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Girls and Women
[ Article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Girls and Women - Vol. 38, No. 4, pp.1-11
ISSN: 1229-6341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4
Received 12 Nov 2024 Revised 02 Dec 2024 Accepted 31 Dec 2024
DOI: https://doi.org/10.16915/jkapesgw.2024.12.38.4.1

늘봄학교 체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미래방향: 2022 개정 교육과정 통합교과를 중심으로

신규리 ; 김민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학부생
The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Neulbom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 Focusing on the 2022 Revised Integrated Curriculum
Kyulee Shin ; Minju Kim**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Professor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Undergraduate Student

Correspondence to: **김민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E-mail : kimminju030208@naver.com

초록

늘봄학교는 정규 수업 외에 학교와 지역사회의 다양한 교육자원을 연계하여 초등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목적으로 제공되는 종합 교육 프로그램이다. 지난 2023년부터 시범 운영된 늘봄학교의 프로그램 중 체육프로그램은 학부모와 학생의 수요가 가장 높은 프로그램이자, 아동의 성장발달 단계를 고려할 때에도 매우 주요한 교육적 의의를 지니는 콘텐츠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교과를 기준으로 늘봄학교 체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하고, 미래 교육의 방향성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24년 기준 온라인 통합 플랫폼인 ‘늘봄학교’에 등록되어 운영 중인 총 44개의 체육 프로그램을 연구범위로 선정하였다. 이후 해당 프로그램들이 늘봄학교 체육 프로그램의 목적성에 부합하는 가를 2022개정 교육과정 내 <즐거운 생활>의 성취기준과의 연계성에 근거하여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 프로그램 운영기관에 따라 성취기준과의 연계성에 대한 이해 차이가 존재한다. 프로그램의 18%는 성취기준과의 연계를 미작성하거나 단순히 교육과정 연계로만 기재하고 있어 연계성에 대한 이해 부족이 드러났다. 둘째, 늘봄학교와 즐거운 생활 간의 연계가 이루어지고 있기는 하나, 늘봄학교의 프로그램이 즐거운 생활과의 성취기준을 어떻게 충족하는지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부족하다. 셋째, 늘봄학교의 체육프로그램은 ‘놀이’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 문화예술과의 연계성까지 모두 포괄하지 못하고, 즐거운 생활의 일부 성취기준에만 해당된다.

Abstract

Neulbom School is a customized educational care service that links various educational resources from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to suppor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yond regular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Neulbom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2022 revised integrated curriculum, and to provide insights into future directions for education. In this study, 44 physical education programs registered in the Neulbom School online platform as of 2024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alignment of these programs with the goals of the Neulbom School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was examined by assessing their connection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outlined in the “Joyful Life” component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re are significant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the physical education programs in Neulbom School are predominantly focused on ‘play’ and do not fully integrate connections with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therefore covering only a portion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Joyful Life” curriculum. Second, while there is some alignment between Neulbom School and the “Joyful Life” curriculum, there is a lack of detailed explanation on how Neulbom School’s programs meet those specific achievement standards. Third, there are discrepancies in understanding the connection with the achievement standards depending on the institutions managing the physical education programs. Specifically, 18% of the programs did not document any alignment with the achievement standards, or only made superficial references to curriculum connections. This could be attributed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s relevance, insufficient recognition of its importance, and inconsistencies in documentation methods.

Keywords:

Neulbom School, Physical Education, Fundamental Movement Skills(FMS), 2022 Revised Integrated Curriculum, Joyful Life Curriculum

키워드:

