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Girls and Women
[ Article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Girls and Women - Vol. 38, No. 4, pp.115-135
ISSN: 1229-6341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4
Received 27 Oct 2024 Revised 06 Dec 2024 Accepted 31 Dec 2024
DOI: https://doi.org/10.16915/jkapesgw.2024.12.38.4.115

노인 대상 라인댄스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김지나 ; 정원정 ; 박휴경 ; 김수연*
부산대학교, 강사
부산대학교, 연구교수
충남대학교, iLEAD 간호교육연구센터 박사 후 연구원
연세대학교, 박사졸업
A Study on the Trend of Korean Research on Line Dancing for the Elderly
Ji-Na Kim ; Won-Chung Chung ; Hyu-Kyoung Park ; Sue-Yeon Kim*
Pusan National University, Lecturer
Pusan National University, Research Professor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LEAD Nursing Education and Research Center, Postdoctoral Fellow
Yonsei University, PhD

Correspondence to: *김수연, 연세대학교, E-mail : cherry7@daum.net

초록

이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발표된 라인댄스의 연구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Y대학학술정보원과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및 구글 검색엔진(Google Scholar)에서 “라인댄스⋅노인⋅시니어⋅실버”로 검색하여 학술지 논문을 수집하고, 자료선별 기준에 부합하는 총 22편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매우 적어 양적 성장을 이루어야 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발표된 연구가 적음에도 노인 대상 라인댄스 체육/무용 분야와 간호 분야 외에도 여러 분야에서 연구가 수행되고 있고, 신체와 정신 및 심리적 측면을 다룬 연구가 다수이며 그리고 유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보여지고 있어 노인을 위한 건강운동으로 가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연구대상의 특성에서 여성을 대상으로 한 편중성이 나타나고 있고, 연구방법에 있어도 양적연구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노인을 대상으로 한 라인댄스의 연구가 다양하게 활성화되어 연구의 양적/질적 성장을 이루어야 하겠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후속연구의 주제를 선정하고 연구질문을 제기하여 노인 대상 라인댄스 연구의 확장성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research trends of the Line Dance for seniors published since 2010. For the study, academic journal papers were collected by searching and archiving Line Dance, senior, and silver in the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as RISS, Google Scholar, and Y University research service, and a total of 22 articles were analyzed for applying the data selection criteri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quantitative approach should be increased, focusing on seniors, as few studies were verified and published. Although there were few published studies, Line Dance-related studies for seniors were conducted in disciplines such as physical education/dance and nursing, most of the studies dealt with physical and mental aspects and psychological aspects, and there were studies on subjects with health diseases, indicating that line dance is worthwhile as an exercise for health promotion for seniors. However,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there was a bias in research on learners and women of senior, and most of the research methods were quantitative. Based on the derived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further research on Line Dance for seniors should be conducted through various approaches and analysis methods, resulting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spectives.

It is hoped that thes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the scalability of Line Dance research for the senior by the subject collecting on the follow-up research and raising research questions.

Keywords:

Line Dance, Elderly, Research Trends, Content Analysis

키워드:

라인댄스, 노인, 연구동향, 내용분석

Ⅰ. 서 론

국내 통계청에서 보고된 ‘고령자 통계’ 결과를 살펴보면, 2023년 기준 65세 이상의 우리나라 고령 인구는 전체 인구의 18.4%로 950만 명이고, 고령자 가구는 전체 가구의 25.1%로 2025년에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다(김경희, 박순옥, 2023). 따라서 노년기 나타나는 다양한 변화에 대해 대처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현실에서 ‘성공적인 노화’는 노인의 쇠퇴와 의존성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좋은 것’으로 간주되어 왔으며(Katz, 2000), 이것은 활동적인 노년기를 보내는 것으로 이룰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는 이러한 ‘활동적인 노화를 인간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서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건강과 참여 그리고 안전의 기회를 최적화하는 과정’으로 정의하였다(WHO, 2015). 이는 활동적인 노화 활동을 통한 성공적 노화를 위해 정신과 육체적 건강 그리고 독립성 확보를 위해 사회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Bowling, 2008). 이러한 사회활동으로 신체적 움직임과 새로움에 대한 추구가 포함되는 되는 것이 적합하며, 여가활동이 이에 해당된다(Levasseur et al., 2010). 그러므로 노인 인구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여가활동의 이점을 이해하는 것은 이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촉진하는 데 필수적이다(Owen-Booth, & Lewis, 2020). 이러한 노인을 위한 여가활동은 신체활동을 기반으로 인지적 활동이 가능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신체적/인지적 활동이 건강한 노년층의 웰빙에 기여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Huxhold et al., 2013).

이러한 활동 중에서 댄스는 노인들의 심리적/신체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Connolly & Redding, 2010). 댄스는 신체적 측면에서 심혈관 운동과 근력⋅균형⋅유연성을 결합한 형태로 유산소 운동의 효과 및 혈압과 자세 안정성 등에도 도움을 주며(Aujla, 2015), 신체 톤과 체력 및 보행을 개선하고 낙상 위험을 줄이는데 기여하는 활동이다(Hamache et al., 2016; Hui et al., 2009). 더불어 노인들의 댄스 참여는 자기효능감⋅정서적 안정⋅활력 그리고 우울 등의 심리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김승일, 이현경 2012; 심혜경, 윤미라, 2016). 무수히 많은 형태와 다양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춤은 이동성 감소로 인해 종종 발생하는 고립에 맞서 사교 활동을 할 수 있고, 공동체 의식을 고취할 수 있어(Aujla, 2015; Keogh et al., 2009), 노년기에 필요한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댄스 수업에 대한 정기적인 참여는 긍정적인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기(Cohen, 2006) 때문에, 노인에게 댄스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참여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는 것도 중요하다. 우리나라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Han & Sa, 2023) 노인의 댄스 참여가 건강과 행복감을 유발하는 의미 있는 활동이기에 노인의 댄스 참여를 활성화하여야 하며, 장기적인 개입으로 노인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을 마련하는데 국가적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노인을 위한 춤 중에서 라인댄스(line dance)는 의료진과 전문가들이 노인들의 신체활동 유지를 위해 가장 많이 권장하는 활동 중 하나이며 세계 여러 나라의 노인들이 참여하고 있는 댄스로, 인기 있는 음악이나 특별한 음악에 맞춰 안무 된 동일한 루틴을 수행하는 사교댄스의 일종이다(Aliberti, & Raiola, 2021; Capone, 2006). 라인댄스는 라인이라는 뜻 그대로 앞과 옆의 줄을 맞춰 추는 춤으로 파트너를 필요로 하지 않고 혼자서 수행한다. 또한 한 음악에 여러 번 같은 동작을 반복해서 추는 것이 특징이다. 일반적으로 라인댄스는 방향을 90도 혹은 180도로 회전하며 춤을 추고, 어떤 연령의 사람에게나 적절하게 만들어져있다(한국라인댄스협회 홈페이지). 현재 축제와 국제적인 행사를 통해 많은 사람이 참여하고 즐기는 인기 많은 댄스의 한 장르이다(다음백과). 우리나라에서는 한국라인댄스협회가 2007년 처음 라인댄스를 소개하였고, 당해 지도자과정 워크숍을 개최 후 교직원직무 연수(한국라인댄스협회 홈페이지) 등을 통해 라인댄스를 확산시키는데 기여하였다.

