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Girls and Women
[ Article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for Girls and Women - Vol. 38, No. 4, pp.151-168
ISSN: 1229-6341 (Print)
Print publication date 31 Dec 2024
Received 31 Oct 2024 Revised 10 Dec 2024 Accepted 31 Dec 2024
DOI: https://doi.org/10.16915/jkapesgw.2024.12.38.4.151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윤원정*
백석대학교 초빙교수
The Effect of Taekwondo Athletes’ Competitive Intensity on Perceived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xercise Immersion
WonJeong Yun*
BaekSeok University, Visiting Professor

Correspondence to: *윤원정, 백석대학교, E-mail : jjgogo79@hanmail.net

초록

본 연구는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운동몰입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경기⋅강원도 지역의 대학교 태권도학과 대학생 19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은 운동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승부욕, 투혼, 자신감)은 인지된 경기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태권도 선수의 운동몰입(인지적 몰입, 행위적 몰입)은 인지된 경기력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태권도 선수의 운동몰입은 승부근성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발생하였다. 연구 결과의 시사점은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이 운동몰입과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운동몰입의 매개효과 분석을 통해, 태권도선수의 인지된 경기력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d the effect of Taekwondo athletes’ competitive spirit on perceived performance and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exercise immers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92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Taekwondo at universities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aekwondo athletes’ desire to win (win, fighting spirit, and confid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immersion in exercise. Second, Taekwondo athletes’ desire to win (win, fighting spirit, and confid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perceived performance. Third, Taekwondo athletes’ exercise immersion (cognitive immersion, behavioral immers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ir perceived performance. Fourth, Taekwondo athletes’ commitment to exercise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inning grit and perceived performance.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that it empirically identified the effect of Taekwondo athletes’ competitive spirit on exercise immersion and perceived performance, and suggested measures to improve Taekwondo athletes’ perceived performance through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exercise immersion.

Keywords:

Taekwondo, Competitive spirit, Athletic commitment, Perceived performance

키워드:

태권도, 승부 근성, 운동몰입, 인지된 경기력

Ⅰ. 서 론

태권도 선수들의 무한경쟁은 다양한 대회를 통해 나타나며, 선수들은 대회 간 긴장, 불안과 같은 정신적 고통을 겪게 된다. 이러한 정신적, 심리적 요인들은 경쟁 속에서의 상대보다 우의를 차지하는데 중요 요소이며, 태권도 선수들이 대회를 통해 느끼는 긴장과 불안은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승패를 결정짓게 되는 상황이 자주 만들어진다(서은철⋅서건우, 2023).

정신력을 대변하는 승부 근성은 자기관리를 철저하게 할 때 경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오영택⋅박동훈, 2019), 태권도 시합에서 선수들이 갖추어야 할 가장 기본적인 심리적인 요인으로 평가되고 있다(김수연⋅최연호, 2022). 즉, 승부 근성은 승리에 대한 강렬한 욕구인 승부욕, 투혼, 누구도 이길 수 있다는 자신감(이동철, 2023)으로 심리적 감정을 의미한다.

태권도 선수에게 승부 근성과 함께 운동 몰입도 중요한 심리적 요인이며, 태권도 선수의 성과를 결정하는 핵심 요인이다(용병인, 2022). 태권도 선수가 최상의 경기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경기에 완벽히 몰입하고 스스로 심리적 요인을 통제하여 긍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이도흥, 2020). 즉, 운동몰입은 운동에 관한 관심, 열정, 의지, 노력과 관련된 완전히 운동에 몰두한 상태를 의미한다(김수연⋅최연호, 2022). 이는 특히 태권도 활동에 완벽히 몰두할 때 발현되는 경기력 결정의 핵심 심리 요인이다.

태권도 선수가 대회에서 최상의 경기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인지된 경기력은 필수항목이다. 즉, 인지된 경기력이란 태권도 선수가 자신의 현재 경기력 수준과 미래 성장 가능성까지 비교적 정확하게 인지하는 상태를 의미한다(이혜진, 2019). 따라서 스스로 경기력에 대한 확신과 자부심을 갖고 있는 태권도 선수는 시합이나 경쟁에서 최상의 경기력을 발휘할 수 있다(전병관⋅추수진, 2021).

