruffin series in business ethics. UK: Oxford University Press.
  • Brown, M. E., & Trevino, L. K. (2006), “Ethical Leadership: A Review and Future Directions,” The Leadership Quarterly, 17, 595-616. [https://doi.org/10.1016/j.leaqua.2006.10.004]
  • Brown, M. E., Trevino, L. K., & Harrison, D. A. (2005). Ethical leadership: A social learning perspective for construct development and test.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97, 117-134. [https://doi.org/10.1016/j.obhdp.2005.03.002]
  • Ciula, J. B. (2014). Ethics, the heart of leadership (3rd ed.) Santa Barbara, CA: Praeger.
  • Demirtas, O., Hanah, S. T., Gok, K., Arslan A., & Capar. N. (2017). “The Moderated Influence of Ethical Leadership, Via Meaningful Work, on Followers ’Engagement,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Envy,” Journal of Business Ethics, 145:183-19. [https://doi.org/10.1007/s10551-015-2907-7]
  • Dirks, K. T. (2000). Trust in leadership and team performance: Evidence from Ncaa basketbal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5(6), 1004-1012. [https://doi.org/10.1037/0021-9010.85.6.1004]
  • Eisenbeiss, S. A., Knippenberg, D. V., & Fahrback, C. M. (2015). “Doing Well by Doing God?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EO Ethical Leadership and Firm Performance,” Journal of Business Ethics, 128: 635-651. [https://doi.org/10.1007/s10551-014-2124-9]
  • Greenberg, J. (1987). A taxonomy of organizational justice theorie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2: 9-22. [https://doi.org/10.5465/amr.1987.4306437]
  • Jung, D., & Avolio, B. (2000). Opening the black box: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mediating effects of trust and values congruence on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1(3): 949-964. [https://doi.org/10.1002/1099-1379(200012)21:8<949::AID-JOB64>3.0.CO;2-F]
  • Koh, H. C., & Boo, E. H. (2001). The link between organizational ethics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Business Ethics, 29: 309-324. [https://doi.org/10.1023/A:1010741519818]
  • Lindblom, A., Kajalo, S., & Mitronen, L. (2015). “Exploring the links between ethical leadership, customer orientation and employe outcomes in the context of retailing,” Management Decision, 53(7), 1642-1658. [https://doi.org/10.1108/MD-04-2015-0126]
  • Northouse, P. G. (2015). Leadership: Theory and practice. London: SAGE Publications.
  • Sama, L. M., & Shoaf, V. (2008). Ethical leadership for the professions: Fostering a moral community. Journal of Business Ethics, 78(1), 39-46. [https://doi.org/10.1007/s10551-006-9309-9]
  • Scanlan, T. K., Carpenter, P. J., Schmidt, G. W., Simon, J. P., & Keeler, B. (1993). An introduction to the sport commitment model. Journal of Sport & Exercise Psychology, 15, 1-15. [https://doi.org/10.1123/jsep.15.1.1]
  • Schminke, M., Amborse, M. L., & Noel, T. W. (1997). The effect of ethical frameworks on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justi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0(5). 1190-1207. [https://doi.org/10.5465/256932]
  • Schminke, M., Ambrose, M. L., & Neubaum, D. O. (2005). The effect of leader moral development on ethical climate and employee attitude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97, 135−151. [https://doi.org/10.1016/j.obhdp.2005.03.006]
  • Schumann, P. L. (2001). A moral principles framework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ethics. Human Resource Management Review, 11(1/2), 93-111. [https://doi.org/10.1016/S1053-4822(00)00042-5]
  • Wang, H., Lu, G., & Liu, Y. (2017), “Ethical Leadership and Loyalty to Supervisor in China: The Roles of Interactional Justice and Collectivistic Orientation,” Journal of Business Ethics, 146: 529-543. [https://doi.org/10.1007/s10551-015-2916-6]
  • White, S., & Rezania, D. (2019). The impact of coaches’ ethical leadership behaviour on athletes’ voice and performance: The role of accountability. Sport, Business and Management: An international Journal 9(5), 460-476. [https://doi.org/10.1108/SBM-11-2017-0079]
  • Zhu, W., May, D. R., & Avolio, B. J. (2004). The impact of ethical leadership behavior on employe outcomes: The role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authenticity. Journal of Leadership & Organizational Studies, 11(1), 16-26. [https://doi.org/10.1177/107179190401100104]

그림 1.

그림 1.
변인 간의 경로계수

표 1.

연구 대상의 특성

구분 하위변인 사례 수 백분율(%)
학년 1학년 112 47.2
2학년 92 38.8
3학년 33 13.9
종목 겨루기 181 76.4
품새 56 23.6
합계 237 100

표 2.

상관관계분석

A B C D E F
A: 윤리적리더십, B:능력, C:배려, D:진실성, E: 열의, F: 인지몰입, G: 행위몰입
***p<.001
A 1
B .327*** 1
C .301*** .480*** 1
D .457*** .462*** .455*** 1
E .389*** .471*** .470*** .453*** 1
F .287*** .321*** .354*** .312*** .347*** 1
G .222*** .309*** .328*** .329*** .307*** .468***

표 3.

연구모형의 적합도

X2 DF Q RMSEA TLI CFI
248.907 74 3.364 .088 .922 .910

표 4.

가설검증 및 효과분석

가설 요인 경로계수 표준오차 t 결과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 효과
1 윤리적 리더십 ⇨⇨⇨ 지도자신뢰 .489 .087 5.622*** 채택 .447 .000 .447
2 윤리적 리더십 ⇨⇨⇨ 운동 몰입 .195 .053 3.673*** 채택 .562 .134 .696
3 지도자 신뢰 ⇨⇨⇨ 운동 몰입 .401 .061 6.622*** 채택 .299 .000 .299

표 5.

매개효과

경로 매개효과크기 Z
***p<.001
윤리적리더십→지도자신뢰→운동몰입 .134 4.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