라인댄스는 파트너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특히 노인들에게 더 자유와 독립성을 부여하며 이것이 춤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는 기회가 된다(Joseph, & Southcott, 2019). 또한, 많은 곡이 4/4박자의 적당한 빠르기로 걷는 속도를 유지하는 춤이다(한국라인댄스협회). 이러한 특징은 노인들이 어렵지 않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될 수 있겠다. 라인댄스는 이미 다양한 연구에서 효과가 검증되었으며, 에어로빅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저강도 에어로빅댄스로 간주된다(Gordon et al., 2001). 노인들에게 라인댄스는 전통적인 유산소 수업에 대한 에너지 넘치는 대안이 될 수 있어(Gavin & Myers, 2003), 노인을 위한 건강댄스로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보급되고 있다(대한라인댄스협회 등, 2008). 라인댄스는 동작을 반복수행하기 때문에 노인의 기억력을 향상시키고 사고력과 판단력을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김지원, 순아름, 김찬회, 2019). 더불어 라인댄스에 꾸준히 참여하는 노인들은 라인댄스가 신체 건강(체중⋅만성질환 관리⋅근력⋅균형)과 인지기능(건망증⋅주의력⋅집중력) 및 심리적(자신감⋅자존감⋅활력) 측면에서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다(Joseph, & Southcott, 2019; Nadasen, 2007; Owen-Booth, & Lewis, 2020). 무엇보다 라인댄스는 손을 잡고 추는 춤이 아니라 코로나19 시기 언택트-스포츠로도 안성맞춤이었다(시니어매일, 2023). 팬더믹 시기 라인댄스에 참여하는 노인들은 행복감과 멋진 삶에 대한 기대 및 좋은 기분 등을 느껴 정신건강에 도움을 주는 활동으로 확인된다(Aliberti, & Raiola, 2021). 위와 같은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측면을 생각할 때, 라인댄스는 노년기 건강하고 좋은 삶의 질을 누리는 수단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노인을 위한 라인댄스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노년기 활동으로 라인댄스의 가치와 의미를 탐색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라인댄스에 대한 다수의 논문이 발표되고 있다. 전체 94편의 학술논문과 51편의 학위논문이 확인되는 것을 볼 때,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라인댄스 수행을 통해 체력과 근력 향상, 혈압과 콜레스테롤 감소, 골다공증 예방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대한라인댄스 협회 등, 2008), 스트레스와 우울 감소⋅치매예방⋅행복감과 삶의 질 향상 등 노인 정신과 심리적 건강에 효과적인 운동이기에(권인선, 김지연, 2021; 김지원 등, 2019; 신명기 등, 2013; 이연종, 2016; 이윤숙, 김현태, 2021), 노인을 대상으로 한 라인댄스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 현재의 인구 구조 변화에 따라, 노인의 여가활동에 대한 관심과 정책적 지원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라인댄스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도 ‘언택트 스포츠’로 성공적으로 활용 되었으며(류영일, 2020), 단체활동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개인의 능력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유연성을 지니고 있어 노인의 여가활동에 제약을 받는 상황에서도 적절히 시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노인대상 라인댄스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은 노인 대상 여가활동의 실질적 효과와 가치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관심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첫째, 노인 건강 증진을 목표로 한 지역사회 기반의 여가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확산 전략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노인의 사회적 고립을 완화하고 공동체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문화체육 프로그램으로서 라인댄스의 효과를 입증할 수 있다. 셋째, 노인의 지속적인 참여를 독려하기 위한 경제적 지원 방안, 시설 확충, 지도자 양성 등 구체적인 정책 과제를 도출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노인 대상 라인댄스의 사회적 및 정책적 가치를 탐구하는 것은, 단순한 여가활동으로서의 역할을 넘어 노인복지서비스의 일환으로 라인댄스가 체계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정책 수립에 기여하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후속 연구를 통해 라인댄스가 노인의 건강, 사회적 관계, 심리적 안정 등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노인복지서비스로서 라인댄스가 사회체육/무용 분야에서 발전할 가능성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 관련 라인댄스와 관련한 국내의 연구 동향을 살피고 분석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한 연구의 목적은 첫째, 노인 대상 라인댄스 연구의 시기별 연구 동향을 분석한다. 둘째, 노인 대상 라인댄스 연구의 발행기관별 연구 동향을 분석한다. 셋째, 노인 대상 라인댄스 연구의 방법론적 동향을 분석한다. 넷째, 노인 대상 라인댄스 연구의 주제에 대한 동향을 분석한다. 다섯째, 노인 대상 라인댄스 연구의 대상자 특성별 동향을 분석한다. 이러한 연구 문제를 통하여 노인 관련 라인댄스 연구의 향후 과제에 대한 논의를 이끌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및 절차

이 연구는 이미 발표된 타인의 연구를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내용분석방법을 채택하였다(김석우, 최태진, 박상욱, 2015; 박휴경, 박성훈, 2023에서 재인용).

연구의 절차는 1단계에서 자료의 선정과 배제 기준을 정하고 2단계에서는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후 3단계에서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4단계에서 분석한 결과를 해석하고 글쓰기 과정을 거쳐 수행하였다.

연구의 절차를 다음의 표로 제시하였다<표 1>.

연구의 절차

2. 자료수집 및 분석

이 연구를 위한 자료의 수집과 분석의 기준은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진행하였다.

이 연구를 위한 자료의 선정 기준은 학위논문과 발표 논문을 제외한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한 내용분석이다. 선행연구로 최수영과 홍예주(2021)는 ‘성공적 노화와 무용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그리고 박에스더와 이지경(2024)의 ‘노인 대상 노래중심 음악치료의 연구동향 분석’을 참고하였다.

분석의 기준은 연도 학술지 유형⋅연구유형⋅연구목적(주제)에 따라 중년여성 대상 필라테스의 연구동향을 분석한 유금현과 박미하(2024)의 연구를 참조하였다.

1) 자료수집

본 연구에서 자료의 수집은 Y대학 학술정보원과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및 구글 스칼라(Google Scholar)에서 ‘라인댄스, 노인’이라는 색인어로 검색을 하였으며, 학술논문을 기준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검색은 최초 검색은 2024년 5월 초에 시작하였으며, 재검색을 2024년 6월 초에 실시하였다. 노인을 대상으로 한 라인댄스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등재학술지와 비(非)등재학술지 모두를 대상으로 하였다.

3가지의 검색엔진을 통해 수집된 자료에서 중복되는 것을 제외하고 총 23편의 연구가 분석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이 중에서 분석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라인댄스와 리듬체조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1편(신석환, 2020)을 제외하고, 총 22편의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선정된 자료를 다음의 표로 제시하였다<표 2>.

노인 관련 라인댄스 선행연구

2) 자료분석

수집된 자료는 내용분석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연구의 연도별⋅발행기관 유형⋅연구방법론 유형⋅연구의 주제별 유형⋅대상자의 특성별 동향 을 기준으로 하였다.