승부 근성, 운동몰입, 인지된 경기력 등 태권도 선수가 반드시 갖추어야 할 필수요인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이 자기관리와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용병인, 2022), 스포츠 정신력 개념 구조 탐색 및 측정 도구 개발(김원태, 2022),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이 경기수행 능력과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이은정, 2018), 태권도 선수의 성취목표 성향과 승부 근성, 운동몰입의 관계(전병관⋅추수진, 2021), 엘리트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이 경기수행 능력과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장종오⋅공성배, 2022), 운동 정체성과 승부 근성 관계(윤이나, 2018), 청소년 태권도 선수의 성취 목표와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경쟁 불안과 승부 근성의 다중 매개효과(유종수, 2023), 대학 태권도 선수의 마음가짐과 승부 근성 및 그릿의 관계(이도흥, 2020), 태권도 선수의 실수, 승부 근성, 도전감의 AMOS 분석(서은철⋅서건우, 2023) 등이 있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은 인지된 경기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특히 승부욕, 투혼, 자신감은 인지된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운동몰입(인지적 몰입, 행위적 몰입)은 인지된 경기력(경기 만족, 경기수행력)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은 태권도 선수의 심리적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자기효능감, 경쟁 불안, 경기력, 운동몰입, 성취 목표 등의 변인을 중심으로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 분석, 평균 차이 분석, 기술통계 분석에 역점을 두어 연구해왔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차별화된 접근으로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이 운동몰입을 매개로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미시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운동몰입을 매개변수로 활용하여 최근 주목받고 있는 심리적 요인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운동몰입은 경기력 결정 심리 요인이며, 예측 할 수 있는 핵심 매개변수로 이 변수를 인지적 몰입, 행위적 몰입 등 세분화하여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매개효과분석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몰입을 매개로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인지된 경기력이 승부 근성과 인지된 경기력에 매개 역할을 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도출하였다. 첫째,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은 ‘운동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은 ‘인지된 경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태권도 선수의 ‘운동몰입’이 ‘인지된 경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태권도 선수의 “운동몰입”은 “승부 근성”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발생하는가? 네 가지 연구 문제를 근거로 본 연구는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이 운동몰입과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운동몰입의 매개효과분석을 통해, 태권도 선수의 인지된 경기력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연구 방법

1. 연구모형 및 가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수립하고, 운동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테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승부 근성(승부욕, 투혼, 자신감)이 운동몰입(인지적 몰입, 행위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둘째, 승부 근성(승부욕, 투혼, 자신감)이 인지된 경기력(경기 만족, 경기수행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셋째, 운동몰입(인지적 몰입, 행위적 몰입)이 인지된 경기력(경기 만족, 경기수행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넷째, 태권도 선수의 운동몰입이 승부 근성과 인지된 경기력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그림 1.

연구모형

2. 분석 대상

서울⋅경기⋅강원지역 대학교 태권도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을 실시하였으며, 설문지 209부를 배포하여, 불성실하게 응답한 17부를 제외한 192부를 활용하였다. 조사대상자 192명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표 1>에 제시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N=192)

3. 조사도구

1) 승부 근성

승부 근성은 누구도 이길 수 있다는 승부욕, 투혼, 자신감을 의미한다(송남정, 2022). 유종수(2023)심영균⋅서은철(2022)은 승부 근성은 외국 선수들과 다른 한국 선수들만 가지는 정신력의 뿌리라고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승부 근성의 척도는 신정택, 김성훈, 박성훈(2009)이 개발하고, 이은정(2018)최진규(2019)가 사용한 승부 근성 검사지를 활용하였다. 승부 근성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 문항은 총 20문항이다. 하위 요인은 승부욕(5문항), 투혼(9문항), 자신감(6문항) 등 3가지로 구성하였으며,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2) 운동몰입

운동몰입은 운동을 성실하게 행하거나 운동에 대한 애착 또는 집착을 의미한다. 이러한 운동몰입은 오랫동안 스포츠를 참가하려는 욕구와 결심을 표현하는 심리적 구조로서(송경진, 2019) 운동에 관한 관심과 의지, 헌신, 노력 및 지속 여부와 관련된다(엄청량, 2020). 본 연구에서 태권도 선수들의 운동몰입을 측정하기 위한 조사 도구는 Scanlan(1993)이 개발한 설문지를 기초로 송경진(2019)이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개발한 운동몰입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인지적 몰입 5문항, 행위적 몰입 3문항으로 총 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3) 인지된 경기력

인지된 경기력은 선수 자신의 현재 경기력 수준과 정도, 미래의 발전 가능성까지 비교적 정확하게 인지하는 상태(박명수, 2013)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태권도 선수의 인지된 경기력을 측정하기 위한 조사 도구는 이혜진(2019), 권성호(2020)의 연구를 참고로 김원태(2022)가 재구성한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하위 요인은 경기 만족과 경기수행력 등 2가지로 구성하였다.

인지된 경기력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지의 문항은 총 6문항으로 하위변인은 경기 만족(3문항), 경기수행력(3문항)이며,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4. 설문지 구성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4개의 핵심 변수를 활용하여 총 38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첫째, ‘승부 근성’에 관하여 승부욕, 투혼, 자신감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운동몰입’에 관하여, 인지적 몰입, 행위적 몰입을 하위변인으로 설정했다. 셋째, ‘인지된 경기력’에 경기 만족, 경기수행력을 하위변인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인구통계학적 변인으로 성별, 연령, 선수 경력, 수상 경험 등 4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5. 통계처리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운동몰입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2.0을 사용하였다. 세부적인 분석 방법은 아래와 같다. 첫째, 연구 변인의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자료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크론바하 알파를 통해 신뢰성을 분석했다. 셋째, 승부 근성, 운동몰입, 인지된 경기력의 상호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넷째, 승부 근성, 운동몰입, 인지된 경기력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승부 근성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운동몰입의 매개효과를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Ⅲ. 결 과

1. 기술통계 분석

조사대상자의 승부 근성, 운동몰입, 인지된 경기력에 대한 기술통계 분석 결과는 <표 2>와 같다. 승부 근성은 평균 3.09, 운동몰입은 평균 3.58, 인지된 경기력은 평균 3.31로 나타났다. 승부 근성의 3개 하위변인 중 투혼의 평균이 3.60으로 승부욕(2.85)와 자신감(2.93)에 비해 높았으며, 운동몰입의 2개 하위변인 중에는 인지적 몰입(3.60)이 행위적 몰입(3.57)보다 높은 평균 수준을 보였고, 인지된 경기력의 2개 하위변인 중에는 경기 만족(3.14)에 비해 경기수행력(3.51)의 평균 수준이 높았다.