늘봄학교, 즐거운 생활, 2022 개정 교육과정, 체육교과, 기본움직임기술

Ⅰ. 서 론

늘봄학교는 초등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목표로, 정규 수업 외에 학교와 지역사회의 다양한 교육자원을 연계하여 제공되는 종합 교육 프로그램이다(교육부, 2023). 2022년 5월 발표된 윤석열 정부 120대 국정과제 중 국정과제 84는 “국가교육 책임제 강화로 교육격차를 해소 한다”는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였으며(대한민국 정부, 2022), 늘봄학교는 저출산 및 돌봄 공백이라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다. 주무 부처인 교육부는 국민 여론과 학교 현장의 의견을 반영하여 늘봄학교의 정책적 개념을 기존의 ‘교육⋅돌봄(Educare) 통합 서비스’에서 ‘학생 성장과 발달을 위한 종합 교육프로그램’으로 재정의하였다(교육부, 2024). 시행 현황을 살펴보면, 2023년 시범 운영을 시작한 늘봄학교는 2024년 10월 기준으로 전국 초등학교 6,185개교와 특수학교 178개교에서 초등학교 1학년 학생 약 29만 2천 명을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다(연합뉴스, 2024.10.16. 검색). 이는 전체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약 80%에 해당되는 규모이며, 2025년부터는 지원대상을 초등학교 2학년까지 확대할 계획이다. 이 같은 정책적 수요에 따라, 현재 각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및 지역 내 대학들은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다양한 양질의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보급에 힘쓰고 있다. 늘봄학교에서는 체육, 문화⋅예술, 사회⋅정서, 창의⋅과학, 기후⋅환경 등 다양한 영역의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전인적 성장을 지원 지원하고 있다. 그중 체육 프로그램은 학부모와 학생들의 수요가 가장 높은 분야이자, 아동의 운동 발달단계를 고려할 때에도 매우 중요한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올해 초 교육부가 실시한 “2024학년도 초등학교 1학년 예비 학부모 대상 전수 수요조사” 결과에 따르면, 체육 프로그램은 학부모들이 가장 선호하는 1순위 교육분야(체육 44.9%; 문화⋅예술 39.3%; 심리⋅정서 10.2%; 디지털 4.8%; 기타 0.8%)로 나타났다(문화체육관광부, 2024). 이러한 높은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체육 프로그램은 늘봄학교의 교육 목적과 부합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어 초등학생의 신체적 성장과 발달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특히, 늘봄학교 프로그램의 주요 수혜자인 초등학교 1학년은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체육 교과 간의 위계적 연계가 이루어지는 중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늘봄학교 체육 프로그램에서는 움직임(Movement)의 개념과 기본 움직임 기술(FMS; Fundamental Movement Skills)을 융합하여, 아동의 운동 발달단계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적용해야 한다. FMS는 유아기 신체 발달의 핵심으로, 모든 신체활동의 기반을 이루는 기술이다. FMS는 이동(locomotor; 걷기, 달리기, 갤로핑 등), 비이동(non-locomotor; 굽히기, 회전하기, 비틀기등), 조작(manipulative; 던지기, 받기, 차기, 당기기 등)의 3가지로 움직임 기술로 분류된다. 성숙이론적 관점(maturational theory)에 따르면, 아동 발달과정에서 특정한 능력이나 기술습득에 적합한 특정 시기인 ‘민감기(sensitive periods)’가 존재한다(Montessori, 1936). 특히, 유아기의 신체발달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시기는 만 2-6세로 보고된다(김충일, 2015; Gallahue & Ozmun, 2006). Gallahue 와 Ozmun(2006)에 따르면, FMS가 유아의 환경탐색과 정보획득 능력을 기르는 데 기여한다고 하였으며, 유아기의 FMS 습득과 세련화는 이후 아동⋅청소년기의 지속적이고도 적극적인 스포츠 참여를 이끄는 원동력이 된다고 주장하였다(Okely, Booth, & Patterson, 2001 ; Stodden, et al., 2008).

이처럼 운동 발달의 관점에서 볼 때, FMS는 ‘피지컬 리터러시 함양과 건강한 삶을 위해 유아기에 적절하게 학습되어야 하는 기술이다(Colin, et. al., 2019; Jurbala, 2015). 그러나 교육 현장에서는 FMS가 “2022 개정 체육 교육과정”에 처음으로 포함되었으며, 그마저도 초등학교 3-4학년 체육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늘봄학교 체육 프로그램은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정규 수업과의 연계성을 강화하고, 학교와 지역사회의 다양한 교육자원을 활용하여 아동의 운동 발달을 조기에 도모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늘봄학교 사업이 전국적으로 본격화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교과를 기준으로 늘봄학교 체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분석하고, 미래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늘봄학교 체육 프로그램

교육부는 늘봄학교를 주관하는 부처로, 프로그램의 질을 높이고 다양성을 확대하여 저학년 학생들의 성장과 발달단계에 맞춘 재미있고 다양한 프로그램, 특히 놀이 중심의 예체능 활동 제공을 목표로 한다. 체육 분야에서는 ‘운동과 체력’, ‘건강한 생활습관’, ‘안전한 활동’, ‘스포츠 유형과 표현’ 등의 프로그램을 집중개발⋅적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교육부, 2024).

