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Archives | About | For Contributors |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
ISSN 1229-6341
eISSN 2733-967X
Sorry.
You are not permitted to access the full text of articles.
If you have any questions about permissions,
please contact the Society.
죄송합니다.
회원님은 논문 이용 권한이 없습니다.
권한 관련 문의는 학회로 부탁 드립니다.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 (JKPESAGW) is th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KPEAGW), published quarterly on 3/31, 6/30, 9/30, and 12/31. JKPESAGW is interested in publishing articles on research and practice in the fields of gender or women-related physical education, sports, exercise, dance, etc.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Volume 38(4); December 2024
Kyulee Shin, Minju Kim
늘봄학교는 정규 수업 외에 학교와 지역사회의 다양한 교육자원을 연계하여 초등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목적으로 제공되는 종합 교육 프로그램이다. 지난 2023년부터 시범 운영된 늘봄학교의 프로그램 중 체육프로그램은 학부모와 학생의 수요가 가장 높은 프로그램이자, 아동의 성장발달 단계를 고려할...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Leisure Experience of Women after Childbirth
Jiseon Park
본 연구는 출산 후 여성의 여가경험이 주는 본질적 의미를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여성의 개별적인 경험에서 나타나는 본질적 의미를 탐구하고자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적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출산 경험이 있고 여가활동에 1년 이상 지속적으로 참여한 경력이 있는...
Won-Mi Lee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체육참여, 체육활동 참여 영향 요인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23 국민생활체육조사의 10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정하여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는 규칙적 체육활동에 참여자 617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성...
So-Yeon Woo, Seung-Hwan Kim, Min-Kyu Kim
본 연구는 스마트건강관리교실의 운영 및 공간에 대한 만족도 및 효과성, 학교급별 다양한 단위학교별 운영사례를 분석하여 학교별 체육공간 구성, 시설 활용 현황 및 학교 특성에 따른 공간 구성의 특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스마트건강관리교실을 운영하고 있는 150개 학교의 체육교사와 학생을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lover Gymnastics for Inmate Rehabilitation
EunJu Chung
이 연구는 제한된 공간에서 신체활동을 할 수 밖에 없는 재소자의 신체적 심리적 치유를 위한 체조를 개발하고 적용하여, 실제 적합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정시설의 좁은 공간에서 전신의 근육을 사용하여 스트레칭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아침체조와 저녁체조 2개의 유형...
YU CHILIN, Daehwan Kim, Kyungro Chang
소셜 미디어의 급속한 확장으로 인해 사회적 영향력이 개인의 의사결정 행동에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고려되고 있다. 그러나 온라인 커뮤니티, 특히 스포츠 영역에서 사회적 영향력이 개인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종합적인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적 영향력 이론을 활용하여...
A Narrative Inquiry on Exploring of the ‘Happy life’: From Dancer to ‘Educator’
Min Jeong Ko, Won Jung Kim
본 연구는 무용전공자 삶의 양면성을 돌아보고 그들이 난관을 극복하며 교육자로서 ‘행복한 삶’을 되찾는 과정과 그 의미를 탐색하였으며, 아리스토텔레스의 에우다이모니아 개념을 토대로 ‘행복’의 의미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5년 이상 무용을 전공하고 경험이 충분한 연구참여자 3명...
A Study on the Trend of Korean Research on Line Dancing for the Elderly
Ji-Na Kim, Won-Chung Chung, Hyu-Kyoung Park, Sue-Yeon Kim
이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발표된 라인댄스의 연구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Y대학학술정보원과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및 구글 검색엔진(Google Scholar)에서 “라인댄스⋅노인⋅시니어⋅실버”로 검색하여 학술지 논문을 수집하고, 자료선별 기준에 부합하는 총 2...
Ye-Rim Kim, Jeong-Hyeon Kwak
이 연구는 성인 여성 태권도인의 여성전문시범단 활동 경험을 바탕으로 시범단 활동에 대한 고민과 성찰을 살펴보고, 성인 여성 시범단 활동 계기와 성장 과정을 통해 성인 여성 태권도시범단의 적극적인 발전 방향에 대한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것을 목적을 두고 연구한 결...
WonJeong Yun
본 연구는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이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운동몰입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경기⋅강원도 지역의 대학교 태권도학과 대학생 19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선수의 승부 근성은 운동몰입에 긍정...
Jung-Taek Shin, Sun-Mi Jang
본 연구는 전국대회를 앞둔 실업 검도 팀의 심리기술 및 경기력 향상을 위해 밀착지원 사업으로 시작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기술훈련이 실업 검도선수의 경쟁상태불안, 회복탄력성, 스포츠수행전략 및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참여자는 실업 여자 검도...
Yoonso Choi, KiWoon Kim
본 연구는 1987년 한국여성체육학회지가 발간된 이래 현재까지 게재된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한국여성체육학회의 연구 지형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1987년부터 2024년 6월 30일 발행된 38권 2호까지 총 1,384건의 자료를 수집, 빅데이터 분석 기법인 LDA...
Kang, Junya, Jung, In-Kyung
본 연구는 중년기 남성의 비만 및 대사증후군 동반 유형에 따른 악력 과 신체활동량 및 식생활평가지수 점수를 비교하여 연령대별 건강형태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제7기(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 중 40세에서 64세 사이의 성인 남성 3,275명의 데이터를 분...
Seo-eun Yang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유도선수들의 경력에 따른 어깨관절 가동 범위, 상⋅하체 동적 균형 및 목뼈 위치감각 간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들 요소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최근 3개월 이내 상지나 하지의 부상 이력이 없는 대학 재학 중이면서 대한유도협회 선수로 등록되어 ...
The Effect of Complex Exercise on β-Amyloid and BDNF in Elderly Women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Bong-Gil Choi
본 연구의 목적은 경도인지장애를 가진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12주간 주 3회 실시된 복합운동이 β-Amyloid와 BDNF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총 16명의 여성노인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운동 그룹(n=8)과 통제 그룹(n=8)으로 나누어졌다. 운동 그룹...
Hye-Yun Lee, Min-Ji An
이 연구는 12주간의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이 여자 중학생의 혈중지질, 스트레스 및 작업기억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함으로써, 최근 떠오르고 있는 고강도 인터벌 트레이닝이 학교 현장에서 혈중지질, 스트레스 및 작업기억력 향상 프로그램으로 활용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