연구 변인의 기술통계 결과

성별에 따른 연구 변인의 평균 통계값은 <표 3>과 같다. 승부 근성은 여성(2.79)보다 남성(3.10)이 높았으며 운동몰입 또한 여성(3.44)보다 남성(3.60)이 높은 평균 수준을 보였다. 반면 인지적 겨기력은 남성(3.29)보다 여성(3.36)의 평균 수준이 높았다. 승부 근성의 하위변인 중 승부욕과 투혼은 여성보다 남성의 평균 수준이 높았으며 자신감은 성별간 차이가 크지 않았다. 운동몰입의 하위변인 중 인지적 몰입은 성별간 차이가 크지 않은 반면 행위적 몰입은 여성(3.31)보다 남성(3.66)의 평균 수준이 높았다. 인지된 경기력의 하위변인 중 경기 만족은 여성(3.10)보다는 남성(3.40)이, 경기수행력은 남성(3.48)보다는 여성(3.62)의 평균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연구 변인의 기술통계 결과

연령에 따른 연구 변인의 평균 통계값은 <표 4>와 같다. 승부 근성은 19세 이상∼21세 미만(3.10)에서 가장 높았으며 운동몰입은 18세 이상∼19세 미만(3.64)에서 가장 높고 이후 연령이 높아지면서 운동몰입의 평균 수준이 낮아지고 있다. 인지된 경기력은 21세 이상∼23세 미만(3.43)에서 가장 높았으며 타 연령대와 차이가 다소 크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연구 변인의 기술통계 결과

선수 경력에 따른 연구 변인의 평균 통계값은 <표 5>와 같다. 승부 근성은 선수 경력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운동몰입과 인지된 경기력은 선수 경력이 길수록 평균 수준이 높아지는 경향이 확인된다. 승부 근성의 하위변인 중 투혼은 7년 이상(3.51)이 5년 미만(3.40)과 5년 이상 7년 미만(3.39)에 비해 높은 평균 수준을 보였으며 승부욕과 자신감은 선수 경력에 따라 큰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운동몰입의 하위변인인 인지적 몰입은 5년 이상 7년 미만에서 가장 낮은 평균 수준(3.35)을 보이고 있으며 행위적 몰입은 7년 이상(3.23)에서 5년 미만(3.89)과 5년 이상 7년 미만(3.83)에 비해 낮은 평균 수준을 보였다. 인지된 경기력의 하위변인인 경기 만족은 7년 이상(3.4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경기수행력은 7년 이상(3.23)이 5년 미만(3.38), 5년 이상 7년 미만(3.56)에 비해 낮은 평균 수준을 보였다.

선수 경력에 따른 연구 변인의 기술통계 결과

수상경력에 따른 연구 변인의 평균 통계값은 <표 6>과 같다. 운동몰입은 수상 경력에 따라 큰 차이가 보이지 않지만 승부 근성과 인지된 경기력은 수상 경력이 있을수록 평균 수준이 높아지는 경향이 확인된다. 승부 근성의 하위변인 중 승부욕과 자신감은 우승 경험 있음에서 평균 수준이 높았으며 운동몰입의 하위변인 중 인지적 몰입은 3위 이내가, 행위적 몰입은 입상 경험이 없을 때 높은 평균 수준을 보인 반면, 인지된 경기력의 하위변인 중 경기 만족은 입상 경험이 없을 때 낮은 평균 수준을 보였다.

수상 경력에 따른 연구 변인의 기술통계 결과

2.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승부 근성 연구 변인의 20개 문항에 대한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결과는 <표 7>에 제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3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추출된 요인은 승부욕, 투혼, 자신감의 하위 요인으로 구분되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요인의 전체 누적 설명력은 71.54%, KMO값은 .86, Bartlett 카이제곱 값은 783.42(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리고 승부욕의 크론바하 알파값은 .83, 투혼의 크론바하 알파값은 .85, 자신감의 크론바하 알파값은 .81로 승부 근성을 구성하는 하위 요인 문항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승부 근성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운동몰입 연구 변인의 8개 문항에 대한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결과는 <표 8>에 제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2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추출된 요인은 인지적 몰입과 행위적 몰입의 하위 요인으로 구분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요인의 전체 누적설명력은 68.47%, KMO값은 .73, Bartlett 카이제곱 값은 823.08(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리고 인지적 몰입의 크론바하 알파값은 .81, 행위적 몰입의 크론바하 알파값은 .73으로 운동몰입을 구성하는 하위 요인 문항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운동몰입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마지막으로 인지된 경기력 연구 변인의 6개 문항에 대한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결과는 <표 9>에 제시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2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추출된 요인은 경기 만족과 경기수행력의 하위 요인으로 구분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요인의 전체 누적 설명력은 60.04%, KMO값은 .85, Bartlett 카이제곱 값은 914.52(p<.00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리고 경기만족의 크론바하 알파값은 .83, 경기수행력의 크론바하 알파값은 .74로 인지된 경기력을 구성하는 하위 요인 문항에 대한 높은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인지된 경기력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3. 상관관계 분석