연도별 분석은 라인댄스가 한국에 정착한 기간이 약 17년으로 노인을 대상으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발행된 모든 논문을 매년 발행률로 분석하였다. 발행기관은 무용과 체육 및 기타로 분류하였다. 연구방법에 대한 분석은 질적연구와 양적연구(운동 중재⋅설문)로 분류하였다. 연구의 주제는 신체⋅정신⋅심리⋅기타 연구로 분류하였다. 연구대상자 특성은 성별⋅학습 대상(학습자/지도자)⋅질환의 특성으로 분류하였다.

3. 연구윤리

연구윤리란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지켜야 할 원칙과 행동 양식을 의미한다. 연구윤리를 위한 연구자의 책임으로는 투명하고 정직한 연구 진행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자신의 논문뿐 아니라 타인의 저작물을 활용할 시에도 반드시 출처를 밝히는 것 그리고 무엇보다 연구수행 시 위조 및 변조와 표절 그리고 부당한 저자의 표시 등 부정행위를 경계해야 한다(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

이에 따라 자료수집과 분석 및 글쓰기 등 전반적인 연구 과정에 모든 저자가 참여하였고, 기여도의 순서에 따라 참여한 모든 저자를 표기하였다. 더불어 문헌연구에서 발생할 수 있는 표절에 유의하기 위해 수집된 자료의 표기와 글쓰기에서 출처를 밝히는 것에 주의하였고, 유사도 검사를 2회 실시하여 문제없음을 확인하였다.


Ⅲ. 결 과

1. 연구의 연도별 동향

노인과 관련한 라인댄스에 대한 연도별 동향은 다음과 같다.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2010년에 처음 시작되었고, 2015년을 제외하고 2021년까지 꾸준하게 연구가 이루어졌다.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 동안은 매해 한편의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후 2013년부터 2016년까지 2015년을 제외하고 해마다 2편의 연구가 발표되었다. 2017년과 2018년에도 각 1편의 논문이 발행되었다. 이후 2019년에는 3편 그리고 2020년에는 2편의 논문이 발행되었다. 2021년도에 4편의 연구가 나타나고 있어 가장 연구가 활발히 진행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2022년과 2023년에는 진행된 논문이 없고, 2024년 1편이 확인된다.

노인 대상 라인댄스 관련 연구 동향의 연도별 분석결과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표 3>.

연도별 연구동향

우리나라에 공식적으로 라인댄스가 도입된 것은 2007년 한국라인댄스협회에서 워크숍을 실시하고 지도자과정을 개설한 것에서 출발하였다. 2007년에 이 협회에서 노인운동을 위한 라인댄스 공개 워크숍을 실시하였고, 2008년 제1차 실버라인댄스 지도자 강습회를 실시하였다(한국라인댄스협회 홈페이지). 2007년에 처음으로 지도자를 배출하여 사회체육 현장에서 라인댄스 강좌가 개설된 것과 라인댄스 노인지도자 배출이 2008년인 것을 생각할 때, 2010년도에 노인을 대상으로 연구된 것은 비교적 빠르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노인을 대상으로 한 라인댄스 연구는 2010년부터 2018년까지 2015년을 제외하고 꾸준하게 연구되었으나, 1∼2편에 그치고 있다. 2019년부터 2021년 3년간 2∼ 4편이 발행되었는데, 고령사회를 맞이하고 초고령사회로 가고 있는 현실에서 저조하다 판단된다. 노인의 건강은 단순히 개인의 문제를 넘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성공적인 노후의 성공여부가 매우 중요시 되고 있고, 많은 선행연구에서 노년기 가장 중요한 활동을 여가 및 운동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여가로서 운동 프로그램으로 적절하다 인식되고 있는 라인댄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 연구의 발행기관별 동향

노인 대상 라인댄스 논문의 발행기관은 한국코칭능력개발원에서 3편으로 가장 많이 발행되었다. 이어서 사회체육학회, 한국체육과학회, 한국체육학회, 한국콘텐츠학회가 각 2편씩으로 확인된다. 그리고 글로벌건강과 간호, 글로벌시니어건강증진개발원, 디지털정책학회, 대한산업경영학회, 체육과학연구소, 한국기초간화학회, 한국무용학회, 한국스포츠학회, 한국운동재활학회, 한국융합학회,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등 11개의 학회에서 각 1편씩 발행되었다.

노인을 대상으로 라인댄스 관련 연구의 발행기관 별 동향은 체육/무용분야에서 13편(59.1%)으로 가장 많았으며, 간호분야에서 2편(9.1%), 융합분야 2편(9.1 %), 콘텐츠분야 2편(9.1 %)으로 나타났다. 기타 분야로 노인 건강, 산업경영, 디지털 정책, 융합, 응용과학기술 분야에서 각 1편씩 총 5편(22.7%)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었음이 확인된다.

노인 대상 라인댄스 관련 발행기관별 연구동향 분석결과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표 4>.

발행기관별 연구동향

분야별 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라인댄스가 댄스 즉, 무용의 한 장르임에도 가장 많이 연구된 것은 체육분야의 학술지이다. 이는 라인댄스가 운동의 측면에서 상당한 효과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또한 무용이 운동의 영역 안에서 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라인댄스가 생활무용임에도 불구하고 무용분야에서 노인 대상 라인댄스는 1편이 연구되었다. 무용이 예술이 아닌 생활/사회무용으로 활성화가 되어가도 있으며, 라인댄스는 대표적인 인기종목으로 자리 잡고 있음에도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무용분야에서 미미한 것은 아쉬운 점으로 생각된다. 이는 라인댄스를 무용보다는 스포츠의 범주로 인식하는 경향으로 추측된다. 주목할 것은 라인댄스에 대한 연구가 간호분야에서도 이루어진 점이다. 간호 분야에서 운동중재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라인댄스를 운동으로 받아들인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기타 다양한 분야에서도 소수이지만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물이 존재하며, 이는 라인댄스가 노인에게 효과적인 운동이라는 것을 반증한다.

발행기관별 동향을 살펴본 결과, 다양한 분야의 학회에서 노인 대상 라인댄스에 대한 연구물이 출판된 것은 라인댄스가 사회적 기여도가 높은 가치 있는 활동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향후 다양한 분야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3. 연구의 방법론적 동향

분석결과 연구방법론적 경향은 양적연구가 가장 많이 보여지고 있다. 세부적으로 운동중재를 통해 다양한 건강 관련 변인을 살펴본 연구가 총 12(54.6%)편으로 확인된다. 그리고 설문조사는 3편(13.6%)이며, 건강관련 변인과 심리 및 정신적 변인을 함께 다룬 연구 즉 운동중재와 설문을 혼합한 연구가 3편(13.6%)이 수행되었다. 그리고 질적연구는 4편(18.2%)으로 소수 이루어졌다.

노인 대상 라인댄스 연구의 방법론적 동향을 다음에서 제시하였다<표 5>.