한편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체육, 문화, 예술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늘봄학교 콘텐츠를 풍성하게 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예를 들어 문체부에서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즐기면서 창의력과 사회성을 함양할 수 있는 놀이 중심의 다양한 문화예술⋅체육 프로그램을 맞춤형으로 제공하고 있다. 특히 제 3차 학교체육진흥 기본계획에 따라, 교육부와 문체부는 ‘학생 체육활동의 일상화’라는 주요 추진과제를 설정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방안으로 ‘늘봄학교 내 체육활동 강화’를 제시하였다(문화체육관광부, 2023). 프로축구연맹의’어린이 축구교실 ‘. 한국야구위원회의 ‘찾아가는 티볼 교실’ 등이 늘봄학교 내 체육활동 강화를 위해 체육단체와 연계하여 선보인 방과 후 체육 프로그램 실례이다(이성회, 2024).

2. 초등 통합교육: 즐거운 생활

초등학교 1-2학년 시기는 인지, 정서, 사회성 등 다양한 발달 측면에서 현격한 성장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시기이다. 이에 아동들이 자신을 둘러싼 환경을 명확히 인식하고 다양한 학습 경험을 통해 조화롭게 성장할 수 있도록 통합 교육인 ‘즐거운 생활’이 운영되고 있다. 2024년 현재, 통합교육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 ‘즐거운 생활’은 학생들이 ‘지금-여기-우리 삶의 즐거움’을 경험하도록 설계된 놀이 중심의 교과이다. 이 교과는 학생들의 일상과 학습을 통합적으로 연결하며, ‘우리는 누구로 살아갈까’, ‘우리는 어디서 살아갈까’, ‘우리는 지금 어떻게 살아갈까’, ‘우리는 무엇을 하며 살아갈까’라는 4개의 주요 영역으로 구성되어있다(이승배, 2022).

‘즐거운 생활’은 16개의 성취기준을 기반으로 구성되며, 각 성취기준은 학습 내용 요소를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의 세 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제시한다. 먼저 ‘지식⋅이해’ 범주는 안전, 신체, 다양한 문화예술 등에 대한 이해를 평가한다. ‘과정⋅기능’ 범주는 놀이를 즐기는 과정에서 표현과 감상, 기본 움직임 등에 대한 기능을 주로 평가한다. 마지막으로 ‘가치⋅태도’ 범주는 즐기며 누리는 태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태도를 평가한다.

<표 1>에서는 4개의 각 영역별로 구체적인 성취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초등 1-2학년 시기의 통합교육은 유치원의 누리과정과 초등 3-4학년 체육 교과 교육과정 사이의 중간 단계에 위치한다는 점에서, 이 두 교육체제 간의 연계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이승미, 2015). 이는 즐거운 생활 교과에서 다양한 놀이 중심의 신체활동을 통해 발달 된 대⋅소근육과 FMS가 초등학교 3학년 이후의 체육교과에 자연스럽게 전이되어, 보다 심화된 운동 기술 학습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즐거운 생활의 내용 요소 및 성취기준


Ⅲ. 연구방법

1. 연구범위

2024년 늘봄학교의 확대에 따라, 교육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는 프로그램의 공급과 수요관리, 맞춤형 정보의 제공 및 교육⋅돌봄 관련 정보 제공 등의 목적으로 온라인 통합 플랫폼인 ‘늘봄학교’를 구축하여 운영 중에 있다. 온라인 통합 플랫폼에는 늘봄학교 사업추진센터, 범부처 지원본부, MOU기관, 교육기부거점지원센터의 늘봄학교 프로그램이 등록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늘봄학교 체육 프로그램의 현황분석을 위해 2024년 기준 온라인 통합 플랫폼인 ‘늘봄학교’에 등록되어 운영 중, 총 44개의 체육 프로그램(늘봄학교, 2024년 10월 5일 검색)을 연구범위로 선정하였다.