연구 변인인 승부 근성과 운동몰입, 인지된 경기력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0>에 제시하였다. 연구 변인 중 승부 근성과 인지된 경기력 간 상관 계수가 .53으로 가장 큰 정(+)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몰입과 인지된 경기력 간에는 .32(p<.001), 승부 근성과 운동몰입 간 .27(p<.001)의 정(+)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변인 간 상관분석 결과

4. 가설검증

1)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이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이 운동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승부 근성의 하위변인인 승부욕, 투혼, 자신감을 독립변수로, 운동몰입을 종속변수로 하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1>에 제시하였다.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과 운동몰입 간 회귀분석 결과

승부 근성의 3개 하위변인과 운동몰입의 회귀모형의 유의성의 검증값인 F값은 42.58(p<.001)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의 설명력 R2은 .39로 분석되었다. 승부 근성 3개 하위변인 모두 운동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변인 중 승부욕(β=.49, p<.001)이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자신감(β=.32, p<.001), 투혼(β=.21, p=.003) 순으로 운동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이 인지된 경기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승부 근성의 하위변인인 승부욕, 투혼, 자신감을 독립변수로, 인지된 경기력을 종속변수로 하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2>에 제시하였다.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과 인지된 경기력 간 회귀분석 결과

승부 근성의 3개 하위변인과 인지된 경기력 회귀모형의 유의성의 검증값인 F값은 37.59(p<.001)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의 설명력 R2은 .33으로 분석되었다.

승부 근성 3개 하위변인 모두 인지된 경기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변인 중 자신감(β=.35, p<.001)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승부욕(β=.26, p<.001), 투혼(β=.21, p=.001) 순으로 인지된 경기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 태권도 선수의 운동몰입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태권도 선수의 운동몰입이 인지된 경기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운동몰입의 하위변인인 인지적 몰입과 행위적 몰입을 독립변수로, 인지된 경기력을 종속변수로 하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3>에 제시하였다.

태권도 선수의 운동몰입과 인지된 경기력 간 회귀분석 결과

운동몰입의 2개 하위변인과 인지된 경기력 회귀모형의 유의성의 검증값인 F값은 33.52(p<.001)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의 설명력 R2은 .25로 분석되었다. 운동몰입 2개 하위변인 모두 인지된 경기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변인 중 인지적 몰입(β=.35, p<.001)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행위적 몰입(β=.31, p<.001)도 인지된 경기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운동몰입의 매개효과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운동몰입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표 14>와 같이 3단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승부 근성과 인지된 경기력 관계에서 운동몰입의 매개효과

1단계 회귀분석에서는 승부 근성이 인지된 경기력에 영향을 주는 회귀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F=7.16, p<.001), 모형은 총 변량 중 14%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²=.14). 승부 근성(β=.40,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승부 근성이 높아질수록 인지된 경기력도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2단계 회귀분석에서는 승부 근성이 운동몰입에 영향을 주는 회귀모형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F=11.36, p<.001), 모형은 총 변량 중 23%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²=.23). 승부 근성(β=.43,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단계 회귀분석 결과와 마찬가지로 승부 근성이 높아질수록 운동몰입도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3단계 회귀분석에서는 승부 근성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표준화된 회귀계수(β)는 .39로 2단계의 값인 .43보다 .04 줄었다. 모형의 설명력 또한 모형 내 독립변수만 단독으로 있을 때인 2단계의 설명력이 23%에서 매개변수가 모형에 포함된 3단계의 설명력이 25%로 2% 증가하였다. 따라서 운동몰입은 승부 근성과 인지된 경기력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발생하였다.

승부 근성과 인지된 경기력 간 관계에서 운동몰입의 부트스트랩 검증 결과

운동몰입이 승부 근성과 인지된 경기력 간의 관계에 미치는 직⋅간접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한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95% 신뢰수준에서 간접효과의 신뢰구간의 값이 0을 포함하지 않을 경우, 부트스트래핑 검증방식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운동몰입이 승부 근성과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효과 중 간접효과의 95% 신뢰구간이 최소 .16, 최대 .33으로 0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간접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따라서 승부 근성이 운동몰입을 통해 인지적 경기력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어 운동몰입이 승부 근성과 인지적 경기력 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수로서의 효과가 유의하다고 할 수 있어 본 연구 결과를 뒷받침한다.

5) 가설검증 결과

본 연구 가설검증 결과는 <표 16>과 같다.

연구모형 가설검증 결과


Ⅳ. 논 의

본 연구는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운동몰입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앞에서 설정한 연구가설들과 이를 검증한 연구 결과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1.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이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과 운동몰입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승부 근성의 하위 요인인 승부욕, 투혼, 자신감 모두 운동몰입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김재형(2018)은 대학 태권도 선수 256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대학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승부 근성이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연구 결과, 승부 근성의 하위 요인 중 승부욕, 투혼, 자신감 순으로 운동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으며, 윤이나(2018)최진규(2019)는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선수의 특징적인 정신력인 승부 근성은 시합이라는 환경에서 승리하고자 하는 동기 수준과 명확한 목표 의식을 고취 시키고, 최상의 수행을 위한 운동몰입에 이르게 한다고 주장하였다.