방법론적 연구동향

연구방법의 동향을 살펴본 결과 많은 연구에서 운동중재 혹은 설문을 바탕으로 한 양적연구로 진행되었다. 무엇보다 라인댄스가 건강 운동이라는 인식에 따라 신체적 건강을 변인으로 한 중재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정신과 심리/사회적 건강 변인을 보는 연구도 여러 편 수행되었고, 신체와 정신 및 사회적 건강을 함께 다룬 혼합연구도 보여지고 있다. 더불어 상대적으로 질적연구는 4편으로 소수 이루어졌는데, 3편은 여성을 대상으로 경험의 의미와 라인댄스 활동을 통한 디지털 에이징 실현 그리고 노인을 위한 지도법에 대한 연구이다. 1편은 실버여성라인댄스 지도자와 관련된 것이다. 노인을 대상으로 한 라인댄스 연구에서 양적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질적연구는 인간이나 현상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참여자의 관점을 중요하게 바라보기 때문에, 인간 행동과 사회적 현상에 대해 보다 깊은 통찰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질적연구방법을 통한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4. 연구의 주제 동향

연구의 주제에 따른 연구동향 분석 결과, 질적연구로 수행한 4편을 제외하고 모두 건강 관련 변인을 주제로 하였다. 변인은 신체적인 것을 다룬 것이 3편(13.6%), 생리적인 것이 7편(31.9%), 정신/심리적 측면을 다룬 것이 4편(18.2%), 신체기능과 생리기능을 함께 다룬 것이 2편(9.1%), 신체기능과 심리적 변인을 연구한 것이 1편(4.5%), 생리기능과 심리적 변인을 함께 다룬 것이 1편(4.5%)으로 확인된다. 한편, 질적연구는 4편(18.2%)으로 소수 이루어졌다. 노인 대상 라인댄스 지도법, 라인댄스 참여에 따른 디지털 에이징 실현, 지도자의 자아유형, 노인들의 라인댄스 참여 경험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그러나 라인댄스의 수혜자인 노인에 대한 연구의 비율이 높고, 지도자를 대상으로 한 것이 한편으로 확인된다.

노인 대상 라인댄스 연구의 주제적 동향을 다음에서 제시하였다<표 6>.

주제별 연구동향

노년기에 가장 관심이 되는 것이 건강이다. 건강은 신체뿐 아니라 정신 및 사회적 건강도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노인들이 원하는 것은 독립적인 생활일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신체 기능주제에서는 신체적 건강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신체기능 연구는 보행 패턴을 통해 낙상 위험도 및 균형성을 측정하였으며, 건강한 노인 및 만성퇴행성질환을 가지 노인의 체력과 관련하여 라인댄스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이루어졌다.

전체 주제 중 가장 많은 연구물은 생리적 건강 지표를 변인으로 한 연구물로 확인되었다. 혈액 내 산소포화도, 염증반응, 심혈관질환 위험인자, 골밀도, 호르몬, 대사증후군에 대한 연구 및 뇌파 활성도, 치매 및 노화관련인자 등을 일반 노인과 당뇨병 및 비만 노인에게 적용하여 연구하였다.

정신과 심리에서는 생활 만족, 행복감, 운동자기효능감, 삶의 질, 성공적 노화, 우울, 고독감의 세부 주제가 확인되었으며 일반 노인과 초고령 노인, 암 경험자, 홀로된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생리적 측면을 다룬 연구 다음으로 정신과 심리적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노년기 신체기능과 함께 심리적인 측면이 중요하다는 것을 반증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5. 연구의 대상자 특성별 동향

연구 대상자의 특성별 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성별에 따른 특성별 동향은 남성 대상이 2편(9.1%), 남성과 여성 노인 대상이 5편(22.7%), 여성 노인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 15편(68.2%)으로 가장 많이 보여지고 있다. 그리고 학습 대상의 특성으로 학습자인 노인을 대상으로 한 것은 20편(91%)로 가장 많고 지도자 대상이 1편(4.5%) 그리고 학습자와 지도자를 함께 연구한 것이 1편(4.5%)로 확인된다. 마지막으로 질환의 특성으로 연구된 것은 암 경험자⋅만성퇴행성질환⋅비만 대상이 각 1편(4.5%)이며, 당뇨를 가진 노인 대상 연구가 2편(9.1%)로 나타났다. 한편 일반노인 대상은 13편(59.1%)이다.

노인 대상 라인댄스 연구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동향을 다음에서 제시하였다<표 7>.

대상자 특성별 연구동향

연구 대상의 특성에 따른 연구 동향을 확인한 결과 첫째, 성별의 특성에 따른 연구는 여성을 대상으로 한 것이 가장 많았다. 이는 댄스라는 종목이 아직 우리나라 남성들에게는 접근하기 어려운 사회적 분위기 혹은 노인들의 인식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측된다. 남성 노인에 대한 연구는 2편으로 소수 이루어졌는데, 연구 현장은 모두 시와 보건소에서 남성을 대상으로 계획된 운동 수업의 일환으로 확인된다. 라인댄스가 노인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생각할 때 남성 노인의 참여가 활성화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남성과 여성을 함께 다룬 연구는 5편이며, 모두 양적연구로 수행된 것으로 확인된다. 둘째, 학습대상의 특성에 따른 연구로 학습자인 노인을 대상으로 한 것이 가장 많은 것으로 보여진다. 이는 학습의 수혜자를 대상으로 한 것이 당연한 것으로 생각될 수 있으나, 다양한 연구를 통해 질 높은 노인 라인댄스 수업이 제공되기 위해서는 지도자 혹은 관련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도 활성화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총 22편의 연구 중 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5편으로 상대적으로 적은 편수에 그친다. 선행연구 결과에서 보여지듯, 라인댄스가 신체뿐 아니라 정신/심리적 건강에도 유용한 프로그램이므로 유질환 노인들에게 널리 적용되기를 기대한다.


Ⅳ. 논 의

정기적인 운동은 노인의 연령 관련 사망률과 질병률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는 것이 많은 연구에서 입증되었다. 춤은 신체와 인지 및 사회적 요소를 통합하는 복잡한 감각적이고 리듬감 있는 운동이기 때문에, 노인들에게는 더욱 흥미롭고 즐거운 활동이 될 수 있다(Nadasen, 2008). 특히 라인댄스와 같은 춤을 추기 위해서 안무를 기억하는 것은 마음과 몸의 협응을 요구하며, 인지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일 미친다(D’lsanto, et al., 2017). 더불어 다른 활동에 비해 재미있고 몰입감이 있어 신체와 사회적 이점을 제공하며(Overdorf et al., 2016), 기분의 개선으로 인해 스트레스와 우울의 수준을 감소시킨다. 라인댄스에 참여하는 노인들은 에너지가 넘쳤고 외출을 더 선호하게 되었으며, 이는 삶에 대한 만족감이 높아졌음을 보고하였다(Aliberti, & Raiola, 2021). 그러므로 노인의 라인댄스 참여는 건강과 웰빙, 사회적 연결, 목적있는 여가시간을 제공하여 성공적인 노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활동(Joseph, & Southcott, 2019)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전 세계 많은 지역에서 노인들이 신체활동으로 라인댄스에 참여하고 있다. 이는 주치의, 의사 보조원, 간호사 및 기타 전문가들이 노인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가장 추천하는 활동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Nied, & Franklin, 2002). 따라서 노인 대상 라인댄스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활성화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며, 관련 연구 역시 양적/질적 성장이 요구된다. 이러한 점에서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은 노인을 위한 라인댄스의 다양한 이점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는데 중요한 기반이 될 수 있으며, 노인 대상 라인댄스를 활성화 시키는 것에도 기여 가능하다고 본다. 이에 이 연구는 라인댄스가 도입된 이후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 중 학술지에 발행된 모든 연구물 총 23편 분석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1편을 제외하고 총 22편의 논문을 내용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에서 논의한다.