2. 연구내용

본 연구에서는 늘봄학교 체육 프로그램이 늘봄학교의 정책적 기조 및 체육 교육과정과 부합하는 가를 거시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인 ‘즐거운 생활’의 성취기준을 활용하였다. ‘즐거운 생활’은 음악⋅미술⋅체육이 통합되어, 놀이를 통해 ‘지금-여기-우리 삶’의 즐거움을 누리는 성격의 ‘놀이 경험 중심 교과’로써, 현 초등학교 1-2학년의 통합교과이다. 즐거운 생활 교과에서는 건강과 안전, 신체 인식과 감각, 활기찬 생활 등의 다양한 내용 요소별 성취기준이 존재하며, 3학년 체육교과와 연계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3. 분석방법 및 절차

최종 연구에 활용된 늘봄학교 총 44개의 체육 프로그램에 대한 현황분석은 체육학과 교수 2명(스포츠교육학, 여가학)과 체육학 박사(스포츠교육학, 스포츠사회학)로 구성된 총 4명의 전문가 협의회와 학부생 1명을 통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 프로그램들이 늘봄학교 체육 프로그램의 목적성에 부합하는 가를 2022 개정 교육과정인 “즐거운 생활”의 성취기준과의 연계성에 근거하여 탐색하였으며, 늘봄학교 체육 프로그램의 현황은 빈도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Ⅳ. 결과 및 논의

1. 늘봄학교 체육 프로그램의 현황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통합 플랫폼에 등록되어 2024학년도 2학기에 전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체육 분야 프로그램과 즐거운 생활 간의 성취기준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해당 프로그램들 총 44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의 <그림 1>에 제시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늘봄학교 프로그램의 목적 적합성을 거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림 1.

늘봄학교 프로그램과 즐거운 생활 커리큘럼 간의 연계성

첫째, 체육 프로그램 운영기관에 따라 성취기준과의 연계성에 대한 이해 차이가 존재한다. 프로그램의 18%는 성취기준과의 연계를 기재하지 않았거나 단순히 교육과정과의 연계만을 명시하는 데 그쳤다. <그림 1>에 따르면, 해당 프로그램들은 교육목표와 콘텐츠가 즐거운 생활의 성취기준과 어떻게 연계되는지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늘봄학교 체육 프로그램이 시행되는 현장에서 당당 교사들이 초등교육과정의 연계성에 대한 이해나 그 교육적 중요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저학년 신체활동 및 놀이 교육이 강화되어, 즐거운 생활 교과의 신체⋅놀이활동 시간이 기존 80시간에서 144시간으로 확대되었다. 이에 따라 통합교과 내에서 확대된 신체⋅놀이 활동을 효과적으로 운영하고 교과 간 연결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늘봄학교 프로그램 기획 시,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과의 연계를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늘봄학교와 즐거운 생활 간의 연계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늘봄학교 프로그램이 즐거운 생활 교과의 성취기준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충족하는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 두 프로그램의 연계성을 확인하기 위해 성취기준을 참고하고는 있으나, 실제로 어떤 놀이 활동을 통해 해당 기준이 충족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근거가 부족하다. ‘즐거운 생활’ 교과는 학습 목표에 따른 구조화된 활동을 제시하여 성취기준에 맞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는 반면, 늘봄학교 프로그램은 상대적으로 자율적인 학습에 초점을 두고 있어 명확한 학습 목표 설정이 미흡한 한계가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늘봄학교 체육 프로그램 선정 시에는 성취기준과의 연계를 보다 구체화하고, 명시적인 연계 목표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늘봄학교의 체육 프로그램은 ‘놀이’ 중심으로 구성되어있어 문화예술과의 연계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며, 즐거운 생활의 일부 성취기준에만 해당된다. 현재 총 16가지의 성취기준 중 놀이활동과 연계된 성취기준은 다음의 4가지로 제한된다: (1) 즐겁게 놀이하며 건강하고 안전하게 생활한다 (2) 놀이하며 내 몸의 움직임이나 감각을 느낀다 (3) 하루를 건강하고 활기차게 지낸다 (4) 주변의 물건을 활용하여 놀잇감을 만든다. 이러한 제한적인 연계성은 늘봄학교 체육 프로그램이 놀이활동에 지나치게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즐거운 생활의 주요 목표는 아동들이 문화예술과 신체활동을 통해 삶의 즐거움을 누리는 데 있지만, 늘봄학교 체육 프로그램은 문화예술과의 연계를 충분히 포함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가 드러난다. 따라서 향후에는 보다 포괄적이고 확장된 연계 교육이 요구된다.