Apter(2015)는 우수한 선수일수록 승부 근성과 자신감 수준이 높아 성공적인 몰입경험이 경기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하여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승부 근성이 정신력 강한 태권도 선수의 승리에 대한 갈망 그리고 자존심에서 비롯되며, 이는 선수들에게 있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심리적 요소임을 보여준다. 특히, 승부 근성은 태권도 운동에 완벽하게 몰두할 때 일어나는 최적의 심리적 현상인 운동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사료 된다. 또한, 태권도 선수에게 승부 근성과 같은 정신력이 운동몰입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시합과 같은 경쟁에서 집중하기 위해서는 승부욕, 투혼, 자신감과 같은 성향이 운동몰입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2.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과 인지된 경기력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승부 근성의 하위 요인인 자신감, 승부욕, 투혼 순으로 인지된 경기력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김범기(2022)는 스포츠 지향성이 승부 근성, 자아 탄력성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는데 연구 결과, 승부 근성은 자아 탄력성 및 인지된 경기력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은정(2018)은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이 경기 수행 능력과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분석 결과, 승부 근성은 경기수행 능력 하위변인 모두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인지된 경기력의 하위변인 중 경기 운영과 경기 영향력에서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나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은 시합에서 승리하려는 욕구를 의미한다. 특히 태권도 선수가 강한 승부욕을 가지고 있다면 자아 강도가 높다는 것을 뜻하며, 패배하지 않으려는 마음이 굳건한 의지를 뜻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승부 근성은 태권도 선수에게 절대적으로 필요한 심리적 조건이며, 승부 근성이 강한 선수는 실제 시합에서 최선을 다해 자신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대학교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은 시합을 수행 함에 있어 심리적 성공과 성숙에도 관련이 높아 인지된 경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3. 태권도 선수의 운동몰입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태권도 선수의 운동몰입과 인지된 경기력의 다중회귀분석 결과 운동몰입의 하위 요인인 인지적 몰입, 행위적 몰입 순으로 인지된 경기력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한미옥⋅이용국(2021)은 대한태권도협회에 선수 등록된 겨루기 선수 460명을 연구 대상으로 대학 태권도 선수의 운동몰입과 경쟁상태 불안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연구 결과 대학 태권도 선수의 운동몰입은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태권도 선수의 인지된 경기력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훈련에서 몰입을 경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신기철(2018)은 유니버시아드 국가대표 선발대회에 참가한 태권도 선수 678명을 연구 대상으로 태권도 선수의 운동몰입, 경쟁상태 불안, 인지된 경기력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는데, 연구 결과, 태권도 선수의 운동몰입이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최종모형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연구가설의 경로계수에 관한 효과 분해에서 직⋅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태권도 선수 스스로가 많은 운동몰입을 통해 심리적으로 안정되고 성숙 될 때 인지된 경기력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되며, 운동몰입을 통해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운동몰입은 단순 집중과는 다른 태권도에 대한 애착, 집착 등 심리적 구조로 최고의 경기력 발휘를 위한 정신상태로 볼 수 있었다. 즉, 운동몰입은 주어진 과제나 활동의 도전과제와 자신의 능력, 기술 수준이 일치하는 상황에서 수행할 때 파생되는 주관적인 경험과 심리적 상태이며, 이는 훈련과 시합 시 인지된 경기력에 반영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4.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운동몰입의 매개효과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운동몰입의 매개효과분석 결과 운동몰입은 승부 근성과 인지된 경기력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발생하였다.

선행연구 분석 결과, 서은미(2021)는 여자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 186명을 연구 대상으로 태권도 선수의 성취 목표 성향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운동몰입을 매개변수로 활용하여 검증하였는데, 연구 결과 목표성취성향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운동몰입의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태권도 선수 스스로가 많은 운동몰입을 통해 심리적으로 안정되고 성숙 될 때 인지된 경기력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되며, 운동몰입을 통해 인지된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하였다. 권성호(2020)는 태권도 선수 429명을 연구 대상으로 운동선수의 절실함과 운동몰입 및 인지된 경기력 간의 구조 관계를 검증하였는데, 연구 결과 절실함과 인지된 경기력 간의 구조 관계에서 운동몰입을 통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절실함이 높은 태권도 선수들이 운동몰입을 통해 내재화된 동기 상태를 유지하고 이는 인지된 경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하여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태권도 선수에게 정신력인 승부 근성은 인지된 경기력에 핵심적 역할을 하고 운동몰입은 태권도 선수에게 운동에 몰두할 수 있는 내적동기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경기력을 상승시킬 수 있으며, 승부 근성과 인지된 경기력 사이에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태권도 선수의 안정적인 경기력을 획득하고 향상을 위해서 선수 개개인의 승부 근성과 운동몰입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인지된 경기력을 향상할 수 있는 전략 수립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 결과 태권도 경기에서 완벽하게 몰두할 때 일어나는 운동몰입은 경기력 결정 심리 요인을 예측할 수 있는 변인이며, 운동몰입과 인지된 경기력 간의 긍정적 관계를 입증하였다. 따라서 태권도 선수들이 운동에만 몰입할 수 있도록 쾌적한 운동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며, 지도자는 태권도 선수들이 인지된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된다.