첫째, 우리나라에 라인댄스가 도입된 지(자격증 과정 기준) 17년이 흐른 현재,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은 노인 건강과 여가가 중요해지는 시점에서 시의적절하다. 그러나 노인을 대상으로 한 라인댄스 연구는 지난 14년간 총 22편이 이루어져 우리나라가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가고 있는 상황, 그리고 생활/사회무용이 활성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국내에서 오래된 역사를 지닌 댄스스포츠에 대한 연구가 2001년 처음으로 시작되어 현재까지 150여편(학술연구정보서비스 기준)이 넘는 것에 비하여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노인을 대상으로 라인댄스의 긍정적 효과를 고려할 때, 연구가 더욱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다시 말해 노인에게 적합한 댄스로 권장되고 있고, 선행연구를 통해 노인에게 효과적인 활동으로 검증된 라인댄스에 대한 연구의 양적 성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연구발행기관에 따른 동향 분석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학회지에 발행되어 라인댄스를 포함한 노인을 위한 신체활동이 체육/무용과 간호 분야 외에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우리나라가 고령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현실에 기인하기도 하지만, 다른 학문 분야에서 신체활동 그리고 노인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체육/무용이 교육과 예술의 범위를 넘어 국민의 여가와 건강 그리고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다양한 분야에서 노인과 운동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이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김민우와 강승지(2019)는 하나의 주제가 여러 학술분야에서 연구되는 것은 다양한 관점에서 검토되고 있는 것이며, 이것은 다학제 연구를 통하여 향후 긍정적인 변화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노인대상 라인댄스 연구도 다학제 기반으로 연구될 가치가 높은 분야이기 때문에, 다양한 학문분야의 학술지에 발표된 것은 매우 긍정적인 현상이다. 다만, 해당 학회의 특성에 맞는 주제가 아닌 노인의 건강과 관련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예로써, 산업경영 관련하여서는 노인 라인댄스의 산업과 경영적 측면으로, 디지털 정책학회에서는 디지털을 기반으로 향후 정책적인 제안을 하는 연구, 융합학회에서는 다른 장르와 융합한 연구를, 콘텐츠 분야에서는 라인댄스와 관련된 콘텐츠에 대한 주제를 다루는 것이 바람직했다고 보여진다. 라인댄스가 노인에게 적합하다는 인식이 확대되고 있고, 실제 연구에서도 노년기 요구되는 다양한 측면에서 효과가 보고되고 있으므로, 노인대상 라인댄스 연구가 다학제 기반으로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다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한편, 라인댄스가 생활/사회무용으로 각광받고 있는 것에 비하여, 무용분야에서의 연구는 1편으로 매우 저조하다. 무용은 건강과 웰빙 그리고 예술과 교육 및 실용적 가치를 통합하고, 일상생활 속에 녹아들어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무용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많은 사람이 무용을 경험하고 나아가 예술을 향유하기 위해서는 먼저 체험이 중요하다. 라인댄스는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특성이 있어 노인들이 접근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노인들이 라인댄스를 통해 무용의 가치를 경험하기를 바라며, 노인대상 라인댄스의 연구가 무용분야에서도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셋째, 연구의 방법론적 동향에서는 연구방법의 편향성이 확인되었다. 22편의 연구 중 질적연구는 4편으로 상대적으로 소수 이루어졌다. 노인들의 라인댄스 참여에 대한 질적연구는 노인의 삶에 미치는 다면적인 영향을 보다 명확하게 이해하고 실질적이고 유용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조주희(2023)는 객관성 확보가 가능한 양적연구도, 일상적 상황에서 심층적인 결과 도출이 가능한 질적연구도 모두 장점이 있다고 주장하며, 그럼에도 혼합연구로 하나의 연구방법의 한계를 보완해야 함을 이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노인대상 라인댄스 연구도 다양한 연구방법 기반 그리고 선행연구에서 제언하는 연구의 필요성에 따른 연구 노력이 요구된다.

넷째, 연구 주제별 동향에서도 연구방법론에서와 같은 편향성이 확인되었다. 노인의 신체와 정신 및 심리적인 건강에 대해 다양한 변인으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라인댄스가 노인에게 적절한 신체활동인 것은 단지 건강적인 측면에만 국한되지 않다는 측면에서 연구 주제가 보다 다양해져야 할 것이다. 선행연구에서 나타나는 노인을 위한 라인댄스 지도법, 라인댄스 활동을 통한 디지털 에이징 실현, 사회적 자본, 체험의 의미 등 의미 있는 주제들이 나타나고 있으나, 이러한 연구와 연결성 있는 후속연구가 부족하다. 한편, 수혜자 중심의 연구 주제와 관련된 연도별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초기의 연구가 라인댄스의 기초 효과 탐구로 시작해서 점차 의미를 넓혀왔음을 확인할 수 있다. 2010년부터 2012년까지의 연구는 낙상 위험과 체력에 관한 연구로 라인댄스가 단순한 여가 활동을 넘어, 노인들에게 실직적인 신체적 도움을 줄 수 있는지 확인하는 초기 시도로서의 의의를 확인할 수 있다. 2013년부터 2018년까지는 보다 확장된 신체 및 정신 건강이 연구된 시기로 라인댄스의 영향을 산소포화도, 행복감 등의 심리적 요소, 혈당조절 및 심혈관 질환 위험 감소와 같은 구체적인 건강지표로 확대되었으며, 일부 연구에서는 우울완화와 삶의 만족도와 같은 정신 건강에 주목하였다. 이 기간의 연구들을 통해 라인댄스가 전반적인 신체 및 정신 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활동으로 인정받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 전반적으로 저조한 연구 편수에 비해 다수의 연구가 진행된 2019년부터 2021년까지의 기간은 건강, 심리 및 사회적 지원 관계에 대한 다차원적 접근이 시도되었다. 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고독감 감소와 사회적 지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통해 노인의 삶의 질을 다각도로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의 라인댄스의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이후 2년간 연구가 진행되지 않아 그 흐름을 이어가지 못한 아쉬움이 있으나 2024년의 최근 연구에서는 노인의 자아 존중감과 독립성을 높이기 위한 사회적 연결망 형성에 라인댄스가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사회적 자본이 노년기 삶의 질에 중요한 요인임을 제시하였다. 특히 초고령 노인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는 것에서 시의 적절한 연구라 판단되는데, 댄스와 관련된 초고령 노인 대상 연구는 실버 놀이춤(배혜영, 천지언, 김정모, 2021), 댄스스포츠(이문숙, 2023), 실버댄스(이문숙, 2024)로 최근에 와서야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편수가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초고령 노인을 대상으로 한 라인댄스 연구가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다섯째, 연구대상의 특성에 따른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먼저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그리고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는 특징을 나타낸다. 아직도 우리나라는 댄스라는 장르에 대해 남성이 접근하기 어려운 사회적 분위기라는 것을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이승연 등(2022)의 연구에서도 남성노인은 자신에게 맞지 않는 프로그램으로 인하여 경로당 운동프로그램에서 소외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남성노인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운동을 개발하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라인댄스에 남성노인이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수업의 접근 및 연구가 필요하다. 김정숙 등(2018)은 라인댄스와 저항성 운동을 함께 적용하여 노인들의 일부 신체기능이 개선된 것을 보고하고 있다. 더불어 라인댄스와 스트레칭을 복합적으로 적용한 서필선과 오봉석(2019)의 연구결과는 여성노인의 대사증후군 및 페기능 지표를 부분적으로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남성노인의 참여를 높일 수 있도록 라인댄스 프로그램을 기타 운동 프로그램과 조합 및 구성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한편, 연구대상자의 특성에서 상당 부분의 연구가 학습자인 노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이처럼 라인댄스의 장점과 효과를 인식시키기 위한 작업으로 라인댄스 도입 초기에는 이러한 연구가 필요했다고 본다. 권미영 등(2023)은 노인운동의 수혜자인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뿐 아니라 지도자들의 이야기를 공론화하는 것이 노인체육현장의 발전을 이루는데 공헌할 수 있다고 하였다. 노인대상 라인댄스가 국내 정착한 지 상당 시간이 지났기에, 수혜자 외에도 라인댄스와 관련된 이해관계자(지도자⋅운영자⋅노인정책 관련 전문가 등)를 대상으로 다양한 연구 시도가 있기를 바란다. 마지막으로 질환을 가진 대상에게 라인댄스를 적용하고 긍정적인 결과를 얻은 연구들이 보여지고 있다. 암 경험자⋅비만⋅만성퇴행성질환⋅당뇨를 가진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이는 라인댄스가 치료적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연구주제에서도 나타나는데 라인댄스 참여 후 노인들의 건강과 관련한 변인(신체⋅생리⋅정신적⋅사회심리적 지표 등)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나고 있음이 확인된다. 이러한 결과는 라인댄스가 노인의 건강을 위해 예방/치료적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정기복과 고경순(2023)도 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신체와 움직임을 기반으로 하는 활동이 치료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 도출된 노인대상 라인댄스 연구의 결과가 공론화된다면 사회체육 현장에서 노인들의 라인댄스 참여를 이끄는데 동기부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Ⅴ. 결론 및 제언