2. 늘봄학교 체육 프로그램의 미래방향

최근 초등학교 통합교육에서 체육교육의 연계성 부족과 신체활동의 미흡함이 문제로 제기됨에 따라, 국가교육위원회는 초등 1-2학년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관련 교과를 신설하는 방향으로 국가 교육과정 개편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초등체육의 현재 상황을 바탕으로, 향후 늘봄학교 체육 프로그램의 미래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늘봄학교 체육 프로그램은 체육 교과의 양적⋅질적 확대를 지원할 수 있도록 보다 내실화된 개선이 요구된다. 특히, FMS을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저학년 학생들이 신체활동의 기초를 탄탄히 다질 수 있도록 해야한다(신기철, 2024). 아동기의 운동 발달단계를 고려해 볼 때, 늘봄학교가 시행되는 초등학교 1학년 시기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시기이다. 즉, 늘봄학교 체육 프로그램이 시행되는 1학년 시점은 누리과정(미취학 유아교육과정)의 움직임 교육과 초등학교 체육교과(초등 3학년부터 체육교과 존재) 사이에서 위계적으로 연계되어야 하는 매우 중요한 시기라는 점이다. 따라서 누리과정과 초등체육을 관통하는 시기에 적용되는 늘봄학교의 체육 프로그램에서는 아동이 기본움직임기술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과 체계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지도자의 역량에 따른 프로그램 간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 또한 필요하다. 즉, 강사의 개인적 역량에만 의존하지 않고 표준화된 프로그램 기획 체제를 구축하여 교육과정과 연계된 일관된 프로그램이 운영되도록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한다. 현황분석에 따르면, 현재 늘봄학교 체육 프로그램은 현장 강사들의 개인 역량에 따라 수업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으며, 유사한 프로그램이 반복적으로 운영되고, 프로그램별 질적 수준도 상이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이 서로 독립적으로 운영되어 연계성이 부족하며, 체육 교육과정과의 후속적 연결성 역시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체육 프로그램의 매뉴얼화를 통해 늘봄 체육수업을 담당하는 강사들의 교육역량을 체계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표준화된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통해 강사 간 격차를 줄이고, 일관성과 질적 수준이 확보된 체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을 것이다.


Ⅴ. 결 론

현재 초등학교 1학년만을 대상에서 제공되는 늘봄학교는 향후 점진적으로 고학년까지 확대 적용될 예정이다. 이러한 변화의 시점에서, 늘봄학교 교육은 교육적 목적성에 부합하는 중장기적 방향성을 모색해야 한다. 특히 늘봄학교 체육 프로그램은 정규 체육교육 과정과 직⋅간접적으로 연계한 FMS 발달을 목표로 하는 징검다리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늘봄학교 체육 프로그램의 성공적 도입과 정착은 스포츠 리터러시의 함양을 통해 수혜 아동들이 전 생애에 걸쳐 주도적이고 효율적으로 스포츠를 향유할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이를 위해 FMS를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운영이 더욱 강화되어야 하며, ‘표준화된 프로그램 기획 체제’와 ‘교육과정 연계 강화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전국 공교육 내 교육격차를 해소하는 데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향후 늘봄학교 체육 프로그램의 양적⋅질적 확대는 초등 체육교육의 이해와 실천을 바탕으로 할 때 보다 내실화된 프로그램의 개선이 이루어질 것이다.