Ⅴ. 결 론

본 연구 목적은 태권도 선수 승부 근성이 운동몰입과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운동몰입의 매개효과분석을 통해, 태권도 선수의 인지된 경기력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승부욕, 투혼, 자신감)은 운동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승부욕, 투혼, 자신감)은 인지된 경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태권도 선수의 운동몰입(인지적 몰입, 행위적 몰입)은 인지된 경기력에 영향을 미쳤다. 넷째, 태권도 선수의 운동몰입은 승부 근성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의 제언은 태권도 선수가 강한 승부욕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자아의 강도가 높다는 것으로, 시합뿐만 아니라 연습에서도 상대방 선수에게 패하지 않으려고 하는 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관점으로 본다면 승부 근성은 정신력이 강한 선수들의 승리에 대한 갈망과 자존심에 의해 나타나며, 선수에게 있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심리 요소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승부 근성을 높일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운동몰입은 시합에 참여하는 태권도 선수의 태도나 행동 의지의 결합으로 자신의 목표와 가치를 굳게 믿고 받아들이는 신념, 시합을 성공적으로 수행하는 원동력이며, 본 연구 결과와 같이 승부 근성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증명되었으므로, 태권도 지도자는 태권도 선수의 운동몰입 향상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양적 연구 방법으로만 접근하여 각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와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질적 연구기법을 병행하여 통합연구를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서울⋅경기⋅강원도 지역 대학교 태권도학과 대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으나,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을 전국적으로 확대하여 분석한다면 더 의미 있는 결과물이 도출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는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 운동몰입, 인지된 경기력을 핵심 변수로 분석하였지만, 최근 태권도 선수에게 나타나는 다양한 변인에 주목하고 나아가 그러한 경험적 연구를 바탕으로 인지된 경기력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프로그램 모형개발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 권성호(2020). 운동선수의 절실함과 운동몰입 및 인지된 경기력 간의 구조관계 검증.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31(4), 47-60.
  • 김범기(2022). 스포츠 지향성이 승부 근성, 자아탄력성 및 인진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국기원태권도연구, 11(2), 31-41.
  • 김수연⋅최연호(2022). 고등학교 태권도 선수들의 운동정체성과 승부근성 및 그릿의 관계. 세계 태권도문화학회지, 13(3), 41-54.
  • 김원태(2022). 스포츠 정신력 개념 구조 탐색 및 측정도구 개발. 한국체육과학회지, 25(3), 218-230.
  • 김재형(2018). 대학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승부근성이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 박명수(2013). 중학교 태권도선수의 운동재미가 운동몰입과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22(1), 233-245.
  • 박지원⋅김은지(2022). 대학 태권도선수의 승부근성이 자기관리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도학회지, 24(4), 165-180.
  • 서은미(2021). 태권도 선수의 성취목표 성향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체육과학회지, 25(3), 171-187.
  • 서은철⋅서건우(2023). 중학교 태권도선수의 실수인식, 도전감 및 승부근성의 구조모형.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14(2), 183-198.
  • 석류⋅전민우(2022). 태권도 격파선수들의 내적동기와 운동몰입, 자아성취감, 인지된 경기력의 구조적 관계. 세계태권도문화학회지, 13(4), 131-147.
  • 송경진(2019). 고교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성취목표성향이 운동몰입과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 송남정(2022). 대학생 태권도 선수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 대한 다집단분석. 국기원태권도연구, 13(2), 41-55.
  • 신기철(2018). 태권도 선수의 운동몰입, 경쟁 상태불안, 인지된 경기력 간의 인과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대학원.
  • 심영균⋅서은철(2022). 청소년 태권도선수의 승부근성(Tenacity) 척도에 대한 타당도 증거. 국기원태권도연구, 13(2), 155-165.
  • 엄청량(2020). 운동선수들의 절실함이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중 비교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29(4), 415-427.
  • 오영택⋅박동훈(2019). 대학 태권도 선수들이 지각한 코칭 유형과 인지된 경기력 간의 관계에서 승부근성의 매개효과 검증. 체육과학연구, 25(2), 39-50.
  • 오영택⋅양명환(2018). 대학 태권도 선수들의 열정과 운동 탈진간의 관계에서 승부근성의 조절효과 검증. 체육과학연구, 24(1), 1-12.
  • 용병인(2022). 태권도 선수들의 심판 판정에 대한 인식과 운동 몰입,스포츠 자신감, 및 인지된 경기력의 구조적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대학원.
  • 원영인(2018). 대학 태권도선수의 은퇴불안이 운동몰입과 인지된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국기원태권도연구, 9(2), 105-125.
  • 유종수(2023). 청소년 태권도선수의 성취목표와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 : 경쟁불안과 승부근성의 다중매개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우석대학교 대학원.
  • 유종수(2023). 청소년 태권도선수의 성취목표와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 경쟁불안과 승부근성의 다중매개효과.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우석대학교 대학원.
  • 윤이나(2018). 고등학교 태권도 겨루기 선수 부모의 교육지원이 운동몰입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 이규성(2018). 운동선수의 스포츠 자신감이 운동 몰입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 이도흥(2020). 대학운동선수의 그릿(Grit), 절실함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이동철(2023). 태권도 지도자의 코칭행동에 따른 선수의 운동스트레스, 운동몰입 및 인지된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혼합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대학원.
  • 이은정(2018).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이 경기 수행능력과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14(3), 21-32.
  • 이혜진(2019), 태권도 지도자의 욕구지지가 선수의 운동몰입과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 장종오⋅공성배(2022). 대학 태권도 선수의 승부근성과 운동열정 및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 코칭능력개발지, 24(4), 178-185.
  • 전병관⋅추수진(2021). 대학운동선수의 성취목표 성향, 승부근성 및 운동몰입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20(5), 469-481.
  • 정종오(2022). 태권도 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선수의 운동몰입 및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 코칭능력개발지, 27(4), 53-58.
  • 최진규(2019). 고등학교 태권도 겨루기 선수의 성취목표 성향이 승부 근성과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 한미옥⋅이용국(2021). 대학 태권도 선수의 운동몰입과 경쟁상태 불안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9(1), 645-655.
  • Apter, M. J. (2015). Reversal theory and the structure of emotional experience. Stress and Emotion: Anger, Anxiety, and Curiosity, 14, 17-30.
  • Leal, P. C., Goes, T. C., da Silva, L. C. F., & Teixeira-Silva, F.(2017). Trait vs. state anxiety in different threatening situations. Trends in psychiatry and psychotherapy, 39, 147-157. [https://doi.org/10.1590/2237-6089-2016-0044]