이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2010년부터 발표된 라인댄스의 연구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급속한 사회변화 그에 따라 함께 변화하고 발전해야 하는 연구분야에서 최신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은 어떤 연구가 이미 진행되었는지를 진단할 수 있고, 중복되는 연구를 피할 수 있으며, 새로운 연구의 기회를 찾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노인의 여가와 건강을 위해 권장되는 활동 중에서 최근 인기를 얻고 있는 라인댄스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Y대학 학술정보원과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및 구글 검색엔진(Google Scholar)에서 “라인댄스⋅노인⋅시니어⋅실버”로 검색하여 학술지 논문을 수집하고, 23편의 논문 중에서 자료선별 기준에 부합하는 22편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매우 적어 양적 성장을 이루어야 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기 발표된 연구가 적음에도 노인 대상 라인댄스 체육/무용 분야와 간호 분야 외에도 여러 분야에서 연구가 수행되고 있고, 신체와 정신 및 심리적 측면을 다룬 연구가 다수이며 그리고 유질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보여지고 있어 노인을 위한 건강운동으로 가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연구대상의 특성에서 학습자와 여성을 대상으로 한 편중성이 나타나고 있고, 연구방법에 있어도 양적연구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노인을 대상으로 한 라인댄스의 연구가 다양하게 활성화되어 연구의 양적/질적 성장을 이루어야 하겠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후속연구의 주제를 선정하고 연구질문을 제기하여 노인 대상 라인댄스 연구의 확장성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이 후속연구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연구가 여성을 대상으로 연구된 편향성이 나타나는 바 남성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이해당사자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것이 주를 이루고 있어, 지도자와 운영자 및 노인정책 관련 전문가 등 다양한 대상으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둘째, 연구의 방법 역시 양적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된 것으로 나타나, 질적연구 혹은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하여 라인댄스가 노인에게 어떻게 작용하고 삶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세밀하고 풍부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이러한 연구방법의 다양성은 학문 분야에서 연구의 확장성뿐 아니라 삶의 질을 높여 노인 복지를 향상하는 것에 일조할 수 있다. 셋째, 라인댄스가 생활/사회무용으로 각광받고 있는 현실에서 무용 분야에서의 연구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분야에서 노인 대상 라인댄스 연구는 무용의 폭 넓은 영향을 탐구할 수 있고, 건강교육과 여가로써의 가치를 증명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즉, 무용 분야에서 노인대상 라인댄스를 연구함으로써 무용의 접근성과 포용성을 증진할 수 있고, 무용의 범위와 기능을 확장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라인댄스 프로그램의 내용, 프로그램 제공 기간과 빈도 등에 관한 실제적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노인에게 적합한 라인댄스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 연구를 통해 노인 대상 라인댄스의 학문적 가치와 중요성을 규명할 수 있었으며, 이 분야의 발전을 위한 이론적/실천적 기초를 마련하였다. 더불어 라인댄스 활동이 노인들의 삶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알려 라인댄스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여 사회적 인식을 높일 수 있는 계가가 되었다. 이와 함께 노인 대상 라인댄스의 효과와 중요성을 제시하여 관련 정책이나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필요한 근거를 제공할 수 있었다는 측면에서 정책적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가 여러 분야에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여 다양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References