Acknowledgments

이 연구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내연구비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 교육부(2023). 교육⋅돌봄 국가책임 강화를 위한 늘봄학교 추진방안. 서울: 교육부.
  • 교육부(2024). 2024년 늘봄학교 추진방안. 서울: 교육부.
  • 교육부, 문화체육관광부(2023). 제3차 학교체육 진흥기본계획(2024-2028). 서울: 교욱부, 문화체육관광부.
  • 김충일(2015). 기본 움직임 기술 중심 유아 신체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늘봄학교(2024.10.05. 검색). 늘 봄처럼 따뜻한 늘봄학교. retrieved from https://afterschool.kosac.re.kr/mainin
  • 대한민국 정부(2022). 윤석열 정부 120대 국정과제. 국무조정실 국무총리비서실.
  • 문화체육관광부(2023). 건강한 미래 인재 양성을 위해 문체부, 교육부 손잡는다. 세종: 문화체육관광부.
  • 신기철(2024). 2022 개정 체육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체육교육의 패러다임 전환: 기본 움직임 기술 기반 초등체육에 관한 이해와 쟁점. 한국초등체육학회지, 30(3), 65-83.
  • 연합뉴스(2024.10.16. 검색). 2학기 늘봄학교 총1 29만명 참여...내년 지원대상 초2로 확대. retrieved from https://www.yna.co.kr/view/AKR20241015133700530
  • 이성회(2024). 늘봄학교 정책 현황과 과제. 육아정책포럼, l80, 44-53.
  • 이승미(2015).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총론의 연계성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1), 533-551.
  • 이승배(2022). 통합교육과정 즐거운 생활 교과에 대한 비판적 검토: 체육교과를 중심으로. 한국체육교육학회, 27(5), 15-32.
  • Colin, H., John, C., Paul, J., Dean, D., Richard, W., & Drew, M. (2019). Developing building a new normal for all Canadians physical literacy. Canada: Sport for Life. the Government of Canada.
  • Gallahue, D. L., & Ozmun, J. C. (2006). Understanding Motor Development. NY; Mcgraw-Hill.
  • Jurbala, P. (2015). What is physical literacy, really?. Quest, 67(4), 367-383. [https://doi.org/10.1080/00336297.2015.1084341]
  • Montessori, M. (1936). The secret of childhood. Longmans, Green and Co
  • Okely. A. D., Booth, M. L., & Patterson, J. W. (2001). Relationship of physical activity to fundamental movement skills among adolescents. Medicine & Science in Sport & Exercise, 33(11), 1899-1904. [https://doi.org/10.1097/00005768-200111000-00015]
  • Smith, T. L.(1912). The Montessori system in theory and practice: An introduction to the pedagogic methods of Dr. Maria Montessori: With some reports of American experience. NY: Harper & Bros.
  • Stodden, D. F., Goodway, J. D., Langen dorfer, S. J., Roberton, M. A., Rudisill, M. E., Garcia, C., & Garcia, L. E.(2008). A developmental perspective on the role of motor skill competence in physical activity: An emergent relationship. QUEST, 60(2), 290-306, [https://doi.org/10.1080/00336297.2008.10483582]

그림 1.

그림 1.
늘봄학교 프로그램과 즐거운 생활 커리큘럼 간의 연계성

표 1.

즐거운 생활의 내용 요소 및 성취기준

영역 범주 내용 요소 성취기준
우리는 누구로 살아갈까 지식ㆍ이해 건강과 안전
신체 인식과 감각
자연의 아름다운 장면
[2즐01-01] 즐겁게 놀이하며, 건강하고 안전하게 생활한다.
[2즐01-02] 놀이하며 내 몸의 움직임이나 감각을 느낀다.
[2즐01-03] 가족이나 주변 사람과 소통하며 어울린다.
[2즐01-04] 우리를 둘러싼 자연의 아름다움을 감상한다.
과정ㆍ기능 놀이하기
소통하기
감상하기
가치ㆍ태도 어울림
건강한 생활
안전한 생활
우리는 어디서 살아갈까 지식ㆍ이해 우리나라의 문화예술
다른 나라의 문화예술
[2즐02-01] 내가 참여할 수 있는 문화예술을 향유한다.
[2즐02-02] 우리나라의 문화예술을 즐긴다.
[2즐02-03] 다른 나라의 문화예술을 체험한다.
[2즐02-04] 다양한 세상을 상상하고 표현한다.
과정ㆍ기능 문화예술 활동하기
표현하기
상상하기
가치ㆍ태도 문화예술 향유
우리는 지금 어떻게 살아갈까 지식ㆍ이해 자연의 변화
전통문화
아동 권리
[2즐03-01] 하루를 건강하고 활기차게 지낸다.
[2즐03-02] 자연의 변화를 느끼며 놀이한다.
[2즐03-03] 전통문화를 새롭게 표현한다.
[2즐03-04] 안전과 안녕을 위한 아동의 권리가 있음을 알고 누린다.
과정ㆍ기능 자연에서 놀이하기
창의적으로 표현하기
권리 누리기
가치ㆍ태도 활기찬 생활
전통의 소중함
안전과 안녕
우리는 무엇을 하며 살아갈까 지식ㆍ이해 생각과 느낌 [2즐04-01] 주변의 물건을 활용하여 놀잇감을 만든다.
[2즐04-02] 자유롭게 상상하며 놀이한다.
[2즐04-03] 생각이나 느낌을 살려 전시나 공연 활동을 한다.
[2즐04-04] 기억에 남는 경험을 떠올리며 의미를 부여한다.
과정ㆍ기능 고치기와 만들기
놀이하기
전시하기
공연하기
경험 떠올리기
가치ㆍ태도 자유로운 상상
의미 부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