그림 1.

그림 1.
연구모형

표 1.

인구통계학적 특성(N=192)

변수 빈도 (명) 비율 (%)
성별 남자 166 86.5
여자 26 13.5
연령 18세미만 35 18.2
18세이상 19세미만 44 22.9
19세이상 21세미만 74 38.5
21세이상 23세미만 26 13.5
23세이상 13 6.8
선수경력 5년미만 72 37.5
5년이상 7년미만 80 41.7
7년이상 40 20.8
수상경험 우승 경험 있음 85 44.3
3위 이내 42 21.9
입상 경험 없음 65 33.8
192 100.0

표 2.

연구 변인의 기술통계 결과

구분 평균 표준편차
승부 근성 3.09 .80
승부욕 2.85 1.11
투혼 3.60 1.07
자신감 2.93 1.12
운동몰입 3.58 .83
인지적 몰입 3.60 .92
행위적 몰입 3.57 .83
인지된 경기력 3.31 .66
경기 만족 3.14 .80
경기수행력 3.51 .79

표 3.

성별에 따른 연구 변인의 기술통계 결과

구분 남성 여성
승부 근성 3.10 2.96
승부욕 2.97 2.79
투혼 3.43 3.25
자신감 2.90 2.84
운동몰입 3.60 3.44
인지적 몰입 3.54 3.56
행위적 몰입 3.66 3.31
인지된 경기력 3.29 3.36
경기 만족 3.40 3.10
경기수행력 3.48 3.62

표 4.

연령에 따른 연구 변인의 기술통계 결과

구분 18세미만 18세이상 19세미만 19세이상 21세미만 21세이상 23세미만 23세이상
승부 근성 3.04 2.97 3.10 3.08 3.07
승부욕 2.87 2.84 2.93 2.91 2.90
투혼 3.33 3.30 3.52 3.50 3.49
자신감 2.92 2.77 2.85 2.83 2.82
운동몰입 3.55 3.64 3.59 3.54 3.35
인지적 몰입 3.67 3.40 3.43 3.21 3.47
행위적 몰입 3.43 3.88 3.75 3.87 3.23
인지된 경기력 3.28 3.33 3.25 3.43 3.20
경기 만족 3.11 3.44 2.99 3.26 3.31
경기수행력 3.45 3.22 3.51 3.60 3.09

표 5.

선수 경력에 따른 연구 변인의 기술통계 결과

구분 5년미만 5년이상
7년미만
7년 이상
승부 근성 3.07 3.10 3.09
승부욕 2.94 2.93 2.92
투혼 3.40 3.39 3.51
자신감 2.87 2.98 2.84
운동몰입 3.73 3.59 3.35
인지적 몰입 3.57 3.35 3.47
행위적 몰입 3.89 3.83 3.23
인지된 경기력 3.21 3.30 3.34
경기 만족 3.04 3.04 3.45
경기수행력 3.38 3.56 3.23

표 6.

수상 경력에 따른 연구 변인의 기술통계 결과

구분 우승 경험 있음 3위 이내 입상 경험 없음
승부 근성 3.14 3.04 2.94
승부욕 3.01 2.87 2.81
투혼 3.47 3.46 3.23
자신감 2.94 2.79 2.78
운동몰입 3.51 3.59 3.62
인지적 몰입 3.27 3.71 3.29
행위적 몰입 3.75 3.47 3.95
인지된 경기력 3.44 3.29 3.28
경기 만족 3.27 3.31 3.02
경기수행력 3.61 3.27 3.54

표 7.