  • 권미영, 박휴경, 김수연. (2023). 비전공 노인 스포츠 지도자들의 이야기보따리 풀기: 입문과정과 활동과정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체육과학회지, 32(4), 91-108.
  • 권인선, 김지연(2021). 라인댄스 프로그램이 고령 암경험자의 건강관련 신체활동과 운동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9(1), 455-465.
  • 김경희, 박순옥(2023). 2023 고령자 통계. 대전광역시: 통계청.
  • 김민우, 강승지(2019). 어린이 놀이터 연구 동향 분석. 유아교육연구, 39(4), 363-383.
  • 김석우, 최태진, 박상욱 (2015). 교육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 김영미, 오진숙(2021). 여성노인의 라인댄스 체험동기와 의미 탐색. 디지털융복합연구, 19(2), 471-479.
  • 김승일, 이현경(2012). 실버타운 한국무용 프로그램 참여자의 행복한 노년: 사례연구.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0(2), 39-56.
  • 김재구(2016). 12주간 라인댄스가 노인 남성 당뇨병환자들의 혈당과 심혈관질환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18(2), 139-144.
  • 김재구(2017). 라인댄스가 성인성 당뇨병을 가진 노인 여성들의 혈관질환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19(4), 82-88.
  • 김정숙, 김지현, 하수민, 현수진, 윤병곤, 김도연 (2018). 12주간 복합운동이 여성노인의 신체 수행능력, 골밀도 및 부갑상선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35(2), 519-531.
  • 김지원, 순아름, 김찬회(2019). 12주간 라인댄스가 노인여성의 치매 및 노화관련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6), 243-249.
  • 다음백과. 라인댄스.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24XXXXX84001, (2024년 11월 22일 인출)
  • 대한라인댄스협회, 김영환, 이철원, 전용관, 윤미정, 김지영 (2008). 라인댄스. 서울: 대한미디어.
  • 류영일(2023.08.02.) 라인댄스, 코로나 시대 시니어 레포츠로 뜬다. 시니어일보. http://www.senior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25397, (2023년 12월 22일 인출)
  • 박에스더, 이지경(2024). 노인대상 노래중심 음악치료의 연구동향분석: 2000∼2021년 국내 학술지 논문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4(11), 337-351.
  • 박휴경, 박성훈(2023). 통합놀이터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17), 31-45.
  • 박휴경, 박지연, 김주용(2011). 여성노인을 위한 효과적인 라인댄스 지도법 연구. 글로벌시니어건강증진개발원 논문집, 1(2), 81-92.
  • 배혜영, 천지언, 김정모(2021). 초고령 독거노인의 실버 놀이춤이 고독감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23(2), 923-937.
  • 백군자, 하주영(2020). 라인댄스와 걷기운동이 비만 여성노인의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에 미치는 효과. 글로벌건강과 간호, 10(1), 4-13.
  • 백순기, 지동철(2021). The Effects of Line Dance on Immune function and Inflammation for Elderly Women. 산업융합연구, 19(6), 187-195.
  • 서필선, 오봉석(2019). 라인댄스와 스트레칭 복합운동이 노인들의 대사증후군, 혈류동태 및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5), 415-427.
  • 신명기, 민순, 서민정, 이영롱(2013). 라인댄스 프로그램이 노인의 산호포화도와 행복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초간호학회, 15(1), 1-7.
  • 신석환(2020). 댄스중심의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노인들의 성숙한 노화태도와 우울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라인댄스와 리듬체조 참여자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8(10), 469-477.
  • 신호수, 이광식(2010). 라인댄스가 여성노인의 보행패턴과 낙상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19(2), 1049-1056.
  • 심혜경, 윤미라(2016). 노인문화복지를 위한 건강 춤 프로그램 현황분석을 통한 효과 와 활성화 방안.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4(3), 19-38.
  • 안옥희, 김영희, 조현철, 백재근(2012). 12주간 라인댄스 운동이 만성퇴행성질환을 가진 노인의 체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Exercise Rehabilitation, 8(4), 103-113.
  • 우정욱(2020). 라인댄스 프로그램 참여 여성노인들이 지각하는 다차원적 지지와 고독감 및 행복감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59(2), 33-44.
  • 유금현, 박미하(2024). 국내 중년여성 필라테스 최신 연구동향분석. 상담심리교육복지, 11(4), 263-276.
  • 이문숙(2023). 초고령 노인의 댄스스포츠 참가와 신체적 자기개념, 죽음 불안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한국특수체육학회지, 31(3), 91-108.
  • 이문숙(2024). 라인댄스 참가 초고령 노인의 사회적 자본과 우울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한국무용학회지, 23(4), 49-64.
  • 이문숙(2024). 초고령 노인의 실버댄스 참가 재미와 여가제약협상 및 운동지속의지와의 관계.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9(6), 153-165.
  • 이연종(2016). 라인댄스 프로그램이 홀로된 여성노인의 우울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지, 55(1), 499-507.
  • 이승연, 박휴경, 박광호(2022). ‘건강백세운동교실’에서의 남성노인 소외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35(2), 44-60.
  • 이승연, 원영신, 박휴경(2018). 라인댄스 참여에 따른 디지털 에이징 (Digital Aging) 질적사례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71, 43-60.
  • 이윤숙, 김현태(2021). 라인댄스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스트레스와 뇌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스포츠사이언스, 39(2), 99-107.
  • 임정미, 오현옥(2019). Goffman 관점에 따른 실버여성라인댄스 지도자의 연극학적 자아유형. 코칭능력개발지, 21(1), 54-61.
  • 조강욱, 한승완, 전찬복(2014). 남성 노인의 라인댄스 참여가 대사증후군 위험성과 염증반응 및 노인활동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3(1), 1007-1016.
  • 조주희(2023). 국내 유아무용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한국예술연구, (39), 235-257.
  • 정기복, 고경순(2023). 무용/동작치료 질적연구 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 중심으로. 무용역사기록학, 68, 129-149.
  • 최수영, 홍예주(2021). 성공적 노화와 무용에 관한 연구동향. 한국무용과학회지, 38(4), 119-132.
  • 최윤선(2013). 라인댄스 운동이 여성노인들의 보행 균형성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3(3), 109-118.
  • 최윤선(2014). 여성노인들의 라인댄스 활동이 정적 직립 균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4(9), 120-130.
  • 한국라인댄스협회. http://www.linedance.kr/index.asp, (2023년 8월 2일 인출)
  • 한국연구재단. 연구윤리란. https://www.nrf.re.kr/ethics/view?menu_no=327, (2024년 10월2일 인출)
  • Aliberti, S., & Raiola, G. (2021). Effects of line dancing on mental health in seniors after COVID-19 pandemic. Education Sciences, 11(11), 677. [https://doi.org/10.3390/educsci11110677]
  • Aujla, I. (2015). Dance science research: A new perspective,Animated Magazine, Autumn, 30–32. https://www.communitydance.org.uk/DB/animated-library/dance-scienceresearch-a-new-perspective
  • Bowling, A. (2008). Enhancing later life: How older people perceive active ageing? Aging and Mental Health, 12(3), 293–301. [https://doi.org/10.1080/13607860802120979]
  • Capone, R. (2006). Ballare danzare. Teoria etecnica di danza sportiva. Regole generalie consigli pratici. Gremese Editore.
  • Cohen, G. (2006). Research on creativity and aging: The positive impact of the arts on health and illness. Generations, 30(1), 7-15.
  • Connolly, M., & Redding, E. (2010). Dancing towards well-being in the third age: Literature review of the impact ofdance on health and well-being among older people. London, UK: Trinity Laban Conservatoire for Music and Dance.
  • D’Isanto, T., Manna, A., & Altavilla, G. (2017). Health and physical activity. Sport Science, 10, 100-105.
  • Gavin, T. S., & Myers, A. M. (2003). Characteristics, enrollment, attendance, and dropout patterns of older adults in beginner Tai-Chi and line-dancing programs.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11(1), 123-141. [https://doi.org/10.1123/japa.11.1.123]
  • Gordon, S. A., Overend, T. J., & Vandervoort, A. A. (2001). Country line dancing: An aerobic activity for older women?.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9(4), 364-371. [https://doi.org/10.1123/japa.9.4.364]
  • Han, J. H., & Sa, H. J. (2023). Health and happiness of older Korean women participating in dance activities. Heliyon, 9(3). [https://doi.org/10.1016/j.heliyon.2023.e13761]
  • Hui, E., Chui, B. T. K., & Woo, J. (2009). Effects of dance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older persons.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49(1), e45-e50. [https://doi.org/10.1016/j.archger.2008.08.006]
  • Huxhold, O., Miche, M., & Schüz, B. (2013). Benefits of having friends in older ages: Differential effects of informalsocial activities on well-being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9(3), 366–375 [https://doi.org/10.1093/geronb/gbt029]
  • Joseph, D., & Southcott, J. (2019). Meanings of leisure for older people: An Australian study of line dancing. Leisure Studies, 38(1), 74-87. [https://doi.org/10.1080/02614367.2018.1544655]
  • Katz, S. (2000). Busy bodies: Activity, aging, and the management of everyday life. Journal of Aging Studies, 14(2), 135-152. [https://doi.org/10.1016/S0890-4065(00)80008-0]
  • Keogh, J. W. L., Kilding, A., Pidgeon, P., Ashley, L., & Gillis, D. (2009). Physical benefits of dancing for healthyolder adults: A review.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17(1), 479–500. [https://doi.org/10.1123/japa.17.4.479]
  • Levasseur, M., Richard, L., Gauvin, L., & Raymond, É. (2010). Inventory and analysis of definitions of social participation found in the aging literature: Proposed taxonomy of social activities. Social Science & Medicine, 71(12), 2141–2149.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10.09.041]
  • Nadasen, K. (2007). ‘We are too busy being active and enjoying ourselves to feel the aches and pains’: perceived health benefits of line dancing for older women. Quality in Ageing and Older Adults, 8(3), 4-14. [https://doi.org/10.1108/14717794200700016]
  • Nadasen, K. (2008). “Life without line dancing and the other activities would be too dreadful to imagine”: An increase in social activity for older women. Journal of Women & Aging, 20(3-4), 329-342. [https://doi.org/10.1080/08952840801985060]
  • Nied, R. J., & Franklin, B. (2002). Promoting and prescribing exercise for the elderly. American Family Physician, 65(3), 419-427.
  • Overdorf, V., Kollia, B., Makarec, K., & Alleva Szeles, C.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depressive symptoms in healthy older women. Gerontology and Geriatric Medicine, 2, 233372141562685 [https://doi.org/10.1177/2333721415626859]
  • Owen-Booth, B., & Lewis, E. (2020). An exploratory study of older persons’ perceptions of engaging in line dancing classes. Journal of Occupational Science, 27(2), 216-221. [https://doi.org/10.1080/14427591.2019.1654403]
  •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2015). World report on ageing and health. https://www.who.int/publications/i/item/9789241565042, (2024년 9월 24일 인출)

표 1.

연구의 절차

1단계 기준 선정 자료 선정 및 배제 기준 2024년 5월
2단계 자료수집 국/내외 학술논문, 기타자료 2024년 5월
3단계 자료재검색 국/내외 학술논문 2024년 6월
4단계 자료분석 내용분석, 빈도분석 2024년 6∼7월
5단계 결과 결과 해석 및 글쓰기 2024년 8월

표 2.

노인 관련 라인댄스 선행연구

발행년 저자 논문제목 발행기관
2010 신호수, 이광식 라인댄스가 여성노인의 보행패턴과 낙상위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011 박휴경 등 여성노인을 위한 효과적인 라인댄스 지도법 연구 글로벌시니어
건강증진개발원
2012 안옥희 등 12주간 라인댄스 운동이 만성퇴행성질환을 가진 노인의 체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재확학회
2013 신명기 등 라인댄스 프로그램이 노인의 산소포화도와 행복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기초간호학회
2013 최윤선 라인댄스 운동이 여성노인들의 보행 균형성 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2014 조강욱 등 남성 노인의 라인댄스 참여가 대사증후군 위험성과 염증반응 및 노인 활동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014 최윤선 여성노인들의 라인댄스 활동이 직립 균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2016 김재구 12주간 라인댄스가 노인 남성 당뇨병환자들의 혈당과 심혈관질환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16 이연종 라인댄스 프로그램이 홀로된 여성노인의 우울 및 생활 만족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학회
2017 김재구 라인댄스가 성인성 당뇨병을 가진 노인 여성들의 혈관질환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18 김정숙 등 12주간 복합운동이 여성 노인의 신체수행능력 골밀도 및 부갑상선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2018 이승연 등 라인댄스 참여에 따른 디지털 에이징 질적사례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
2019 김지원 등 12주간 라인댄스가 노인여성의 치매 및 노화관련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
2019 서필선, 오봉석 라인댄스와 스트레칭 복합운동이 노인들의 대사증후군, 혈류동태 및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2019 임정미, 오현옥 Goffman 관점에 따른 실버여성라인댄스 지도자의 연극학적 자아유형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0 우정욱 라인댄스 프로그램 참여 여성노인들이 지각하는 다차원적 지지와 고독감 및 행복감의 관계 한국체육학회
2020 백군자, 하주영 라인댄스와 걷기운동이 비만여성노인의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에 미치는 효과 글로벌건강과 간호
2021 권인선, 김지연 라인댄스 프로그램이 고령 암 경험자의 건강관련 신체활동과 운동자기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2021 김영미, 오진숙 여성 노인의 라인댄스 체험 동기와 의미 탐색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이윤숙, 김현태 라인댄스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스트레스와 뇌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소
2021 백순기, 지동철 The Effects of Line Dance on Immune function and Inflammation for Elderly Women 대한산업경영학회
2024 이문숙 라인댄스 참가 초고령 노인의 사회적 자본과 우울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한국무용학회지

표 3.

연도별 연구동향

연구 연도 n (%)
2010 1 4.5
2011 1 4.5
2012 1 4.5
2013 2 9.1
2014 2 9.1
2015 0 0.0
2016 2 9.1
2017 1 4.5
2018 2 9.1
2019 3 13.6
2020 2 9.1
2021 4 18.2
2022 0 0.0
2023 0 0.0
2024 1 4.5
22 100

표 4.

발행기관별 연구동향

학술지 분야 n (%)
체육/무용분야 사회체육학회(2)
체육과학연구소(1)
코칭능력개발원(3)
한국스포츠학회(1)
한국운동재활학회(1)
한국체육과학회(2)
한국체육학회(2)
한국무용학회(1)
13 59.1
간호분야 글로벌건강과 간호(1)
한국기초한호학회(1)
2 9.1
콘텐츠분야 한국콘텐츠학회(2) 2 9.1
기타 글로벌시니어건강증진개발원(1)
대한산업경영학회(1)
디지털정책학회(1)
한국융합학회(1)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1)
5 22.7
22 100

표 5.

방법론적 연구동향

방법 유형 n (%)
양적연구 운동중재 12 54.6
설문조사 3 13.6
중재+설문 3 13.6
질적연구 4 18.2
22 100

표 6.

주제별 연구동향

연구 주제 n (%)
신체기능 3 13.6
생리기능 7 31.9
정신/심리 4 18.2
신체기능+생리기능 2 9.1
신체기능+심리 1 4.5
생리기능+심리 1 4.5
기타 4 18.2
22 100

표 7.

대상자 특성별 연구동향

대상자별 n (%)
성별 2 9.1
15 68.2
남+여 5 22.7
22 100
학습 대상 학습자 20 91
지도자 1 4.5
학습자+지도자 1 4.5
22 100
질환 특성 정상 노인 13 59.1
암 경험자 1 4.5
만성퇴행성 질환 1 4.5
비만 1 4.5
당뇨 2 9.1
해당 없음 4 18.2
22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