승부 근성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구분 성분 Cronbach Alpha
승부욕 투혼 자신감
KMO측도(.86), Bartlett의 구형성 검정(χ2=783.42, p<.001)
대표선발전에서 이기려고 온 힘을 다쓴다 .79 .11 .11 .83
모든 경기에서 꼭 이겨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82 .31 .01
결승전에서 이기려고 하는 의욕이 강하다 .78 .37 .10
승리를 위해서는 무엇이라도 한다 .75 .44 .06
중요 경기 일수록 승부욕이 강하다 .84 .25 .44
경기에서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다 .08 .82 .01 .85
힘들어도 끝까지 참는다 .21 .88 .03
상대보다 실력이 부족해도 끝까지 밀어붙인다 .30 .84 .02
극한 상황에서도 참고 견딘다 .24 .87 .10
힘든 상황에서도 다시 일어서서 끝까지 뛴다 .06 .69 .16
무엇이라도 물고 늘어져서 끝장을 본다 .25 .75 .21
힘이 들면 끝까지 참지 못한다(R) .33 .73 .43
나는 참고 끝까지 덤빈다 .21 .85 .36
최종 결승전에서 부상을 입으면서 까지 이길 수 있다 .31 .74 .28
정신적 압박을 이겨낼 자신이 없다(R) .11 .05 .73 .81
상대가 두렵다(R) .08 .25 .81
지고 있어도 ‘이길 수 있다’라고 생각한다 .19 .24 .69
어렵고 힘든 상황에서도 긍정적인 생각을 한다 .22 .37 .70
내 자신을 믿고 훈련에 임한다 .24 .43 .83
시합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05 .25 .78
전체 3.37 2.74 1.51
% 분산 30.71 25.05 15.78
% 누적 30.71 55.76 71.54

표 8.

운동몰입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구분 성분 Cronbach Alpha
인지적 몰입 행위적 몰입
KMO측도(.73), Bartlett의 구형성 검정(χ2=523.08, p<.001)
(R): 역척도 문항
나는 내가 하는 이 운동이 자랑스럽다 .85 .11 .81
나는 이 운동을 앞으로도 계속 할 생각이다 .80 .04
나는 운동할 수 있는 시간이 항상 기다려진다 .85 .23
이 운동은 나의 삶에 매우 소중한 부분이다 .74 .21
내가 즐기는 이 운동을 생각하면 즐거워진다 .81 .15
나는 이 운동에서 많은 행복감을 느끼고 있다 .26 .69 .73
나는 시간만 있다면 이 운동을 많이 하고 싶다 .17 .78
이 운동은 내가 가장 하고 싶어하는 운동이다 .36 .75
전체 3.22 2.05
% 분산 38.90 29.57
% 누적 38.90 68.47

표 9.

인지된 경기력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구분 성분 Cronbach Alpha
경기 만족 경기 수행력
KMO측도(.85), Bartlett의 구형성 검정(χ2=914.52, p<.001)
나는 과거 어느 때 보다 최고의 기량을 발휘하고 있다 .84 .12 .83
나의 경기력은 상승세이다 .81 .23
나의 경기력은 만족할 만하다 .79 .35
나는 항상 좋은 경기를 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 .49 .70 .74
나는 정상급의 경기력을 가지고 있다 .18 .83
나는 정상급의 선수이다 .36 .74
전체 2.78 1.93
% 분산 33.19 26.85
% 누적 33.19 60.04

표 10.

연구 변인 간 상관분석 결과

구분 승부근성 운동몰입 인지된 경기력
승부근성 1.00
* p<.05, * p<.01, ** p<.001
운동몰입 .27*** 1.00
인지된 경기력 .53*** .32*** 1.00

표 11.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과 운동몰입 간 회귀분석 결과

독립변수 B β t 유의확률
* p<.05, ** p<.01, ***p<.001
승부욕 .47 .49 8.77 .000***
투혼 .19 .21 2.83 .003***
자신감 .28 .32 4.25 .000***
F = 42.58***, R2=.39

표 12.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과 인지된 경기력 간 회귀분석 결과

독립변수 B β t 유의확률
* p<.05, ** p<.01, ***p<.001
승부욕 .24 .26 3.62 .000***
투혼 .18 .21 3.09 .001***
자신감 .32 .35 4.91 .000***
F = 37.59***, R2=.33

표 13.

태권도 선수의 운동몰입과 인지된 경기력 간 회귀분석 결과

독립변수 B β t 유의확률
* p<.05, ** p<.01, ***p<.001
인지적 몰입 .31 .35 4.94 .000***
행위적 몰입 .28 .31 4.24 .000***
F = 33.52***, R2=.25

표 14.

승부 근성과 인지된 경기력 관계에서 운동몰입의 매개효과

단계 변인 B β
*** p<.001, ** p<.01, * p<.05
Ⅰ (독립→종속) 승부 근성 인지된 경기력 .33 .40***
R2 =.14
F(p_value) =7.16(p<.000)
Ⅱ (독립→매개) 승부 근성 운동몰입 .45 .43***
R2 =.23
F(p_value) = 11.36(p<.000)
Ⅲ (독립×매개→종속) 승부 근성 인지된 경기력 .39 .37***
운동몰입 .19 .14**
R2 =.25
F(p_value) = 10.80(p<.000)

표 15.

승부 근성과 인지된 경기력 간 관계에서 운동몰입의 부트스트랩 검증 결과

독립 변수 매개 변수 종속 변수 부트스트래핑 검증결과
직접효과 간접효과
(95%C.I.)
총 효과
승부 근성 운동 몰입 인지된 경기력 .14 .25
(.16∼.33)
.39

표 16.

연구모형 가설검증 결과

연구가설 검증결과
H1: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은 운동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채택
H2: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은 인지된 경기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채택
H3: 태권도 선수의 운동몰입은 인지된 경기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채택
H4: 태권도 선수의 운동몰입은 승부 근성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발생할 것이다 채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